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戰國策(1)

전국책(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전국책(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楚懷王拘張儀, 將欲殺之.
爲儀謂楚王曰:
“拘張儀, 秦王必怒.
天下見楚之無秦也, 楚必輕矣.”
又謂王之幸夫人曰:
“子亦自知且賤於王乎?”
鄭袖曰:
“何也?”
尙曰:
“張儀者, 秦王之忠信有功臣也.
今楚拘之, 秦王欲出之.
秦王有愛女而美, 又簡擇宮中佳翫麗好翫習音者, 以懽從之; 資之金玉寶器, 奉以六縣爲湯沐邑, 欲因張儀內之楚王. 楚王必愛,
秦女依强秦以爲重, 挾寶地以爲資, 勢爲王妻以臨于楚.
王惑於虞樂, 必厚尊敬親愛之而忘子,
子益賤而日疏矣.”
鄭袖曰:
“願委之於公,
爲之奈何?”
曰:
“子何不急言王, 出張子?
張子得出, 德子無已時, 秦女必不來, 而秦必重子.
子內擅楚之貴, 外結秦之交, 畜張子以爲用, 子之子孫必爲楚太子矣, 此非布衣之利也.”
鄭袖遽說楚王出張子.


회왕懷王장의張儀를 구금하다
회왕懷王장의張儀를 가두어 놓고 장차 죽이려 하였다.
근상靳尙이 장의를 위해 초왕에게 말하였다.
“장의를 가두셨으니 진왕秦王이 반드시 노할 것입니다.
그리고 천하는 초나라에게 진나라의 도움이 없음을 알게 되면 초나라를 경시輕視하게 됩니다.”
그리고는 다시 왕이 아끼는 부인夫人 정수鄭袖에게 말하였다.
“그대 역시 장차 왕에게 천시당할 것을 알고 있습니까?”
정수가 말하였다.
“무슨 말이오?”
근상이 말하였다.
“장의란 자는 진왕秦王충신忠信하고, 까지 있는 신하입니다.
지금 초나라가 그를 가두고 있으니 진왕은 반드시 구해내려고 할 것입니다.
진왕에게 사랑하는 예쁜 딸이 있는데, 모습이 아름답고 유희遊戱를 잘하고 음악을 익힌 궁중의 여자를 뽑아 그녀를 즐겁게 하여 출가出嫁할 때 딸려 보내고, 금옥보기金玉寶器를 주고 상용上庸 땅 6탕목읍湯沐邑으로 삼아 장의를 석방시키기 위해 초왕楚王에게 바칠 것인데 초왕은 틀림없이 그녀를 사랑하게 될 것입니다.
그 진나라 여인은 진나라의 강대함에 의지하여 자신을 귀중히 여길 것이고 보기寶器와 토지를 밑천으로 삼아, 그 세력이 왕의 라는 신분으로 초나라에 군림하게 될 것입니다.
왕은 오락에 빠져 틀림없이 그녀를 후히 존경하고 친애하느라 그대를 잊어버리고 말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그대는 더욱 천해지고 날로 소원해지게 될 것입니다.”
정수鄭袖가 말하였다.
“원컨대 에게 맡기겠소.
어찌 하면 좋겠소?”
근상이 말하였다.
“그대는 어찌하여 급히 왕에게 장의를 풀어 주라고 말하지 않습니까?
장의는 풀려나면 끝없이 그대를 덕스럽게 여길 것이며, 진나라 여인도 틀림없이 오지 않을 것이며, 진나라에서는 그대를 중히 여길 것입니다.
그리고 그대는 안으로 초나라의 귀한 위치를 혼자 차지하고 밖으로 진나라와 교분을 맺으며, 장의張儀를 길러 이를 이용하면 그대의 자손은 반드시 초나라의 태자가 될 것이니, 이는 포의布衣가 누릴 수 있는 이익이 아닙니다.”
정수는 급히 초왕에게 말해 장의를 풀어 주도록 하였다.


역주
역주1 194. 楚懷王拘張儀 : 본 《戰國策》 〈秦策 二〉 059장과 《史記》 〈張儀列傳〉에 의하면 張儀가 처음 秦나라의 사신으로 楚나라에 가서 懷王에게 商‧於 지방의 6백 리를 떼어 줄 테니 합종을 깨고 연횡할 것을 제의하였다. 懷王은 이를 믿고 그의 요구를 다 들어 준 후, 사신을 張儀에게 딸려 秦나라로 보낸다. 秦나라에 온 張儀는 6백 리가 아닌 6里라고 우겨, 속은 것을 깨닫고 화가 난 懷王은 秦나라를 공격하였지만 오히려 참패하고 漢中 땅을 잃게 된다. 뒤에 秦나라는 漢中 땅의 반을 되돌려 줄 테니 화해하자고 제의하게 되며 懷王은 “땅 얻기를 원하지 않으며 장의 얻기를 원한다.[不願得地 願得張儀]”고 하여 張儀를 보내 줄 것을 요구한다. 이때 張儀가 스스로 가겠다고 나섰는데 그 이유는 이미 楚나라의 幸臣인 靳尙과 사사로이 계략을 꾸미고 있었고 또 靳尙은 懷王의 愛妾인 鄭袖와 사통하고 있던 상태였다. 그러므로 장의는 아무런 두려움 없이 자신 있게 楚나라로 간 것이다. 이 이야기는 《史記》 〈張儀列傳〉에도 실려 있다.
역주2 靳尙 : 楚의 上官大夫. 일찍이 三閭大夫인 屈原과 다투어 屈原을 축출한 인물이다.
역주3 鄭袖 : 懷王의 애첩. 기지와 질투로 널리 알려진 여인이다.
역주4 上庸 : 원래 고대 庸國. 지금의 湖北省 竹山縣 근처.

전국책(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