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戰國策(1)

전국책(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전국책(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與張儀爭論於秦惠王前.
司馬錯欲伐, 張儀曰:
“不如伐韓.”
王曰:
“請聞其說.”
對曰:
“親魏善楚, , 塞之口,
之道, 魏絶, 楚臨, 秦攻,
以臨二周之郊, 誅周主之罪, 侵楚‧魏之地. 周自知不救, 九鼎寶器必出.
據九鼎, 桉圖籍, 挾天子以令天下, 天下莫敢不聽, 此王業也.
今夫蜀, 西辟之國, 而之長也,
弊兵勞衆, 不足以成名, 得其地不足以爲利.
臣聞:爭名者於朝, 爭利者於市.
今三川‧周室, 天下之市朝也,
而王不爭焉, 顧爭於戎狄, 去王業遠矣.”
司馬錯曰;
“不然.
臣聞之:欲富國者, 務廣其地; 欲强兵者, 務富其民; 欲王者, 務博其德.
三資者備, 而王隨之矣.
今王之地小民貧,
故臣願從事於易.
夫蜀, 西辟之國也, 而戎狄之長也, 而.
以秦攻之, 譬如使豺狼逐羣羊也.
取其地, 足以廣國也; 得其財, 足以富民; 繕兵不傷衆, 而彼已服矣.
故拔一國, 而天下不以爲暴; 利盡西海, 諸侯不以爲貪.
是我一擧而名實兩附, 而又有禁暴正亂之名.
今攻韓劫天子, 劫天子, 惡名也, 而未必利也,
又有不義之名, 而攻天下之所不欲, 危!
臣請謁其故:周, 天下之宗室也; 齊, 韓‧周之與國也.
周自知失九鼎, 韓自知亡三川, 則必將二國幷力合謀, 以因于齊‧趙, 而求解乎楚‧魏.
以鼎與楚, 以地與魏, 王不能禁.
此臣所謂危, 不如之完也.”
惠王曰:
“善!
寡人聽子.”
卒起兵伐蜀,
十月取之, 遂定蜀. 蜀主更號爲侯, 而使相蜀.
蜀旣屬, 秦益强富厚, 輕諸侯.


사마조司馬錯장의張儀 혜왕惠王 앞에서 논쟁을 벌이다
사마조司馬錯장의張儀 혜왕惠王 앞에서 논쟁을 벌이고 있었다.
사마착이 을 치자고 주장하자, 장의가 말하였다.
나라를 치느니만 못합니다.”
왕이 말하였다.
“청컨대 그 말을 들어봅시다.”
장의가 대답하였다.
나라와 친하고 나라를 잘 대하여 〈나라의〉 삼천三川(伊‧)에 군사를 내려보내 환원산轘轅山구지산緱氏山의 입구를 막아 버립니다.
그리고 둔류屯留의 길을 막고 나라가 남양南陽을 끊고, 나라가 〈나라 도읍〉 남정南鄭에 임하면, 나라는 신성新城의양宜陽을 공격하는 것입니다.
그리고는 이주二周의 교외까지 가서 주군周君의 죄를 묻고는, 나라‧나라가 점령하였던 나라의 땅을 치면 나라도 구제할 길이 없음을 알고 구정九鼎과 보물을 틀림없이 내놓고 말 것입니다.
구정九鼎을 손에 넣은 다음에는 지도地圖호적戶籍을 근거로 천자天子을 끼고 천하를 호령하면 천하가 감히 명을 듣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니, 이것이 바로 왕업王業입니다.
그런데 지금 은 서방에 치우친 나라로 융적戎狄노릇을 하고 있는 나라입니다.
그러한 나라를 치느라 군대를 피폐시키고 백성을 수고롭게 해 보았자 이름을 얻을 수도 없고, 땅을 얻어 봤자 나라에 이로울 게 없습니다.
제가 듣건대 ‘명성을 다투는 자는 조정으로, 이익을 다투는 자는 시장으로’라는 말이 있습니다.
지금 삼천三川주실周室은 〈바로 천하가 이익과 명성을 다투는〉 시장이며 조정인 셈입니다.
그런데 그곳을 다투지 않고 융적과 다툴 생각을 하시니 이는 곧 왕업과 너무 먼 일입니다.”
사마조司馬錯 말하였다.
“그렇지 않습니다.
제가 듣건대 ‘나라를 부유하게 하려면 그 땅을 넓히는 데 힘써야 하고, 군대를 강하게 하려면 그 백성이 넉넉해지도록 힘써야 하며, 왕업王業을 이루려면 그 덕을 넓히는 데 힘써야 한다.
이 세 가지만 갖추어지면 왕도는 저절로 따른다’라고 하였습니다.
지금 우리 왕의 땅은 좁고 백성은 가난합니다.
그 때문에 저는 먼저 쉬운 일부터 하기를 원합니다.
무릇 은 서쪽에 치우친 약소국이며 융적의 우두머리에 불과한 데다가 같은 포악한 난이 일어났습니다.
그래서 우리 나라가 이를 공격하면 마치 이리나 승냥이를 시켜 의 무리를 쫓도록 하는 것과 같습니다.
그 땅을 얻으면 국토가 넓어지는 것이요, 그 재물로는 백성을 넉넉하게 해 줄 수 있으며, 병사들도 그저 훈련시키는 정도로만 부려도 많이 다치지 않고 은 쉽게 복종해 올 것입니다.
그러므로 조그마한 나라 하나 집어삼켰다고 해서 천하가 우리를 포악하다고 아니할 것이며, 서해西海의 이익을 우리가 취하였다고 해서 제후들이 우리를 탐욕한 나라라고 하지도 않을 것입니다.
이는 우리가 한 번의 행동에 명실名實을 얻는 것이며, 또한 포악을 금하고 을 바르게 고쳐 주었다는 명분도 얻게 됩니다.
그런데 지금 나라를 쳐서 천자天子를 위협한다고 하니, 천자를 위협하는 것은 오명惡名을 들을 뿐 꼭 이익을 얻을 수 있다는 보장도 없습니다.
오히려 불의不義하다는 이름만 얻게 되며, 이렇게 천하가 치기를 꺼려 하는 곳을 우리가 공격하는 것은 위험합니다.
신이 다시 한 번 그 이유를 설명하면, 나라는 천하의 종실宗室이요, 나라‧나라 두 나라는 주실周室의 동맹국입니다.
나라가 구정九鼎을 지키지 못할 것을 알게 되고, 나라가 삼천三川을 빼앗길 수밖에 없음을 알게 된다면, 두 나라가 장차 반드시 힘을 합하고 꾀를 모아 나라와 나라에게 의탁하여 나라와 나라에게 풀어달라고 청할 것입니다.
그리고 그 구정九鼎나라에게 주고, 그 땅은 나라에게 주어버릴 것인데, 그렇게 되면 대왕께서는 막을 수 없습니다.
제가 위험하다고 한 것은 바로 이것이니 을 쳐서 만전을 기하느니만 못합니다.”
혜왕이 말하였다.
“좋소.
과인은 그대의 뜻을 따르겠소.”
드디어 군사를 일으켜 을 쳤다.
그 해 열 달 만에 촉을 안정시키고 그 촉주蜀主의 작위를 로 격하시켰으며, 진장陳莊의 재상으로 삼아 다스리도록 하였다.
나라에 귀속되자 나라는 더욱 부강해져서 제후를 경시해도 될 만큼 되었다.


역주
역주1 052. 司馬錯與張儀爭論於秦惠王前 : 이 내용은 《史記》 〈張儀列傳〉과 비슷하다. 대략 B.C.316년쯤의 일이다. 한편 《新序》 〈善謀 上〉에도 轉載되어 있다.
역주2 司馬錯 : 秦나라의 장군. 본문 내용대로 惠王이 그를 시켜 蜀을 치게 하였다.
역주3 : 원래는 나라 이름. 上古 시대 帝嚳의 支子가 蜀侯로 봉해져 夏‧殷‧周 三代를 지나 戰國時代에 이르러 본문 내용대로 秦에게 멸망하였다. 그 古址는 지금의 四川省 成都市이다. 《新序》에 의하면 당시 촉에 난이 일어나 이를 구실로 정벌에 나서게 된 것이라 하였다.
역주4 下兵三川 : 下兵은 ‘軍을 출병하여 내려보내다’의 뜻. 三川은 韓에 속한 伊水‧洛水‧河水이며 이곳을 관할한 현은 宜陽이었다.
역주5 轘轅 : 일명 崿嶺이라고도 하며, 河南省 偃師縣 동남에 있는 산이름이다.
역주6 緱氏(구지) : 일명 覆釜堆라는 산 이름. 河南省 緱氏縣에 있다.
역주7 屯留 : 읍명. 山西城 屯留縣이다.
역주8 南陽 : 魏나라 읍. 河南省 沁陽縣이다.
역주9 南鄭 : 韓의 도읍. 河南省 新鄭縣이다.
역주10 新城 : 옛날의 地名. 河南省 商丘縣 서남쪽이다.
역주11 宜陽 : 韓의 읍 이름으로 河南省 宜陽縣이다.
역주12 戎狄 : 고대 중국에서 四方의 異民族을 비하하여 東夷‧西戎‧南蠻‧北狄이라 하였다.
역주13 有桀‧紂之亂 : 夏桀과 商紂 같은 무도한 임금과 같은 어지러운 정사가 있다는 뜻.
역주14 伐蜀 : 周 愼靚王 5년(B.C.316) 10월에 秦이 巴와 蜀을 쳐 없앴다.
역주15 陳莊 : 秦나라의 신하. 《新序》에는 陳叔으로 되어 있다.

전국책(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