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戰國策(2)

전국책(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전국책(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329. 秦召魏相信安君
秦召魏相, 信安君不欲往.
蘇代爲說秦王曰:
“臣聞之, 忠不必當, 當必不忠.
今臣願大王陳臣之愚意, 恐其不忠於下吏, 自使有要領之罪. 願大王察之.
今大王令人執事於魏, 以完其交,
臣恐魏交之益疑也; 將以塞趙也, 臣又恐趙之益勁也.
夫魏王之愛習魏信也, 甚矣; 其智能而任用之也, 厚矣; 其畏惡嚴尊秦也, 明矣.
今王之使人入魏而不用, 則王之使人入魏無益也.
若用, 魏必舍所愛習而用所畏惡,
此魏王之所以不安也.
夫舍萬乘之事而退, 此魏信之所難行也.
夫令人之君處所不安, 令人之相行所不能, 以此爲親, 則難久矣.
臣故恐魏交之益疑也.
且魏信舍事, 則趙之謀者必曰: ‘舍於秦, 秦必令其所愛信者用趙.
是趙存而我亡也, 魏安而我危也.’
則上有野戰之氣, 下有堅守之心,
臣故恐趙之益勁也.
大王欲完魏之交, 而使趙小心乎?
不如用魏信而尊之以名.
魏信事王, 國安而名尊;
離王, 國危而權輕.
然則魏信之事主也, 上所以爲其主者忠矣, 下所以自爲者厚矣, 彼其事王必完矣.
趙之用事者必曰: ‘魏氏之名族不高於我, 土地之實不厚於我. 魏信以魏事秦, 秦甚善之, 國得安焉, 身取尊焉.
今我難於秦兵爲招質,
國處削危之形,
非得計也.
結怨於外, 患於中, 身處死亡之地, 非完事也.’
彼將傷其前事, 而悔其過行; 冀其利, 必多割地以深下王.
則是大王垂拱之割地以爲利重,
堯‧舜之所求而不能得也.
臣願大王察之.”


329. 나라가 나라 재상 신안군信安君을 부르다
나라가 나라 재상 신안군信安君을 부르니, 신안군이 가고자 하지 않았다.
소대蘇代가 이를 위하여 진왕秦王(소왕昭王)에게 유세하였다.
“제가 듣건대 충성을 다하는 자는 을 맺지 않고 을 맺는 자는 반드시 충성되지 않다고 합니다.
지금 저는 대왕을 위해 저의 어리석은 뜻을 진달할까 하는데, 하리下吏에게 불충不忠하여 스스로 목이 떨어지는 죄를 지을까 걱정되오니, 원컨대 왕께서는 깊이 살펴 주시기 바랍니다.
지금 대왕께서는 위나라에 사람을 보내어 위나라를 조종하여 위나라와의 외교를 완전하게 하려 하십니다.
제가 생각건대 그렇게 되면 위나라와의 외교는 더욱 의심스럽게 될까 염려되고 도리어 조나라와의 관계만 두절될 것이요, 또 조나라만 더욱 강해지지 않을까 염려됩니다.
무릇 위왕魏王(안희왕安釐王)이 위신魏信을 아주 사랑하며 또 그 지혜와 능력에다가 높은 자리에 임용하였으니 진나라를 두려워하고 존중한 것이 분명합니다.
그런데 왕께서 지금 사람을 위나라에 보냈지만, 위나라에서 써 주지 않으면 왕께서 보낸 그 사자는 아무런 쓸모가 없어집니다.
써 준다 해도 이는 위나라로서는 가장 아끼는 사람을 저버리고, 두렵고 싫은 사람을 쓰는 것입니다.
이것이 위왕이 불안해 하는 까닭입니다.
무릇 〈신안군으로서는〉 만승지국의 을 버리고 물러나기란 어려운 일입니다.
이처럼 남의 임금으로 하여금 불안에 처하게 하고, 남의 으로 하여금 행하기 어려운 일을 시키면서 이로써 서로 친교를 도모한다면 이는 결코 오래 가기가 어려울 것입니다.
이 때문에 제가 위나라와의 친교가 더욱 의심스러운 쪽으로 갈 것이라고 한 것입니다.
위신魏信이 면직되고 나면 조나라의 모책꾼들은 틀림없이 ‘위신이 진나라의 요구로 물러나면 진나라는 똑같은 방법으로 자신이 믿고 아끼는 자를 조나라에 보내어 권력을 쥘 것이다.
그렇게 되면 조나라는 존재해도 우리는 망하는 것이요, 조나라는 안전할지 모르나 나는 위험해진다.’고 할 것입니다.
위로는 야전野戰할 결의를 다질 것이요, 아래로는 끝까지 지켜내겠다는 결심을 굳힐 것입니다.
이 때문에 제가 조나라가 더욱 강해지지 않을까 걱정스럽다고 한 것입니다.
대왕께서는 위나라와 외교를 완벽하게 하면서 동시에 조나라로 하여금 조심하게 하기를 원하십니까?
그렇다면 위신魏信이 등용되어 높은 이름을 얻도록 해 주느니만 못합니다.
위신이 왕을 섬기게 되면 나라는 편안하고 그 명성도 높아집니다.
그러나 왕을 떠나게 되면 나라가 위험해 질 뿐더러 그 권위도 가벼워집니다.
위신이 임금을 섬기게 되면 위로는 그 주인을 위해 충성을 베풀 것이요, 아래로는 자신에게도 하게 될 것이며 왕을 섬김에 있어서 완전할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나라의 용사자用事者들이 틀림없이 ‘위나라는 그 명분과 족속이 우리보다 높지도 않고, 토지 또한 우리처럼 비옥하지도 않건만 위신魏信이 위나라를 보좌하며 진나라를 섬기자 진나라에서 심히 이를 좋게 여겨 그 때문에 나라의 평안도 얻고 자신의 지위도 높였다.
그런데 우리 조나라는 진나라와 맞서 싸움에 얽혀 있으면서 서로 인질을 요구하고 있다.
그래서 나라가 깎일 위험한 형세에 놓여 있다.
이는 훌륭한 계책이 못 된다.
밖으로는 원한을 쌓고 안으로는 우환이 생기며, 우리 스스로는 죽을 처지에 빠져 있으니 이는 완전한 계책이 아니다.’고 할 것입니다.
그러면서 조나라는 지난날의 일을 상심하면서 잘못된 행동을 후회하고, 나아가 그 이익을 위해 많은 땅을 떼어 바치면서 대왕께 매우 공경히 할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대왕께서는 팔짱을 늘어뜨린 채, 할양해 주는 조나라 땅을 중요한 이익으로 여기시면 됩니다.
이는 이 구하려고 해도 얻지 못한 일입니다.
저는 대왕께서 잘 헤아려 보시기 바랍니다.”


역주
역주1 信安君 : 魏의 公族으로 相國. 본문 중에 ‘魏信’이라 함은 ‘魏의 信安君’을 줄여 쓴 말인 듯함.
역주2 [韓] : 鮑彪本에 의해 衍文으로 처리하였다.
역주3 講(搆) : 鮑彪本에 의하여 ‘搆’로 고쳤다.
역주4 主(生) : 鮑彪本에 의하여 ‘生’으로 고쳤다.

전국책(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