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戰國策(2)

전국책(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전국책(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齊伐宋, 宋急.
蘇代乃遺燕昭王書曰:
“夫列在萬乘, 而寄質於齊, 名卑而權輕.
齊助之伐宋, 民勞而實費;
破宋, 殘楚淮北, 肥大齊, 讎强而國弱也.
此三者, 皆國之大敗也, 而足下行之, 將欲以除害取信於齊也.
而齊未加信於足下, 而忌燕也愈甚矣.
然則足下之事齊也, 失所爲矣.
夫民勞而實費, 又無尺寸之功, 破宋肥讎, 而世負其禍矣.
足下以宋加淮北, 强萬乘之國也,
而齊幷之, 是益一齊也.
北夷方七百里, 加之以魯‧衛, 此所謂强萬乘之國也, 而齊幷之, 是益二齊也.
夫一齊之强, 而燕猶不能支也, 今仍以三齊臨燕, 其禍必大矣.
雖然, 臣聞知者之擧事也, 轉禍而爲福, 因敗而成功者也.
齊人紫敗素也, 而賈十倍.
越王勾踐棲於會稽, 而後殘吳霸天下. 此皆轉禍而爲福, 因敗而爲功者也.
今王若欲轉禍而爲福, 因敗而爲功乎?
則莫如遙伯齊而厚尊之,
使使盟於周室, 盡焚天下之秦符,
約曰: ‘夫上計破秦, 其次長賓之.’
秦挾賓客以待破, 秦王必患之.
秦五世以諸侯, 今爲齊下;
秦王之志, 苟得窮齊, 不憚以一國都爲功.
然而王何不使布衣之人, 以窮齊之說說秦?
謂秦王曰: ‘燕‧趙破宋肥齊尊齊而爲之下者, 燕‧趙非利之也.
弗利而勢爲之者, 何也?
以不信秦王也.
今王何不使可以信者接收燕‧趙?
先於燕‧趙, 秦有變, 因以爲質, 則燕‧趙信秦矣.
秦爲西帝, 趙爲中帝, 燕爲北帝, 立爲三帝而以令諸侯.
韓‧魏不聽, 則秦伐之; 齊不聽, 則燕‧趙伐之,
天下孰敢不聽?
天下服聽, 因驅韓‧魏以攻齊, 曰, 必反宋地, 而歸楚之淮北.
夫反宋地, 歸楚之淮北, 燕‧趙之所同利也.
並立三帝, 燕‧趙之所同願也.
夫實得所利, 名得所願, 則燕‧趙之棄齊也, 猶釋弊躧.
今王之不收燕‧趙, 則齊伯必成矣.
諸侯戴齊, 而王獨弗從也, 是國伐也.
諸侯戴齊, 而王從之, 是名卑也.
王不收燕‧趙, 名卑而國危;
王收燕‧趙, 名尊而國寧.
夫去尊寧而就卑危, 知者不爲也.’
秦王聞若說也, 必如刺心然,
則王何不務使知士以若此言說秦?
秦伐齊必矣.
夫取秦, 上交也; 伐齊, 正利也.
尊上交, 務正利, 聖王之事也.”
燕昭王善其書, 曰:
“先人嘗有德蘇氏, 子之之亂, 而蘇氏去燕.
燕欲報仇於齊, 非蘇氏莫可.”
乃召蘇氏, 復善待之. 與謀伐齊,
竟破齊, .


454. 나라가 나라를 치다
나라가 나라를 공벌하여 송나라가 급하게 되었다.
소대蘇代 소왕昭王에게 글을 써서 올렸다.
“무릇 같은 만승지국萬乘之國인 연나라가 제나라에게 인질을 보내 놓고 있으니 이는 명예도 떨어지고 권세도 낮아지는 처사입니다.
또 제나라를 받들어 송나라를 치게 하시니 백성은 고달프고 비용도 낭비하고 있습니다.
제나라가 송나라를 깨뜨리고 나라의 회북淮北 지역까지 잔폐시켜 제나라를 비대하게 하시니 이는 원수 나라는 강해지고 연나라는 약해지는 것입니다.
이상의 세 가지는 큰 실패인데도 족하께서 이를 실행하시는 것은 장차 나라의 를 제거해 제나라의 신임을 얻고자 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제나라는 족하를 더 신임하는 일이 없으며 도리어 연나라를 기피忌避하는 것이 더 심해지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왕께서 제나라를 섬기는 것은 잘못된 일입니다.
무릇 백성은 고달프고 비용이 낭비되며, 그러면서 한 뼘의 공도 얻지 못하고 도리어 송나라를 격파시켜 원수를 살찌게 하시니 대대로 그 를 짊어져야 할 것입니다.
족하께서는 송나라와 회북澮北까지 합하면 강한 만승지국이 됩니다.
이를 제나라가 병탄하게 되면 이는 연나라로서는 또 다른 제나라가 하나 더 있는 것과 같은 부담이 됩니다.
그리고 북이北夷 지역 7백 리에 나라‧나라를 합치면 이것만도 하나의 만승지국이 되는데, 또한 이를 제나라가 삼키게 되면 똑같은 제나라가 둘 더 보태는 셈이 됩니다.
무릇 지금 하나의 제나라도 연나라로서는 감당하지 못하고 있는데, 세 개의 제나라가 연나라를 침범해 오면 그 화가 틀림없이 대단할 것입니다.
비록 그렇다고는 하나 제가 듣기로 지혜로운 자가 일을 처리할 때는 를 복으로 전환시키며 실패를 바탕으로 공을 이룬다고 하였습니다.
예를 들면 제나라 〈사람들이 좋아하는〉 보라색 옷감은 사실 그 천은 본시 아주 질이 낮은 흰 천인데 거기 물감을 들여 값이 비단보다 열 배나 된 것입니다.
월왕越王 구천勾踐이 패배하여 회계산會稽山으로 쫓겨가 숨었었지만 끝내 나라를 부수고 천하의 패자가 되었으니, 이것이 바로 화를 돌려 복을 만들고 실패를 바탕으로 공을 이루는 것입니다.
지금 왕께서 화를 돌려 복을 만들고 실패를 인하여 공을 이루고 싶습니까?
그러면 먼저 멀리 제나라를 패자霸者로 인정하고 높이 받드느니만 못합니다.
그리고 나서 사신을 나라에 보내어 천하가 서쪽 나라와 맺은 계약서를 다 불태워 버리십시오.
그리고는 제후들과 약속하기를 ‘최상책은 진나라를 깨버리는 것이며, 진나라를 장구적으로 배척하는 것이 차선책이다.’라고 하십시오.
진나라는 다른 제후의 빈객들을 끼고 그저 망하는 것만 기다리게 됨으로써 진왕이 틀림없이 걱정하게 됩니다.
진나라는 오세五世 전부터 제후들이 침략侵略해 왔으나 지금은 제나라 밑에 놓이게 되었습니다.
진왕의 뜻은 어떻게 해서든지 제나라를 곤궁에 몰아넣는 것이므로 한 국도國都 정도의 땅도 아낌없이 내놓을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왕께서는 어찌하여 하나의 포의布衣 유세객을 진나라에 보내어 제나라를 곤궁에 몰아넣을 방법을 설득하지 않습니까?
진왕에게 ‘연나라나 조나라가 송나라를 멸망시키고 제나라를 비대하게 해 주고 제나라를 받들고 있지만 연나라에 이로워서 그런 것이 아닙니다.
불리하지만 형세가 어쩔 수 없어 그렇게 하고 있는 것은 무슨 까닭이겠습니까?
그 이유는 바로 진왕秦王을 믿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지금 왕께서는 어찌 믿음으로써 연나라‧조나라를 거두어들이지 않습니까?
경양군涇陽君이나 고릉군高陵君 같은 이로 하여금 먼저 연나라‧조나라에 보내어 진나라가 변심하면 이들을 인질로 삼아도 좋다고 하면 두 나라는 진나라를 믿을 것입니다.
그리하여 진나라는 서제西帝로, 조나라는 중제中帝, 연나라는 북제北帝가 되어 삼제三帝로 즉위한 다음 천하 제후를 명령하면 됩니다.
한나라‧위나라가 듣지 않으면 진나라가 이를 토벌하고, 제나라가 듣지 않으면 연나라‧조나라가 이를 치면 됩니다.
그러면 천하에 감히 누가 거역하겠습니까?
천하가 명령을 듣고 복종하게 되면 한나라‧위나라를 몰아 제나라를 치면서 송나라 땅을 되돌려 주고, 초나라의 회북淮北을 반환하라고 요구하면 됩니다.
무릇 송나라가 잃었던 땅을 찾고 초나라가 회북을 되찾게 되면, 연나라‧조나라는 함께 그 이로움을 누리게 됩니다.
그리고 삼제三帝의 체제는 연나라와 조나라가 함께 바라는 일입니다.
무릇 실제로 이득을 얻고 원하는 명분도 얻게 되면 연나라‧조나라는 제나라를 마치 헌신짝 버리듯 버릴 것입니다.
지금 진왕께서 연나라‧조나라를 거두어 같은 편을 만들지 않으면 제나라는 틀림없이 패업을 성공시킬 것입니다.
그러면 제후들은 모두 제나라를 떠받들 것이며, 진나라 왕은 그 합종에 참여시켜 주지도 않아 나라가 침공侵攻을 받게 됩니다.
제후들이 모두 제나라를 받들고 있으니 진나라도 거기에 따르면 이는 명예를 떨어뜨리는 일입니다.
왕께서 연나라‧조나라를 거두어 연합하지 못하고 명예도 낮아지게 되면 나라가 위험해집니다.
〈반대로〉 왕께서 연나라‧조나라를 거두고 명예도 높이면 나라가 편안해지는 것입니다.
무릇 이러한 명예와 안녕을 버리고 비천과 위험을 택하는 것은 지혜로운 자가 할 일이 아닐 것입니다.’ 라고 하십시오.
진왕秦王이 이 말을 들으면 틀림없이 가슴을 찌르는 것 같은 아픔을 느낄 것입니다.
그런데 왕께서는 어찌 급히 사람을 시켜 이런 말을 진왕에게 하지 않으십니까?
그러면 진나라는 틀림없이 제나라를 칠 것입니다.
무릇 진나라를 끌어들이는 것이 최선의 외교이며, 제나라를 치는 것은 가장 정당한 이익입니다.
최선의 외교를 높이고 정당한 이익을 위해 힘쓰는 것은 성왕聖王의 일입니다.”
연 소왕은 그 글을 읽고 훌륭하다고 여겨 말하였다.
“나의 선왕께서 소씨蘇氏 형제의 덕을 많이 입었는데 자지子之의 난 때 그만 우리 연나라를 떠나고 말았다.
연나라가 제나라에게 복수하는 일은 소씨가 아니면 불가능하다.”
이에 소대를 불러 후하게 잘 대접해 주면서 함께 제나라를 칠 계획을 짰다.
그리하여 마침내 제나라를 깨뜨리자 민왕閔王은 도망가고 말았다.


역주
역주1 : 이 이야기는 《史記》 〈蘇秦列傳〉의 蘇代 부분에도 수록되어 있다.
역주2 秦(奉) : 鮑彪本에 의하여 ‘奉’으로 고쳤다.
역주3 [秦] : 《史記》 〈蘇秦列傳〉에 의하여 衍文으로 처리하였다.
역주4 結(伐) : 帛書本 및 《史記》 〈蘇秦列傳〉에 의하여 ‘伐’로 고쳤다.
역주5 今(令) : 《史記》 〈蘇秦列傳〉에 의하여 ‘令’으로 고쳤다.
역주6 涇陽君 高陵君 : 涇陽君은 秦 昭王의 同母弟. 084‧282‧300‧452장 참조. 高陵君 역시 같다. 084장 참조.
역주7 閔王出走 : 453장 참조. B.C.284년의 일.

전국책(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