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戰國策(2)

전국책(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전국책(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在楚.
於鄢陵曰:
“公必且待齊‧楚之合也, 以救?
今齊‧楚之理, 必不合矣.
之所惡於國者, 無公矣.
其人皆欲合齊‧秦外楚以輕公,
公必謂曰: 『魏之受兵, 非秦實首伐之也,
楚惡魏之事王也, 故勸秦攻魏.』
齊王故欲伐楚, 而又怒其不己善也,
必令魏以地聽秦而爲和.
之强, 有秦‧韓之重, 齊王惡之, 而魏王不敢據也.
今以齊‧秦之重, 外楚以輕公, 臣爲公患之.
鈞之出地, 以爲和於秦也, 豈若由楚乎?
秦疾攻楚, 楚還兵, 必懼,
公因北以予秦而爲和, 合親以孤齊,
秦‧楚重公, 公必爲相矣.
臣意秦王與之欲之也,
臣請爲公說之.”
樗里子曰:
“攻皮氏, 此王之首事也, 而不能拔,
天下且以此輕秦.
且有皮氏. 於以攻韓‧魏, 利也.”
樗里子曰:
“吾已合魏矣,
無所用之.”
對曰:
“臣願以鄙心意公, 公無以爲罪.
有皮氏, 國之大利也,
而以與魏, 公終自以爲不能守也,
故以與魏.
今公之力有餘守之, 何故而弗有也?”
樗里子曰:
“奈何?”
曰:
“魏王之所恃者, 齊‧楚也; 所用者, 樓鼻‧翟强也.
今齊王謂魏王曰: ‘欲講, 攻於齊王兵之辭也,
是弗救矣.’
楚王怒於魏之不用樓子, 而使翟强爲和也, 怨顔已絶之矣.
魏王之懼也見亡, 翟强欲合齊‧秦外楚, 以輕樓鼻;
樓鼻欲合秦‧楚外齊, 以輕翟强.
公不如按魏之和, 使人謂樓子曰: ‘子能以汾北與我乎?
請合於楚外齊, 以重公也,
此吾事也.’
樓子與楚王必疾矣.
又謂翟子: ‘子能以汾北與我乎?
必爲合於齊外於楚, 以重公也.’
翟强與齊王必疾矣.
是公外得齊‧楚以爲用, 內得樓鼻‧翟强以爲佐,
何故不能有地於乎?”


343. 태자太子나라에 있을 때
나라 태자太子()가 나라에 있을 때였다.
〈어떤 사람이 태자의 수행원〉 누자樓子에게 언릉鄢陵에서 말하였다.
께서는 나라와 나라가 연합하여 귀국의 피씨皮氏 땅을 구원해 줄 것을 기다리고 있지요?
그러나 지금 이치로 보아 틀림없이 제나라와 초나라는 연합될 수 없을 것입니다.
귀국의 적강翟强이 미움을 받고 있는 것은 그대가 없기 때문입니다.
그 적강의 무리들은 모두 제나라와 나라를 결합하여 초나라를 배제함으로써 을 경시하려 합니다.
그러니 공께서는 제왕齊王에게 ‘위나라가 진나라의 침략을 받는 것은 결코 진나라가 앞장서서 자신의 뜻에 의해 시작된 것이 아닙니다.
바로 위나라가 제나라를 섬기는 것을 미워한 초나라가 진나라를 부추겨 위를 공격하는 것입니다.’라고 하십시오.
그러면 제왕齊王은 초나라를 치려 할 것이며, 또한 초나라가 자신에게 잘 대해 주지 않는 점에 대해 노할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위나라에게는 땅을 진나라에게 떼어 주면서 강화를 맺으라고 권할 것입니다.
〈지금 초나라는〉 장의張儀의 위세에다가 나라‧나라의 함을 받고 있어 제왕齊王이 미워하고 있어 위왕 역시 이를 아는 한 쉽게 덤비지 못합니다.
지금 제나라와 진나라의 함을 업고 초나라를 배제하여 을 가볍게 하는 상황을, 저는 공을 위하여 걱정스럽게 여기고 있습니다.
제나라와 초나라가 고루 땅을 떼어 진나라와 강화講和하면서 어찌 모두 초나라를 중개로 하겠습니까?
진나라가 초나라를 매우 급박하게 공격하여 초나라가 군사를 물리면 위왕은 반드시 두려움을 느낄 것입니다.
그때 공께서는 분수汾水의 북쪽을 진나라에게 떼어 주고 강화하고 진나라와 친교를 맺어 제나라를 고립시키는 것입니다.
그리하여 진나라‧초나라가 을 중히 여기면 공께서는 틀림없이 위나라 이 될 수 있습니다.
제가 알기로는 진왕秦王(무왕武王)과 〈진나라 장수〉 저리질樗里疾 또한 이를 원하고 있습니다.
제가 공을 위하여 진나라에 가서 설득해 드리겠습니다.”
그리고 진나라에 가서 저리질에게 이렇게 말하였다.
“피씨 땅을 공격하는 일은 왕의 가장 큰 관심사인데 아직 함락시키지 못하고 있습니다.
천하 제후들은 이 일로 진나라를 매우 깔보고 있습니다.
더구나 피씨를 차지하기만 하면 다음으로 한나라‧위나라의 공격에도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저리질이 말하였다.
“내가 이미 위나라와 강화를 맺었소.
더 이상 그럴 필요가 없소.”
그가 말하였다.
“저의 어리석은 생각으로 귀하의 의중을 들춰보이겠으니, 공께서 저에게 죄를 내리지 않으시기 바랍니다.
피씨를 차지하는 것은 나라에 큰 이익이 됩니다.
그런데 이를 위나라에게 되돌려 준 것은 공께서 끝내 지켜내기 어려울 것이라는 판단 때문이었지요.
그래서 위나라에게 준 것입니다.
그러나 지금 공께서는 공격하고도 지켜 낼 여유까지 있는데, 어찌하여 이를 소유하지 않습니까?”
저리질이 말하였다.
“그게 무슨 뜻이오?”
그가 말하였다.
“위나라 왕이 믿고 있는 것은 나라와 초나라이며 위왕이 부리고 있는 신하는 누비樓鼻적강翟强입니다.
지금 제왕이 위왕에게 ‘나라와 강화講和하여 우리 나라를 치려 한다.’라고 말합니다.
이는 싸우겠다는 선언宣言이나 마찬가지여서 구원하지 않을 것입니다.
초왕은 위나라가 누자樓子를 재상으로 삼지 않은 데 대하여 노하여, 적강으로 하여금 강화에 임하라고 하면서 원망스런 얼굴빛으로 위나라와 절교해 버렸습니다.
위왕은 나라가 곧 망할 것을 두려워하고 적강은 적강대로 제나라와 진나라를 결합시켜 초나라를 멀리하면서 누비를 멸시하고 있습니다.
또 누비는 누비대로 진나라와 초나라를 결합시켜 제나라를 배제함으로써 적강에게 타격을 주려 하고 있습니다.
그러니 공께서는 위나라의 강화를 저지하면서 누비에게 사람을 보내어 ‘그대 누비는 나 저리질에게 분수汾水의 북쪽 땅을 줄 수 있소?
그러면 초나라와 연합하고 제나라를 배제하여 그대가 중용되도록 해 주겠소.
이것이 내가 해 줄 수 있는 일이오.’라고 전하게 하십시오.
그러면 누비와 초왕은 틀림없이 쾌히 응낙할 것입니다.
다음 다시 적강에게도 ‘그대 적강은 나에게 분수의 북쪽 땅을 줄 수 있소?
그러면 제나라와 연합하여 초나라를 배제하여 그대가 중용되도록 해 주겠소.’라고 말하십시오.
그러면 적강과 제나라가 틀림없이 쾌히 응낙할 것입니다.
이는 공께서 밖으로 제나라‧초나라를 얻어 활용할 수 있고, 안으로는 누비와 적강을 보좌로 삼을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어찌 하동河東에 땅을 갖지 못할 리 있겠습니까?”


역주
역주1 : 이 사건은 B.C.306년의 일이다. 330‧385장 등 참조.
역주2 魏 太子 : 魏나라 公子 政. 뒤에 魏의 昭王이 되었다. 《史記》 〈魏世家〉에 의하면 太子 政은 B.C.307년에 秦나라에 갔으며, 皮氏之戰(330‧397장)이 일어나자 樓鼻의 책략에 따라 楚나라에 갔다.
역주3 樓子 : 樓鼻로도 쓴다. 太子 政에게 皮氏之戰의 해결을 위해 楚나라에 함께 가기를 청하여 수행하였던 인물. 357‧385장 참조.
역주4 皮氏 : 지금의 山西省 河津縣 서남. 魏 땅. 皮氏싸움은 330‧397장 참조.
역주5 翟子 : 翟强, 魏나라 신하.
역주6 齊王 : 宣王. 《史記》에는 閔王으로 되어 있다.
역주7 張子 : 張儀, 連橫說을 주장하였다.
역주8 魏王 : 惠王, 혹은 襄王.
역주9 寄(割)汾 : 鮑彪本에는 ‘寄’가 ‘割’로 되어 있다. 汾은 汾水, 지금의 山西省 寧武縣에서 발원하여 陽曲‧太原‧河津을 거쳐 황하로 들어가는 물.
역주10 樗里疾 : 秦나라 장수.
역주11 請(謂) : 鮑彪本에 의하여 ‘謂’로 고쳤다.
역주12 河東 : 지금의 山西省 黃河 以東 지역.

전국책(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