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戰國策(1)

전국책(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전국책(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蘇秦謂曰:
“齊‧秦立爲兩帝, 王以天下爲尊秦乎? 且尊齊乎?”
王曰:
“尊秦.”
“釋帝則天下愛齊乎?
且愛秦乎?”
王曰:
“愛齊而憎秦.”
“兩帝立, 約伐趙, 孰與之利也?”
〈王曰:
對曰:
“夫約, 然與秦爲帝, 而天下獨尊秦而輕齊;
齊釋帝, 則天下愛齊而憎秦;
伐趙不如伐宋之利.
故臣願王明釋帝, 以就天下; 倍約儐秦, 勿使爭重;
而王以其間擧宋. 夫有宋則衛之危; 有則楚之危; 有則趙之危; 則梁門不啓.
故釋帝而貳之以伐宋之事, 則國重而名尊,
燕‧楚以形服, 天下不敢不聽, 此湯‧武之擧也.
敬秦以爲名, 而後使天下憎之, 此所謂以卑易尊者也.
願王之熟慮之也!”


소진蘇秦제왕齊王에게 유세하다
소진蘇秦제왕齊王에게 말하였다.
나라와 나라가 서로 동제東帝서제西帝를 칭한다면 왕께서 생각하시기에 천하가 나라를 높이리라 여기십니까, 아니면 나라를 높여 주리라 여기십니까?”
왕이 말하였다.
나라를 높이겠지요.”
칭호를 버린다면 천하가 제나라를 좋아할까요?
진나라를 좋아할까요?”
왕이 말하였다.
“제나라를 사랑하고 진나라를 미워하겠지요.”
“제나라‧진나라 두 제왕帝王이 서서 맹약대로 나라를 치는 것과 제나라 혼자 나라를 치는 것, 어느 것이 유리할까요?”
〈왕이 말하였다.
“송나라를 치느니만 못하지요.”〉
소진이 말하였다.
“무릇 약속대로 진나라와 함께 제나라가 칭제稱帝하면 천하가 진나라는 자꾸 높여주고 그 대신 제나라는 낮추게 됩니다.
그러나 제나라가 칭제稱帝를 거부하면 천하가 제나라를 사랑하며 진나라를 증오하게 됩니다.
또 조나라를 치느니 송나라를 치는 이로움만 못합니다.
그러므로 저는 원하옵건대 왕께서는 분명하게 제호帝號를 버리고 천하 제후와 가까이 지내고, 진나라와의 약속을 파기해서, 경중을 다투지 말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왕께서는 그 사이에 송나라를 치는데, 무릇 송나라를 손에 넣으면 나라 양성陽城이 위태로워지며 회북淮北 땅을 얻게 되면 나라의 동국東國 땅이 위험해지게 되며, 제수濟水 서쪽 땅을 차지하게 되면 나라의 하동河東이 위태롭게 될 것이요, 또 (陶) 땅과 평륙平陸 땅을 차지하면 나라의 문이 열리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칭제稱帝를 버리고 진나라와 불화하여 나라를 치는 일을 표명하면 나라가 중시重視되고 명성도 존귀해지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나라와 나라는 그 형세에 굴복하게 되므로 천하 제후가 감히 제나라의 명령을 듣지 않을 수 없게 되니, 이런 일이야말로 나라 임금이나 나라 무왕武王과 같은 거사가 되는 것입니다.
진나라를 공경한다는 명분으로 뒤에 천하로 하여금 진나라를 증오토록 하는 것, 이것이 이른바 로써 을 바꾼다는 것입니다.
원컨대 왕께서 잘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역주
역주1 158. 蘇秦謂齊王 : 이 내용은 《史記》 〈田敬仲完世家〉의 앞부분 다음에 연결되어 있다. 역시 蘇秦이 아니라 蘇代의 유세로, B.C.288년의 일이다.
역주2 齊王 : 齊 湣王. 여기서도 蘇秦은 蘇代로 보아야 한다.
역주3 伐宋 : 당시 宋나라 역시 왕을 칭하였는데 임금인 康王(偃)이 暴虐無道해서 桀宋이라 불렸다. 그러므로 이런 나라를 치는 것은 대외적 명분도 서고 齊나라에 이익도 된다고 蘇代가 건의한 것이다.
역주4 〈王曰 不如伐宋〉 : 劉敞本에 의해 보충하였다.
역주5 陽城 : 지금의 하남성 登封縣 부근. 吳師道는 양성이 衛나라 땅이 아니라고 하였으며, 《史記》에는 陽地로 되어 있는데, 濮陽의 땅을 가리킨다.
역주6 淮北 : 淮河 이북의 宋나라 땅.
역주7 東國 : 楚나라의 동쪽 지역. 지금의 강소성 북쪽 및 안휘성 동북쪽 일대.
역주8 濟西 : 濟水의 서쪽 땅. 지금의 산동성 荷澤, 壽張 일대.
역주9 河東 : 趙나라의 변두리 邑. 지금의 山東省 臨淸市 이서 지방.
역주10 陰(陶)‧平陸 : 陰은 陶의 誤記. 陶는 지금의 山東省 定陶縣 西北, 平陸은 山東省 汶上縣 북쪽. 이 두 읍은 당시 梁과 齊의 국경지대였다.

전국책(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