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戰國策(1)

전국책(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전국책(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田單將攻, 往見魯仲子.
仲子曰:
“將軍攻狄, 不能下也.”
田單曰:
“臣以五里之城, 七里之郭, 破亡餘卒, 破萬乘之燕, 復齊墟.
攻狄而不下, 何也?”
上車弗謝而去.
遂攻狄, 三月而不克之也.
齊嬰兒謠曰:
“大冠若箕,
脩劍拄頤,
攻狄不能下,
壘枯丘.”
田單乃懼, 問魯仲子曰:
“先生謂單不能下狄, 請聞其說.”
魯仲子曰:
“將軍之在卽墨, ,
爲士卒倡曰:‘!
宗廟亡矣!
! 歸於何黨矣!’
當此之時, 將軍有死之心, 而士卒無生之氣, 聞若言, 莫不揮泣奮臂而欲戰,
此所以破燕也.
當今將軍東有夜邑之奉, 西有, 黃金橫帶, 而馳乎淄‧澠之間, 有生之樂, 無死之心, 所以不勝者也.”
田單曰:
“單有心,
先生志之矣.”
明日, 乃厲氣循城, 立於矢石之所, 援枹鼓之, 狄人乃下.


전단田單이 장차 을 공격하면서
전단田單이 장차 을 공격하려고 먼저 노중자魯仲子(魯仲連)를 찾아가 만났다.
노중자가 말하였다.
“장군은 을 공격해도 이기지 못할 것이오.”
전단이 말하였다.
“저는 오리五里칠리七里에서 패군한 여졸餘卒을 이끌고 만승萬乘나라를 깨뜨려 나라의 폐허가 된 도성을 수복하였습니다.
그러한 제가 을 공격해 함락시킬 수 없다는 것은 왜입니까?”
그리고는 수레에 올라 인사도 없이 떠났다.
드디어 적을 공격하였지만 3개월이 되도록 이지지 못하였다.
제나라 어린이들이 이런 동요를 불렀다.
큰 모자는 마치 키[箕] 같고,[大冠若箕]
긴 칼로는 턱만 바치고 있네.[修劍拄頤]
적을 공격해 이기지도 못하고,[功狄不能下]
보루에 쌓인 해골은 언덕을 이루었네.[壘枯丘]
두려움을 느낀 전단이 노중자를 찾아가 물었다.
“선생께서 지난날 제가 을 쳐 이기지 못할 것이라 하였는데, 청컨대 그 이유를 들려주십시오.”
노중자가 말하였다.
“장군이 즉묵卽墨에 있을 때에는, 앉으면 삼태기를 만들고 서서는 삽을 지팡이로 삼고 있었습니다.
그리고는 사졸들에게 부르짖기를 ‘어디로 가겠는가!
종묘도 이미 허물어졌다! 혼백도 사라졌다!
이제 돌아갈 곳이 어디 있겠는가!’라고 하였습니다.
이때 장군은 죽겠다는 각오가 되어 있었고, 사졸들도 살겠다는 생각을 하지 않았으며, 이 말을 들은 자면 누구나 눈물을 흘리며, 팔을 휘두르며 싸우고자 하였습니다.
그래서 연나라를 공파攻破한 것입니다.
그러나 지금 장군께서는 동쪽으로는 액읍夜邑공봉供奉이 있고, 서쪽으로는 치수菑水의 즐거움이 있으며, 허리에 황금띠를 차고서 치수淄水승수澠水 사이를 달리어 그저 살아 있는 즐거움만 있고 죽을 마음이 없어 그래서 이기지 못한 것입니다.”
전단이 말하였다.
“저는 결심하였습니다.
선생께서는 기억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튿날 이에 전단은 사기를 드높이고 성곽을 순시하고는 화살과 돌이 날아와 미치는 위험한 곳에 서서 북채를 잡고 진공進攻을 독려하자 적인狄人은 함락되고 말았다.


역주
역주1 165. 田單將攻狄 : 이 장의 사실도 《資治通鑑》 周 赧王 36년(B.C.279)과 《說苑》 〈指武〉, 《史記》 〈田單列傳〉 등에 실려 있다.
역주2 : 北狄, 혹은 春秋時代 山東의 북쪽에 오래 거주하던 종족.
역주3 坐而織蕢 立則丈(杖)揷 : 蕢는 흙을 담는 키와 삼태기같이 생긴 기구로 성을 보수하는 데 쓰던 도구이며, 丈揷의 丈은 持, 혹은 杖의 뜻인데 鮑彪本 및 《說苑》 〈指武〉에는 杖으로 되어 있어 이를 따랐다. 揷은 鍤의 뜻인데 장수가 병사들과 고통을 함께 하며 승리를 다짐함을 뜻한다. 《史記》 〈田單列傳〉에는 “田單이 직접 版揷을 잡고 士卒들과 일을 나누어 했다.”라고 되어 있다.
역주4 可往矣 : 《資治通鑑》 〈周紀〉에는 無可往矣로 되어 있어 이를 따랐다.
역주5 云曰尙矣 : 《說苑》에는 魂魄喪矣로 되어 있어, 云曰은 魂魄의 약자이며, 尙은 喪의 가차자로 보았다.(黃丕烈 《戰國策札記》) 그러나 《資治通鑑》 〈周紀 四〉 周 赧王 36년의 기록에는 今日尙矣로 되어 있다.
역주6 菑上之虞 : 菑는 淄와 같다. 菑上은 淄水 가로 田單이 처음 封地를 받은 安平. 虞는 娛‧樂의 뜻.
역주7 乃(及) : 劉敞本에는 乃가 及으로 되어 있어 이를 따라 번역하였다.

전국책(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