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戰國策(1)

전국책(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전국책(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孟嘗君爲從. 謂孟嘗君曰:
“君不以使人先觀秦王?
意者秦王帝王之主也, 君恐不得爲臣, 奚暇從以難之?
意者秦王不肖之主也, 君從以難之, 未晩.”
孟嘗君曰:
“善,
願因請公往矣.”
公孫弘敬諾, 以車十乘之秦.
昭王聞之, 而欲媿之以辭. 公孫弘見,
昭王曰:
“薛公之地, 大小幾何?”
公孫弘對曰:
“百里.”
昭王笑而曰:
“寡人地數千里, 猶未敢以有難也.
今孟嘗君之地方百里, 而因欲難寡人, 猶可乎?”
公孫弘對曰:
“孟嘗君好人, 大王不好人.”
昭王曰:
“孟嘗君之好人也, 奚如?”
公孫弘曰:
“義不臣乎天子, 不友乎諸侯, 得志不慚爲人主, 不得志不肯爲人臣, 如此者三人;
而治, 可爲之師, 說義聽行, , 如此者五人;
萬乘之嚴主也, 辱其使者, 退而自刎, 必以其血洿其衣, 如臣者十人.”
昭王笑而謝之, 曰:
“客胡爲若此!
寡人直與客論耳!
寡人善孟嘗君, 欲客之必諭寡人之志也!”
公孫弘曰:
“敬諾.”
公孫弘可謂不侵矣.
昭王, 大國也. 孟嘗, 千乘也. 立千乘之義而不可陵, 可謂足使矣.


맹상군孟嘗君합종合從을 이루다.
맹상군孟嘗君합종合從을 이루자 공손홍公孫弘이 맹상군에게 말하였다.
“군께서는 어찌 먼저 사람을 시켜 진왕秦王을 관찰하지 않습니까?
생각하기에 진왕秦王이 정말 덕 있는 제왕帝王이라면 께서는 그러한 왕 밑에서 신하가 되지 못할까 염려할 것인데, 어느 겨를에 합종으로 대항할 수 있겠습니까?
또 생각하기에 진왕秦王이 불초한 임금이라면 그때에 가서 합종하여 대항해도 늦지 않을 것입니다.”
맹상군이 말하였다.
“좋소.
그렇다면 원컨대 이 가 주기를 청하오.”
공손홍이 쾌히 승락하고 수레 10 승으로 나라에 갔다.
소왕昭王이 이를 듣고는 말로 골려주려고 생각하고 있는데 공손홍이 나타났다.
소왕이 물었다.
“설공의 영토가 크기가 얼마나 되오?”
공손홍이 대답하였다.
“1백 리 정도입니다.”
소왕은 웃으며 말하였다.
“과인의 영토는 수천 리가 되어 그 누구도 감히 덤비지 못하고 있소.
그런데 지금 맹상군이 겨우 1백 리밖에 되지 않은 영토로 나를 대항한다고 하니 가능하겠소?”
공손홍이 대답하였다.
“맹상군은 선비를 좋아하는데 대왕께서는 선비를 존중하지 않으십니다.”
소왕이 말하였다.
“맹상군이 선비를 우대한다 하는데, 어떤 사람들입니까?”
공손홍이 말하였다.
정의正義를 굳게 지켜 천자天子의 신하도 되지 않고, 제후의 친구도 되지 않으며, 뜻을 얻으면 군주가 되어도 부끄러움이 없는 자들, 뜻을 얻지 못하더라도 남의 신하가 되지 않는 이들, 이런 자들이 그의 문하에는 세 명이나 있습니다.
또 나라를 다스리게 하면 관중管仲이나 상앙商鞅의 스승이 될 수 있고, 도리道理를 강론하면 에 부합하고, 그의 말대로 실행하면 능히 그 주인을 패자霸者로 만들 수 있는 자, 이러한 인물이 다섯 명이나 됩니다.
또 1만 승의 엄주嚴主라 해도 그 사신使臣을 모욕할 경우, 물러나서 스스로 목을 찔러 그 피를 왕의 옷깃에 흩뿌릴 만한 용기를 가진 저 같은 자가 열 명이나 됩니다.”
소왕은 웃으면서 사과하였다.
께서는 어찌 그렇게까지 하시오!
과인은 그대를 손님으로 여겨 담론하는 것뿐이오!
과인은 맹상군과 우호友好하고자 하니, 그대가 반드시 과인의 뜻을 잘 알려 주기 바라오.”
공손홍이 말하였다.
“공경히 받들겠습니다.”
공손홍은 가히 욕보일 수 없는 선비라고 할 만하다.
소왕昭王은 대국을 가진 군주요, 맹상군은 1천 승밖에 되지 않는 인데도 천승千乘를 세워 능멸을 받지 않았으니, 사신이 되기에 충분한 인물이라 하겠다.


역주
역주1 149. 孟嘗君爲從 : 이 일은 齊 湣王 초기의 일로 孟嘗君이 秦나라에 간 것은 그 뒤의 일이다.
역주2 公孫弘 : 전국 때 齊나라 사람.
역주3 : 管仲, 春秋時代 齊 桓公의 賢相으로 齊나라를 霸國으로 만들었다. 《史記》 〈管晏列傳〉 참조.
역주4 : 商鞅, 전국시대 秦 孝公을 도운 法家로 가혹한 行政을 펴 富國强兵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史記》 〈商君列傳〉 참조.
역주5 能致其〈主霸王〉 : 《呂氏春秋》 〈不侵〉에 의거하여 主霸王 3자를 보충하였다.

전국책(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