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戰國策(2)

전국책(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전국책(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韓公仲謂向壽曰:
“禽困覆車.
公破韓, 辱公仲, 公仲收國復事秦, 自以爲必可以封.
今公與楚解, .
秦‧楚合, 復攻韓, 韓必亡.
公仲躬率其私徒以鬪於秦,
願公之熟計之也.”
向壽曰:
“吾合秦‧楚, 非以當韓也,
子爲我謁之公仲曰: ‘秦‧韓之交可合也.’”
對曰:
“願有復於公.
諺曰: ‘貴其所以貴者貴.’
今王之愛習公也, 不如; 其知能公也, 不如甘茂.
今二人者, 皆不得親於事矣, 而公獨與王主斷於國者, 彼有以失之也.
公孫郝黨於韓, 而甘茂黨於魏, 故王不信也.
今秦‧楚爭强, 而公黨於楚, 是與公孫郝‧甘茂同道也. 公何以異之?
人皆言楚之多變也, 而公必之, 是自爲貴也.
公不如與王謀其變也, 善韓以備之,
若此, 則無禍矣.
韓氏先以國從公孫郝, 而後委國於甘茂,
是韓, 公之讎也.
今公言善韓以備楚, 是外擧不辟讎也.”
向壽曰:
“吾甚欲韓合.”
對曰:
“甘茂許公仲以, 反宜陽之民, 今公徒令收之, 甚難.”
向子曰:
“然則奈何?
武遂終不可得已.”
對曰:
“公何不以秦爲韓求於楚?
此乃韓之寄地也.
公求而得之, 是令行於楚而以其地德韓也. 公求而弗得, 是韓‧楚之怨不解, 而交走秦也.
秦‧楚爭强, 而公過楚以攻韓, 此利於秦.”
向子曰:
“奈何?”
對曰:
“此善事也.
甘茂欲以魏取齊, 公孫郝欲以韓取齊,
今公取宜陽以爲功, 收楚‧韓以安之, 而誅齊‧魏之罪,
是以公孫郝‧甘茂之無事也.”


389. 나라 공중公仲상수向壽에게 말하다
나라 공중公仲이 〈소대蘇代를 시켜〉 〈진나라〉 상수向壽에게 말하였다.
“짐승도 궁지에 몰리면 수레를 엎어버립니다.
그대는 한나라를 깨뜨리고 공중을 모욕하였지만 공중은 그래도 나라를 수습하여 다시 나라를 섬기어, 스스로 을 받아도 된다고 여기고 있습니다.
지금 그대는 나라와 화해하고 초왕楚王으로 하여금 국내國內에 있는 두양杜陽 땅을 소령윤小令尹에게 봉해 주도록 하였습니다.
그런데 진나라‧초나라가 합해서 다시 한나라를 공격하시려 하니, 한나라는 틀림없이 망하고 말 것입니다.
공중은 몸소 그 사병私兵이라도 거느리고 진나라에 대항하려 하고 있습니다.
원컨대 깊이 헤아리시기 바랍니다.”
상수가 말하였다.
“내가 진나라와 초나라를 연합시킨 것은 한나라를 치기 위한 것이 아닙니다.
그대는 나 대신 공중에게 가서 ‘진나라와 국교를 우호友好해야 한다.’라고 말해 주시오.”
소대가 대답하였다.
“저도 다시 와서 그렇게 보고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속담에 ‘귀한 자를 귀하게 여겨야 자신도 귀함을 받는다.’라 하였습니다.
지금 왕께서 그대를 친행親幸하지만 공손학公孫郝만은 못하고, 지혜나 수완은 공이 감무甘茂만은 못합니다.
그런데도 지금 그 둘은 정치에 참여하지 못하고 있는데 그대만 홀로 왕과 더불어 국사를 주단主斷할 수 있는 것은, 그들이 〈진왕의〉 신임을 잃었기 때문입니다.
즉 공손학은 한나라와 친하고, 감무는 위나라와 친하기 때문에 왕이 믿지 않는 것입니다.
지금 진나라와 초나라가 을 다투고 있는데 공은 초나라를 친히 하고 있으니 이는 공손학이나 감무와 같은 길을 가는 것과 무엇이 다르겠습니까?
사람들이 모두 초나라는 변화가 심한 나라라고 말하는데도 그대는 초나라를 틀림없는 나라라 여기면서 스스로 그들에게 귀한 존재인 줄 알고 있습니다.
그대는 진왕과 함께 초나라의 변화에 대처할 계획을 세워서 한나라와 더불어 그를 방비할 준비를 갖추느니만 못합니다.
이렇게만 하면 곧 가 없게 됩니다.
한나라는 전에 공손학公孫郝에게 국정을 맡긴 일이 있고, 뒤에는 감무에게 맡겼습니다.
이런 까닭으로 한나라는 그대의 원수가 된 것입니다.
지금 공께서 만약 한나라와 서로 친히 하여 초나라를 방비하겠다고 말하면 이는 외현外賢추거推擧하고 원수를 피하지 않는 것이 됩니다.”
상수가 말하였다.
“나는 매우 한나라와 연합하고 싶소.”
소대가 말하였다.
“감무가 장차 무수武遂 땅을 한공중韓公仲에게 주고 의양宜陽에 사는 백성은 다시 돌아와 살게 하려 하는데, 지금 그대는 도리어 이를 거두어들이도록 하고 있으니 일이 매우 어렵습니다.”
상수가 말하였다.
“그러면 어찌해야 좋소?
무수 땅은 차지하지 못하고 말 것인데요.”
소대가 말하였다.
“공께서는 어찌하여 진나라의 위세를 빌어 한나라를 위해 초나라에게 영천潁川을 달라고 하지 않습니까?
이는 본래 한나라에 붙은 땅이었습니다.
공께서 요구해서 성공하면 이는 그대의 명령이 초나라에 먹히는 것으로, 한나라는 크게 당신을 은혜롭게 여길 것이며, 공께서 요구해도 얻지 못하면 이는 한나라와 초나라의 원한이 풀리지 않아, 그들은 서로의 세력 다툼 끝에 경쟁하듯 진나라를 섬기려 들 것입니다.
진나라‧초나라가 을 다툴 때 공께서 초나라를 나무라며 한나라를 공략하면 이는 바로 진나라의 이익이 됩니다.”
상수가 말하였다.
“왜 그렇단 말이오?”
소대가 말하였다.
“이는 좋은 계기입니다.
감무는 위나라와 합쳐 나라를 치고 싶어하고 공손학은 한나라와 더불어 제나라를 치려 합니다.
그런데 지금 그대는 의양宜陽을 취한 것으로 이미 공을 세웠으니, 초나라‧한나라를 끌어들여 그들을 안정시키고 다시 제나라‧위나라의 잘못을 성토하십시오.
이렇게 하면 공손학이나 감무는 할 일이 없어지게 됩니다.”


역주
역주1 : 이 장의 이야기는 《史記》 〈甘茂列傳〉에도 실려 있으며, 《史記》 〈樗里子甘茂列傳〉에는 韓公仲이 소대를 시켜 向壽에게 말한 것으로 되어 있다. 向壽는 秦나라 宣太后(昭王의 母)의 外族, 秦 昭王에게 총애를 얻어 秦이 韓의 宣陽을 점거하자 向壽를 派遣하여 지키게 하였다. 그 후 다시 韓을 공격하려 하자 韓公仲이 蘇代를 시켜 向壽를 설득시켰다.
역주2 中封 : 楚나라 國內에서 封해 준다는 뜻.
역주3 小令尹 : 副令尹, 楚나라의 官名.
역주4 桂(杜)陽 : 원문 ‘桂’는 ‘杜’를 《史記》 〈樗里子甘茂列傳〉에 의하여 ‘杜‘로 고쳤다. 秦地, 陝西省 麟遊縣.
역주5 公孫郝 : 公孫衍. 원래 公孫郝은 ‘公孫奭’으로도 표기한다. 〈秦策〉 ‘公孫衍欲窮張儀’의 註 참고.
역주6 武遂 : 韓나라 땅. 山西省 臨汾縣. 秦 武王 4년에 탈취했다가 이듬해(昭王 元年)에 되돌려 주었다.
역주7 潁川 : 河南城 許昌縣. 韓地였으나 楚에게 빼앗겼다.

전국책(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