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戰國策(2)

전국책(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전국책(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82. 秦攻魏
秦攻魏, 取, 諸侯皆賀.
趙王使往賀, 三反不得通.
趙王憂之, 謂左右曰:
“以秦之强, 得寧邑, 以制齊‧趙. 諸侯皆賀, 吾往賀而獨不得通,
此必加兵我, 爲之奈何?”
左右曰:
“使者三往不得通者, 必所使者非其人也.
者, 辨士也, 大王可試使之.”
諒毅親受命而往. 至秦, 獻書秦王曰:
“大王廣地寧邑, 諸侯皆賀,
敝邑寡君亦竊嘉之, 不敢寧居, 使下臣奉其幣物三至王廷, 而使不得通.
使若無罪, 願大王無絶其歡; 若使有罪, 願得請之.”
秦王使使者報曰:
“吾所使趙國者, 小大皆聽吾言, 則受書幣; 若不從吾言, 則使者歸矣.”
諒毅對曰:
“下臣之來, 固願承大國之意也, 豈敢有難?
大王若有以令之, 請奉而行之, 無所敢疑.”
於是秦王乃見使者, 曰:
, 數欺弄寡人.
趙能殺此二人, 則可; 若不能殺, 請今率諸侯受命邯鄲城下.”
諒毅曰:
“趙豹‧平原君, 親寡君之母弟也, 猶大王之有葉陽‧涇陽君也.
大王以孝治聞於天下, 衣服使之便於體, 膳啗使之嗛於口, 未嘗不分於葉陽‧涇陽君.
之車馬衣服, 無非大王之服御者.
臣聞之: ‘有覆巢毁卵, 而鳳皇不翔; 刳胎焚夭, 而騏驎不至.’
今使臣受大王之令以還報, 敝邑之君, 畏懼不敢不行,
無乃傷葉陽君‧涇陽君之心乎?”
秦王曰:
“諾.
勿使從政.”
諒毅曰:
“敝邑之君, 有母弟不能敎誨, 以惡大國, 請黜之, 勿使與政事, 以稱大國.”
秦王乃喜, 受其而厚遇之.


282. 나라가 나라를 공격하다
나라가 나라를 공격하여 영읍寧邑을 취하자 제후들이 모두 축하하였다.
조왕趙王(혜문왕惠文王)도 사람을 보내 축하의 말을 전하려 했으나 사신이 세 번이나 갔다가 되돌아오고 말았다.
조왕은 걱정이 되어 좌우左右에게 말하였다.
“진나라는 그 강한 힘으로 영읍을 취해 제나라와 조나라를 제압하고 있는 이때, 모든 제후들이 모두 축하하기에 나도 사신을 보내어 축하를 하려 했지만 우리만 받아 주지 않는다.
이는 틀림없이 우리를 칠 속셈인 것 같은데 어쩌면 좋겠는가?”
좌우가 대답하였다.
“사신이 세 번이나 갔다 통하지 못한 것은 틀림없이 그 사자가 적임자가 아니었기 때문일 것입니다.
양의諒毅라고 하는 변사辨士가 있으니, 대왕께서는 그를 시험삼아 보내 보십시오.”
양의는 직접 왕의 명을 받고 진나라로 가서 진왕秦王(소양왕昭襄王)에게 글을 올렸다.
“대왕이 영읍을 얻어 땅을 넓히자 제후들이 모두 축하하고 있습니다.
저희 나라 임금께서도 역시 은근히 이를 축하하여 감히 모른 체 편히 있을 수 없어, 신하를 보내 선물을 올리게 하였지만 세 번이나 대왕의 궁정 앞에 이르러 사신을 통과시켜 주지 않았습니다.
사신이 만약 죄가 없다면 원하옵건대 대왕께서는 그 기쁨을 끊지 말아 주시고, 만약 죄가 있다면 원컨대 그 벌을 기다리겠습니다.”
진왕이 사신을 시켜 회보回報하였다.
“내가 조나라에 시키는 모든 일을 대소大小에 관계없이 다 들어 준다면 서폐書幣를 받을 것이요, 만약 내 말을 따르지 않겠다면 사자는 돌아가라.”
양의가 대답하였다.
“제가 여기까지 온 것은 바로 대왕의 명을 받들어 모시기 위해서인데, 어찌 감히 어렵게 여기겠습니까?
대왕께서 명령하시면 즉시 받들어 행하겠으니, 의심하지 마십시오.
이리하여 진왕은 조의 사자를 접견하고 말하였다.
“당신 나라의 조표趙豹평원군平原君은 자주 나를 우롱하였소.
조나라가 이 두 사람을 죽여준다면 다행이지만 만약 죽여주지 않는다면 지금 곧 제후의 군대를 이끌고 한단邯鄲 성 아래에서 명을 기다리겠소.”
양의가 대답하였다.
“조표와 평원군은 우리 임금의 모제母弟로 마치 대왕의 엽양군葉陽君경양군涇陽君과 같습니다.
대왕께서는 로써 나라를 다스린다고 천하에 이름이 나 있어서 옷은 그 몸에 맞게 해 주며, 음식도 그 입에 맞게 해주어 어느 것 하나도 섭양군이나 경양군에게 나눠주지 않은 것이 없습니다.
그래서 섭양군과 경양군의 수레‧말‧의복은 한결같이 대왕의 거마車馬 의복과 같지 않은 것이 없습니다.
제가 듣기에 ‘둥지가 엎어져 알이 깨진[복소훼란覆巢毁卵]’ 근처에는 봉황이 찾아들지 아니하며, ‘짐승의 가 상하여 새끼가 죽은[고태분요刳胎焚夭]’ 옆에는 기린이 이르지 않는다.’라고 합니다.
지금 제가 대왕의 명령을 받들고 저희 나라 임금께 보고하면 저희 대왕은 두려워 감히 실행하지 아니할 수 없을 것입니다.
그러면 조표나 평원군과 같은 입장의 섭양군‧경양군이 상심하지 않겠습니까?”
진왕이 말하였다.
“좋소.
그럼 그 둘로 하여금 더 이상 정치에 참여하지 못하게만 해 주오.”
양의가 말하였다.
“저희 임금이 모제母弟조차 잘 가르치지 못하여 대국에게 미움을 받게 되었으니, 청컨대 축출하여 더 이상 정치에 참여하지 못하게 하여 대국의 뜻을 따르겠습니다.”
진왕은 기뻐하여 폐백을 받아 주고, 양의를 후하게 대접했다.


역주
역주1 寧邑 : 지금의 河南省 寧陵縣.
역주2 諒毅 : 趙人, 辯士.
역주3 [西] : 鮑彪本에 의하여 衍文으로 처리하였다.
역주4 趙豹‧平原君 : 둘 모두 惠文王의 동생. 趙豹는 平陽君, 平原君은 趙勝.
역주5 葉陽君‧涇陽君 : 《史記》 〈穰侯列傳〉에 의하면, 소양왕의 同母弟로는 高陵君(이름 顯)‧涇陽君(이름 悝)만 있을 뿐 葉陽君은 없다.
역주6 弊(幣) : 원문 ‘弊’는 ‘幣’의 誤字.

전국책(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