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戰國策(2)

전국책(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전국책(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張儀爲秦連橫說韓王曰:
“韓地險惡, 山居, 所生, 非麥而豆; 民之所食, 大抵豆飯藿羹; 一歲不收, 民不饜糟糠; 地方不滿九百里, 無二歲之所食.
料大王之卒, 悉之不過三十萬, 而在其中矣,
爲除守, 見卒不過二十萬而已矣.
秦帶甲百餘萬, 車千乘, 騎萬匹, 之士, 者, 至不可勝計也.
秦馬之良, 戎兵之衆, 探前趹後, 蹄間三尋者, 不可稱數也.
山東之卒, 被甲冒冑以會戰, 秦人捐甲徒裎以趨敵, 左挈人頭, 右挾生虜.
夫秦卒之與山東之卒也, 猶之與嬰兒也.
夫戰孟賁‧烏獲之士, 以攻不服之弱國, 無以異於墮之, 集於鳥卵之上, 必無幸矣.
諸侯不料兵之弱, 食之寡, 而聽從人之甘言好辭, 比周以相飾也,
皆言曰: ‘聽吾計則可以强霸天下.’ 夫不顧社稷之長利, 而聽須臾之說, 詿誤人主者, 無過於此者矣.
大王不事秦, 秦下甲據宜陽, 斷絶韓之; 東取成皐‧宜陽, 則之苑, 非王之有已.
夫塞成皐, 絶上地, 則王之國分矣.
先事秦則安矣, 不事秦則危矣.
夫造禍而求福, 計淺而怨深, 逆秦而順楚, 雖欲無亡, 不可得也.
故爲大王計, 莫如事秦.
秦之所欲, 莫如弱楚, 而能弱楚者莫如韓.
非以韓能强於楚也, 其地勢然也.
今王西面而事秦以攻楚, , 秦王必喜.
夫攻楚而私其地, 轉禍而說秦, 計無便於此者也.
是故秦王使使臣獻書大王御史, 須以決事.”
韓王曰:
“客幸而敎之, 請比郡縣, 築帝宮, 祠春秋, 稱東藩, 效宜陽.”


376. 장의張儀나라를 위하여 한왕韓王에게 연횡連橫을 유세하다
장의張儀나라를 위하여 한왕韓王에게 연횡설連橫說을 유세하였다.
나라 땅은 험악한 산중에 있어서 오곡五穀이 난다고 해야 고작 보리 아니면 콩 정도요, 백성이 먹는 것은 그저 콩밥 아니면 콩잎국 정도이며, 한 해만 농사가 시원찮아도 백성은 조강糟糠도 배불리 못 먹는 형편이요 국토는 9백 리도 넘지 못하며 2년 먹을 식량도 비축하지 못하는 나라입니다.
대왕의 병력을 헤아려 보면 모두 합해 불과 30만을 넘지 못하는데, 그것도 잡역雜役부양負養을 합해서 그렇습니다.
거기에 요새와 보루堡壘를 지키며 수비하는 인원을 제하면 현역병은 20만을 넘지 못합니다.
그러나 나라는 대갑帶甲 1백만에 병거는 1천 이요, 기마騎馬는 1만 필이나 되며 용맹한 병사와, 장애물障礙物을 뛰어넘고 머리에 투구를 쓰지 않은 군사, 만궁彎弓으로 화살을 쏘는 군사, 창검으로 분극奮戟하는 자들은 그 수를 헤아릴 수 없습니다.
진나라의 말은 양마良馬이고, 병졸은 많으며, 말이 한 번 뛰면 말굽의 거리가 세 길이 넘는데 그런 말이 수없이 많습니다.
산동山東 여러 나라 병졸은 싸울 때 갑주甲冑를 입고 싸우지만, 진나라 병사는 오히려 갑옷을 벗어버리고 맨몸으로 적에게 달려들어 왼손으로는 적의 머리를 거머쥐고 오른손으로 포로를 휘어잡고 다닙니다.
무릇 진나라 사졸과 산동 각국을 비교하면 마치 맹분孟賁겁부怯夫의 싸움과 같고 힘으로 서로 누르기는 오획烏獲이 어린아이를 상대하는 것과 같습니다.
맹분ㆍ오획같은 전사들로 하여금 복종하지 않은 약한 나라의 군사를 공격하게 하는 것은, 마치 1천 이나 되는 쇳덩어리로 새알을 내리치는 것과 같아서 절대로 요행을 바랄 수 없습니다.
제후들은 자기 병력이 약하고 식량이 적은 줄은 헤아리지 아니하고, 그저 합종을 주장하는 무리들의 감언이설甘言利說에 속아 서로 무리를 이루어 사사로운 일을 꾸미고 있습니다.
그들은 모두 ‘내 말만 들으면 천하를 제패할 수 있다.’라 하여 국가의 장구한 이익은 돌아보지 못하게 하고, 일시적 공설空說을 들으라고 하니, 임금들을 그르치는 자 가운데 이보다 더한 이들은 없습니다.
대왕이 진나라를 섬기지 아니하면 진나라는 곧 군사를 내어 의양宜陽을 점거할 것이며 한나라의 상지上地(상당上黨)를 끊어버릴 것이며 이어서 동쪽으로 성고成皐, 의양宜陽을 점령하게 되면 홍대궁鴻臺宮상림원桑林苑은 더 이상 왕의 소유가 될 수 없습니다.
성고成皐의 관문이 봉쇄당하고 상당의 교통이 끊어지면 왕의 나라는 분할되게 됩니다.
그러니 진나라를 섬기겠다고 먼저 나서서 복종하면 안전을 얻을 것이요, 복종하지 않으면 위험해질 것입니다.
무릇 화를 만들면서 복을 구하고, 계획이 천박하여 원한이 깊어지는 데도 진나라를 거역하고 초나라를 따라 합종을 밀고 나간다면, 비록 망하지 않기를 바란다 해도 되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대왕을 위한 계책으로는 진나라를 섬기느니만 못합니다.
진나라가 가장 바라는 일은 바로 초나라를 약화시키는 것인데 초나라를 약화시킬 수 있는 나라는 바로 나라입니다.
이는 결코 한나라가 초나라보다 강해서가 아니고, 다만 지리 형세가 그렇게 되어 있습니다.
지금 왕께서 서쪽으로 진나라를 섬기면서 초나라를 공격하면 진왕秦王은 틀림없이 기뻐할 것입니다.
초나라를 공격하여 사사로이 그 땅을 얻고 화를 돌려 진나라를 기쁘게 해 주니, 이보다 훌륭한 계책은 없습니다.
이런 까닭으로 진왕이 저를 사신으로 보내어 대왕의 어사御史에게 헌서獻書하오니 어서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한왕韓王이 말하였다.
객인客人께서 다행히 와서 가르쳐 주시니, 저는 나라를 그저 진나라의 한 군현郡縣처럼 여겨서 진왕을 위해 행궁行宮을 짓고 춘추春秋에 제사 용품을 바치며, 동쪽의 번속藩屬이라 칭하며 의양宜陽을 바치겠습니다.”


역주
역주1 : B.C.311년 張儀는 蘇秦이 죽었다는 소식(B.C.317년)을 듣고 連橫을 성공시키기 위해 차례로 楚(187장)‧韓(376장)을 설복시키고 다시 齊(127장)‧趙(241장), 최후에 燕(447장)까지 가서 마침내 이들이 秦나라에 복종하도록 만들었다.
역주2 五穀 : 異說이 있으나 《周禮》 〈天官篇〉 注에 ‘麻‧黍‧稷‧麥‧豆也’라 하였다.
역주3 廝徒‧負養 : 廝徒는 말먹이나 식량 운반을 하는 雜役에 종사하는 자, 負養은 公家의 음식을 짓는 등 賤한 일에 종사하는 자.
역주4 徼亭鄣塞 : 변경의 望樓에서 순시하는 守兵.
역주5 虎摯 : 勇士. 《史記》에는 虎賁으로 되어 있다.
역주6 跿跔科頭 貫頤奮戟 : 跿跔는 장애 등을 뛰어 넘는 일. 科頭는 머리에 투구를 쓰지 않은 맨 머리.
역주7 孟賁……烏獲 : 孟賁은 秦나라 武王 때의 力士, 鼎을 들다가 발을 부러뜨렸으며 烏獲 역시 武王 때의 力士이다.
역주8 千鈞 : 一鈞은 30斤. 무거움을 말한다.
역주9 上地 : 上黨을 가리킨다. 韓나라 땅. 지금의 山西省 東南部 일대.
역주10 鴻臺‧桑林 : 鴻臺는 韓나라 宮 이름. 桑林은 사냥 및 놀이를 위한 苑林.
역주11 [爲敝邑] : 《史記》 〈張儀列傳〉에 의하여 衍文으로 처리하였다.

전국책(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