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戰國策(1)

전국책(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전국책(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五國約以伐齊.
謂楚王曰:
, 必南圖楚.”
王曰:
“然則奈何?”
對曰:
“韓氏, 也, 好利而惡難.
好利, 可營也; 惡難, 可懼也.
我厚賂之以利, 其心必營; 我悉兵以臨之, 其心必懼我.
彼懼吾兵而營我利, 五國之事必可敗也.
約絶之後, 雖勿與地可.”
楚王曰:
“善.”
乃命之韓,
曰:
“夫, , 親王之所見也.
王苟無以五國用兵, 請効列城五,
請悉楚國之衆也, 以廧於齊.”
反趙‧魏之後, 而楚果弗與地,
則五國之事困也.


오국五國이 맹약하여 나라를 치다
오국五國(燕‧)이 맹약하여 나라를 쳤다.
이때 소양昭陽초왕楚王(頃襄王)에게 말하였다.
“다섯 나라가 제나라를 격파한 다음에는 반드시 남쪽으로 우리 초나라를 공격할 것입니다.”
왕이 물었다.
“그러면 어찌해야겠소?”
소양이 대답하였다.
나라는 보국輔國이어서 이익만 좋아하고 힘든 전쟁은 싫어합니다.
이익을 좋아하니 이익으로 유혹할 수 있으며, 전쟁을 싫어하니 위협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후한 뇌물을 갖다 주어 이롭게 하면 유혹되게 할 수 있고, 우리가 병력을 모아 접근하면 틀림없이 우리를 두려워할 것입니다.
저들이 우리 병력을 두려워하고 우리의 후한 이익의 유혹에 넘어가면 다섯 나라의 일은 반드시 깨어질 것입니다.
그 맹약이 깨어진 후에는 나라에게 약속한 땅을 주지 않아도 될 것입니다.”
초왕이 말하였다.
“좋다.”
그리고는 대공사大公事를 명하여 나라에 보냈다.
그는 공중치公仲侈를 만나 이렇게 말하였다.
“무릇 지난번 우란牛闌의 전쟁과 마릉馬陵의 싸움은 귀국 대왕께서 직접 보신 바입니다.
귀국 대왕이 진실로 오국五國기병起兵에 가담하지 않는다면 청컨대 5개 을 드리겠습니다.
그리고 우리 초나라 군사를 다 모아 나라를 공격하겠습니다.”
이렇게 하여 제나라가 나라와 나라를 배반한 뒤에 초나라는 과연 한나라에게 땅을 주지 않았다.
그리하여 다섯 나라의 동맹은 곤경에 빠지고 말았다.


역주
역주1 171. 五國約以伐齊 : 이 사건은 B.C.284년 燕將 樂毅가 연합하여 齊나라를 쳤던 일이 아닌가 한다.
역주2 昭陽 : 楚 懷王 때의 令尹. 058‧115‧131‧205‧400장 참조.
역주3 五國以破齊‧[秦] : 여기서 秦은 衍文인 듯하다.
역주4 輔國 : 主謀國이 아니고 추종하는 나라. 이때 제나라를 친 주모국은 燕나라임.
역주5 大公事 : 太公事로도 쓰며, 楚나라 사람.
역주6 公仲 : 公仲侈. 韓나라의 재상. 207‧309장 참조.
역주7 牛闌之事 : 어떤 사건인지 자세히 알 수 없다.
역주8 馬陵之難 : 馬陵은 지금의 山東省 濮縣 북쪽. B.C.341년에 梁(魏) 惠王이 齊 威王에게 대패한 사건. 《史記》에는 齊 宣王으로 되어 있다.
역주9 齊之 : 金正煒의 《戰國策補釋》에 齊는 韓의 잘못이라 하였으며, 鮑彪는 之는 人의 잘못이라 하였다.

전국책(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