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戰國策(1)

전국책(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전국책(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燕攻齊, 齊破.
閔王奔莒, 淖齒殺閔王.
田單守卽墨之城, 破燕兵, 復齊墟.
襄王爲太子徵.
齊以破燕, 田單之立疑, 齊國之衆, 皆以田單爲自立也.
襄王立, 田單相之.
, 有老人涉菑而寒, 出不能行, 坐於沙中.
田單見其寒, 欲使後車分衣, 無可以分者, 單解裘而衣之.
襄王惡之, 曰:
“田單之施, 將欲以取我國乎?
不早圖, 恐後之.”
左右顧無人,
巖下有者, 襄王呼而問之曰:
“女聞吾言乎?”
對曰:
“聞之.”
王曰:
“女以爲何若?”
對曰:
“王不如因以爲己善.
王嘉單之善, 下令曰:‘寡人憂民之饑也, 單收而食之; 寡人憂民之寒也, 單解裘而衣之;
寡人憂勞百姓, 而單亦憂之, 稱寡人之意.’
單有是善而王嘉之, 善單之善, 亦王之善已.”
王曰:
“善!”
乃賜單牛酒, 嘉其行.
後數日, 貫珠者復見王曰:
“王至朝日, 宜召田單而揖之於庭, 口勞之.
乃布令求百姓之饑寒者, 收穀之.”
“田單之愛人!
嗟, 乃王之敎澤也!”


나라가 나라를 공격하다
나라가 나라를 공격하여 나라가 패배하였다.
민왕閔王로 도망하였는데 요치淖齒시살弑殺하였다.
전단田單즉묵성卽墨城을 지켜 나라 군대를 격파시키고 제나라의 폐허가 된 도성을 회복하였다.
양왕襄王은 이때 태자로서 신분을 감추고 민간에 있었다.
나라 군사가 나라 군사를 쳐 이기자 제나라 사람들은 모두 전단이 자립해서 왕이 되리라고 의심하였다.
양왕이 즉위하여 전단을 으로 삼았다.
어느 날 치수菑水를 지나는데 한 노인이 물을 건너고는 추위를 이기지 못해 벌벌 떨며 걷지 못하고 모래밭에 웅크리고 앉아 있었다.
전단은 그가 추워하는 모습을 보고 뒤따르는 수행원에게 옷을 벗어 입혀 주려고 하였지만, 나누어 줄 만한 옷이 없자 전단이 자기 갖옷을 벗어 입혀 주었다.
양왕이 이를 미워하며 말하였다.
“전단이 이런 은혜를 베푸는 것은 우리 나라를 빼앗으려는 것이 아니겠는가?
일찍 도모하지 않으면 늦을까 염려된다.”
말을 마치고 좌우를 둘러보았으나 들은 사람이 없는 듯하였다.
마침 섬돌 아래에 관주貫珠라는 자가 있으므로, 양왕은 그를 불러 물어보았다.
“너는 내 말을 들었느냐?”
그가 대답하였다.
“예, 들었습니다.”
왕이 말하였다.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그가 대답하였다.
“대왕께선 이 일을 오히려 임금 자신의 선행善行으로 삼느니만 못합니다.
왕께서 전단의 선행善行을 칭찬하셔서 영 내리기를 ‘과인이 백성의 주림을 걱정하자 전단이 이를 거두어 먹여 주고, 과인이 백성의 추위를 걱정하자 전단이 스스로 갖옷을 벗어 입혀 주고 있다.
과인이 백성을 근심하여 위로하면 전단 역시 걱정하니, 과인의 뜻에 맞는다’라고 하십시오.
이렇게 하시면 전단의 선행善行을 왕께서 아름답게 여기시는 것이 되며 전단의 선행을 선하다고 여기시는 것은 대왕의 선행이 됩니다.”
왕이 말하였다.
“좋다!”
그리고는 이에 왕은 전단에게 소를 잡고 술을 내려 그 선행을 칭찬해 주었다.
며칠 후 관주가 다시 왕을 뵙겠다고 찾아와 말하였다.
“왕께서는 조회 날이 돌아오면 마땅히 전단을 불러 뜰에서 읍하여 맞이하며 노고를 위로하는 말을 하십시오.
그리고 을 내려 추위와 굶주림으로 고생하는 백성을 찾아 곡식을 베푸십시오.”
왕은 이에 사람을 시켜 민간에 가서 민정民情을 듣도록 하였더니, 장부들 거개가 서로 이렇게 말하는 것이었다.
“전단이 백성을 사랑함이여!
바로 왕의 교화와 은택 때문이로구나!”


역주
역주1 163. 燕攻齊 : 이 사건은 《資治通鑑》 周 赧王 36년의 기록과 같다.
역주2 菑水 : 齊나라의 首都 臨淄를 흐르는 물. 淄水.
역주3 貫珠 : 人名. 貫殊라고도 쓴다. 원주에 “元和姓纂에는 《戰國策》을 인용하여 齊나라에 貫殊가 있었으니 貫은 姓이며, 殊는 이름이다. 貫珠는 잘못된 것이다.”라고 하였다.
역주4 聞丈夫之相□與語 擧□□□□曰 : 두 곳의 □ 속은 대본에 相 아래에 한 글자가 빠지고, 擧 아래에 네 글자가 빠져 있다. 그러나 글자를 보충하지 않아도 번역에는 무리가 없으므로 그대로 번역하였다.

전국책(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