동양고전종합DB

戰國策(1)

전국책(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전국책(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去楚之秦.
張儀謂秦王曰:
“陳軫爲王臣, 常以國情輸楚.
儀不能與從事, 願王逐之. 卽復之楚, 願王殺之.”
王曰:
“軫安敢之楚也?”
王召陳軫告之曰:
“吾能聽子言,
子欲何之?
請爲子.”
對曰:
“臣願之楚.”
王曰:
“儀以子爲之楚, 吾又自知子之楚.
子非楚, 且安之也!”
軫曰:
“臣出, 必故之楚,
以順王與儀之策, 而明臣之楚與不也.
楚人有兩妻者,
其長者, 詈之;
誂其少者, 少者許之. 居無幾何, 有兩妻者死.
客謂誂者曰:‘汝取長者乎?
少者乎?’
‘取長者.’
客曰:‘長者詈汝, 少者和汝, 汝何爲取長者?’ 曰:‘居彼人之所, 則欲其許我也.
今爲我妻, 則欲其爲我詈人也.’
今楚王明主也, 而賢相也.
軫爲人臣, 而常以國輸楚王, 王必不留臣, 昭陽將不與臣從事矣.
以此明臣之楚與不.”
軫出, 張儀入, 問王曰:
“陳軫果安之?”
王曰:
“夫軫天下之辯士也,
孰視寡人曰:‘軫必之楚.’
寡人遂無奈何也. 寡人因問曰:‘子必之楚也, 則儀之言果信矣!’ 軫曰:‘非獨儀之言也,
行道之人皆知之.
昔者, 子胥忠其君, 天下皆欲以爲臣, 孝己愛其親, 天下皆欲以爲子.
故賣僕妾不出里巷而取者, 良僕妾也; 出婦嫁於鄕里者, 善婦也.
臣不忠於王, 楚何以軫爲?
忠尙見棄, 軫不之楚, 而何之乎?’”
王以爲然, 遂善待之.


진진陳軫나라를 버리고 나라로 가다
진진陳軫나라를 버리고 나라로 갔다.
장의張儀진왕秦王(惠王)에게 말하였다.
진진陳軫은 대왕의 신하이면서 항상 나라에 이 나라 정보를 팔아먹고 있습니다.
저는 그와 함께 일할 수가 없으니, 대왕께서는 그를 쫓아내시고, 만약 그가 다시 초나라로 가거든 죽여 버리시기 바랍니다.”
왕이 말하였다.
“진진이 어찌 감히 나라로 가겠는가?”
왕은 진진을 불러 그 말을 일러주었다.
“내가 그대의 말을 들어주겠소.
그대는 어디로 가고자 하오?
내가 그대를 위해 수레를 마련해 주겠소.”
진진이 말하였다.
“신은 초나라로 가기를 원합니다.”
혜왕이 말하였다.
“장의는 자네가 나라로 간다 하였고, 나 또한 그대가 초나라로 갈 것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었소.
그대가 초나라 아니면 어디로 가겠소!”
진진이 말하였다.
“저는 이 나라를 떠나면 반드시 일부러라도 초나라로 갈 것입니다.
그리하여 임금과 장의의 책략에 순응하여 제가 과연 초나라로 다시 가도 괜찮은 인물인지의 여부를 밝혀 드리겠습니다.
초나라에 어떤 사람이 아내 두 사람을 거느리고 살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어떤 사람이 큰 부인을 유혹하다가 꾸지람만 듣고 말았습니다.
어린 부인을 유혹하였더니 그 어린 부인이 응해 왔는데, 그 후 얼마 지나지 않아 그 두 여자의 남편이 죽었습니다.
이 그 어떤 사람에게 ‘자네가 장가를 든다면 그 큰 부인을 취하겠나?
아니면 어린 부인을 취하겠나?’라고 물었습니다.
그랬더니 그는 ‘큰 부인을 취하겠다’라고 했습니다.
그래서 ‘큰 부인은 너를 꾸짖었고, 어린 부인은 순순히 너를 따랐는데 너는 어찌하여 큰 부인을 아내로 취하려는가?’라고 물었더니, 그는 ‘그가 다른 사람의 부인일 때 나는 당연히 그가 내 요구대로 들어주기를 원하였소.
그러나 이제 내 아내가 된다면 나를 위해 다른 사람을 꾸짖기를 바라는 것이오’라고 하였습니다.
지금 초왕楚王은 현명한 군주이고 소양昭陽은 훌륭한 재상입니다.
그런데 제가 초나라에 가서 그 밑에서 벼슬하면서 자꾸 진나라의 정보를 말해 주었다면 초왕은 나를 믿고 머물게 하지 않았을 것이며, 소양昭陽도 나와 함께 일하고자 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이것으로도 제가 다시 초나라로 갈 수 있는지 여부가 증명된 것입니다.”
진진이 나가자 장의가 들어와서 왕에게 여쭈었다.
“진진이 어디로 간다고 하였습니까?”
왕이 말하였다.
“진진은 천하의 변사이오.
나를 뚫어지게 쳐다보더니 ‘저는 반드시 초나라로 가겠습니다’라고 하였소.
내가 어쩔 수 없어 ‘그대가 정말로 초나라로 간다면 장의의 말이 사실이 되오’라고 하였더니, 그는 ‘유독 장의만이 알고 있는 것이 아닙니다.
길 가는 사람 누구라도 다 알 것입니다.
옛날 오자서伍子胥가 왕에게 충성을 다하자 왕들이 그러한 자를 신하로 삼고 싶어 하였고, 효기孝己가 그 부모를 잘 받들자 천하의 부모 된 자가 모두 그러한 이를 아들로 삼고 싶어하였습니다.
그러므로 팔리는 복첩僕妾이 그 마을은 벗어나지 않고 사 줄 사람이 있으면 양첩良妾이기 때문이요, 쫓겨난 여자가 같은 향리鄕里에서 다시 시집갈 수 있으면 선부善婦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제가 진왕에게 불충하였다면 초왕인들 저를 받아 주겠습니까?
충성하다가 오히려 버림을 받았으니 제가 초나라로 가지 아니하면 어디로 가겠습니까?’라고 했소.”
왕은 진진의 말을 그럴 듯하게 여겨 그를 잘 대우해 주었다.


역주
역주1 058. 陳軫去楚之秦 : 내용의 줄거리는 057장과 같으며 이의 異記로 보인다. 《史記》 〈張儀列傳〉과 앞장을 참조할 것.
역주2 陳軫 : 유세객으로 처음 秦을 섬겼으나 張儀와 다투다가 불리하자 楚로 가서 相國까지 지냈다. 그후 潁川侯에 봉해져 潁州로 옮겨 와서 살았고, 성을 陳氏라 칭하였다. 이 장은 그가 楚의 客卿으로 秦에 사신으로 다시 왔을 때의 이야기이다.
역주3 車約 : 수레를 준비함. 鮑彪本에는 約車로 되어 있다. 約은 具와 통하여 ‘준비한다’는 뜻이다.
역주4 : ‘꾀다’, ‘유혹하다’의 뜻. 원주에 “後語에는 挑로 되어 있다.”라고 하였다.
역주5 昭陽 : 楚나라의 장수로 魏나라를 攻破하는 데 공로를 세워 懷王 때 상국이 되었다. 115‧131‧171‧205장 참조.

전국책(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