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戰國策(1)

전국책(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전국책(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孟嘗君出行國, 至楚, 獻象床.
郢之, 直使送之, 不欲行.
見孟嘗君門人曰:
“臣, 郢之登徒也,
直送象床. 象床之直千金, 傷此若, 賣妻子不足償之.
足下能使僕無行, 先人有寶劍, 願得獻之.”
公孫曰:
“諾.”
入見孟嘗君曰:
“君豈受楚象床哉?”
孟嘗君曰:
“然.”
公孫戍曰:
“臣願君勿受.”
孟嘗君曰:
“何哉?”
公孫戍曰:
“小國所以皆致相印於君者, 聞君於齊能振達貧窮, 有之義.
小國之士, 皆以國事累君, 誠說君之義, 慕君之廉也.
今君到楚而受象床, 所未至之國, 將何以待君?
臣戍願君勿受.”
孟嘗君曰:
“諾.”
公孫戍趨而去. 未出, 至中閨, 君召而返之,
曰:
“子敎文無受象床, 甚善.
今何擧足之高, 志之揚也?”
公孫戍曰:
“臣有大喜三, 重之寶劍一.”
孟嘗君曰:
“何謂也?”
公孫戍曰:
“門下百數, 莫敢入諫, 臣獨入諫, 臣一喜; 諫而得聽, 臣二喜; 諫而止君之過, 臣三喜.
輸象床, 郢之登徒不欲行, 許戍以先人之寶劍.”
孟嘗君曰:
“善.
受之乎?”
公孫戍曰:
“未敢.”
曰:
“急受之.”
因書門版曰:
“有能揚文之名, 止文之過, 私得寶於外者, 疾入諫!”


맹상군孟嘗君이 각국을 순방하다
맹상군孟嘗君이 각국을 순방하다가 나라에 이르자 초나라에서 상아象牙로 장식한 을 선물하고자 하였다.
그래서 등도登徒에게 맡겨 이를 맹상군에게 전해 주게 했는데 그는 이 일을 수행하려 하지 않았다.
그가 맹상군의 문인 공손수公孫戍를 만나 말하였다.
“나는 등도登徒라고 합니다.
상아 상을 실어다 줄 책임을 맡았는데 이 상아 상의 값이 천금이나 되어 만약 털끝만큼이라도 흠이 나게 되면 처자妻子를 팔아도 배상하기에 부족합니다.
족하足下께서 만약 저의 이 책임을 면하게 해 준다면 선인先人께서 물려준 보검寶劒을 드리겠습니다.”
공손수가 말하였다.
“좋소.”
그리고는 들어가 맹상군에게 말하였다.
께서는 초나라의 상아 상을 받을 생각이십니까?”
맹상군이 말하였다.
“그렇다.”
공손수가 말하였다.
“저는 군께서 받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맹상군이 말하였다.
“왜 그런가?”
공손수가 말하였다.
소국小國들이 그 동안 모두 상인相印께 바친 것은, 께서 나라에 있을 때 능히 빈궁한 자를 떨치게 해 주고, 망한 자를 존치存置시켜 주고 끊어진 자를 이어주는 의리義理가 있음을 알기 때문이었습니다.
또 소국의 영걸지사英傑之士들이 귀하에게 모두 자기 나라를 맡아 달라고 매달린 것도 진실로 를 즐거워하고 의 청렴함을 사모하였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지금 초나라에 이르러 상아 상을 받으신다면 아직 이르지 않은 소국들은 무엇으로 군을 대접하겠습니까?
그러므로 저의 생각으로는 받지 않았으면 하는 것입니다.”
맹상군이 말하였다.
“좋다.”
공손수가 곧 달려나가 아직 다 가지 못하고 중간 문에 이르렀을 때 맹상군은 그를 다시 불러 되돌아오게 하였다.
그리고 말하였다.
“그대가 나에게 상아 상을 받지 말라고 한 것은 매우 좋았다.
그런데 지금 그대는 왜 걸음걸이가 그처럼 사뿐하며 의기양양해 하는가?”
공손수가 말하였다.
“저에게 크게 기쁜 일이 셋이 있는 데다가 보검 하나까지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맹상군이 말하였다.
“무슨 뜻인가?”
공손수가 말하였다.
“문하에 식객이 수백 명이지만 감히 들어와 하지 못하는데 제가 홀로 들어와 했으니 이것이 저의 첫 번째 기쁨이요, 간한 말을 들어주시니 이것이 저의 두 번째 기쁜 일이요, 간하여 군의 과실을 중지하게 했으니 이것이 저의 세 번째 기쁜 일입니다.
그리고 그 상아 상을 날라주는 책임을 맡은 등도登徒가 그 일을 하고자 하지 않아 책임을 면하게 해 주면 조상 대대로 내려오는 보검을 저에게 주겠다고 하였습니다.”
맹상군이 말하였다.
“좋다.
그 보검을 받을 작정인가?”
공손수가 말하였다.
“감히 받지 못하겠습니다.”
맹상군이 말하였다.
“빨리 가서 받거라.”
그리고는 문판門版에 이렇게 써 붙였다.
“만약 누구든지 능히 나 전문田文의 명성을 높여 주고, 나의 잘못을 막아 주고 그리고도 밖에서 사사로이 보물을 얻을 수 있는 자는 빨리 들어와 하라!”


역주
역주1 144. 孟嘗君出行國 : 이 사실은 《資治通鑑》에도 실려 있으며 B.C.321년의 일이다.
역주2 登徒 : 複姓. 이름은 알려지지 않음. 《文選》에 宋玉의 〈登徒子好色賦〉가 있는데, 李善의 註에 등도는 姓이요, 子는 男子의 칭호라 하였으며, 鮑彪의 註에는 楚나라의 官職 이름이라 하였다.
역주3 公孫戍 : 孟嘗君의 문객. 公孫은 성, 戍는 이름. 公孫戌로도 쓴다.
역주4 髮漂 : 아주 미세함을 말하는데, 《資治通鑑》에는 ‘傷之毫髮’로 되어 있다.
역주5 存亡繼絶 : 망해 가는 나라를 존속시켜 주고, 끊어지는 나라를 이어줌.
역주6 원주] 英傑 : 才能이 萬人을 뛰어 넘는 것을 英이라 하고, 千人을 뛰어넘는 것을 桀이라 한다.

전국책(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