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戰國策(2)

전국책(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전국책(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309. 楚許魏六城
楚許魏六城, 與之伐齊而存燕.
張儀欲敗之, 謂曰:
“齊畏三國之合也, 必反燕地以下楚,
楚‧趙必聽之, 而不與魏六城.
是王失謀於楚‧趙, 而樹怨於齊‧秦也.
齊遂伐趙, 取, 收侵地,
楚破南陽九夷, 內沛, 危.
王之所得者, 也. 而道塗宋‧衛爲制,
事敗爲趙驅, 事成功縣宋‧衛.”
魏王弗聽也.
張儀告, 令以饑故, .
魏王懼, 問張子.
張子曰:
“秦欲救齊, 韓欲攻南陽,
秦‧韓合而欲攻南陽, 無異也.
且以遇卜王, 王不遇秦, 韓之卜也決矣.”
魏王遂尙遇秦, 信韓‧廣魏‧救趙ㆍ,
遽於.
伐齊之事遂敗.


309. 나라가 나라에게 여섯 을 주다
나라가 나라에게 6개의 성을 주는 조건으로 함께 나라를 쳐서 나라를 구해 주자고 제의하였다.
〈이를 안〉 장의張儀가 방해하려고 위왕魏王에게 말하였다.
“제나라는 세 나라의 연합을 두려워하여 틀림없이 연나라에게 빼앗은 땅을 되돌려 주고, 초나라에게는 공손히 대할 것입니다.
초나라와 조나라가 이를 들어주게 되면 6개 성은 우리 위나라에게 줄 필요가 없어집니다.
이는 왕께서 초나라‧조나라와의 모책謀策만 실패로 끝나게 하는 대신 나라‧나라에게는 원한만 심어 놓는 셈이 됩니다.
제나라는 끝내 나라를 쳐서 승구乘丘를 점령하고, 나아가 조나라에게 빼앗겼던 땅을 되찾게 되겠지요.
〈그렇게 되면 위나라의〉 , 둔구屯丘가 위험해집니다.
또 초나라가 남양南陽구이九夷를 깨뜨리고 로 들어오게 되면 언릉鄢陵이 위험해집니다.
왕께서 얻을 수 있는 땅은 초나라의 신관新觀뿐인데, 그곳은 나라와 나라를 지나야 다스릴 수 있습니다.
이 일이 실패하게 되면 조나라에게 쫓기는 형세가 되며 성공한다 해도 송나라‧위나라의 사정에 매달리게 됩니다.”
위왕은 이 말을 듣지 않았다.
장의는 다시 한나라 공중公仲에게 고하여 나라의 기근을 이유로 한나라 왕이 하외河外 가까이까지 순시를 나가도록 권하게 하였다.
위왕이 두려워 다시 장의를 불러 물어보았다.
이에 장의는 이렇게 말하였다.
“진나라는 제나라를 구원하려 하고, 한나라는 남양南陽을 공격하려 합니다.
이처럼 진나라‧한나라가 합해서 남양을 공격하고자 하는 것은 다른 것이 아닙니다.
또 왕을 만나 국교의 방향을 점치려 할 때 왕께서 진나라와는 만나지 않겠다고 하시면 한나라의 판단은 결정되게 될 것입니다.”
위왕은 드디어 진나라와 만나 국교를 수립하여 한나라와는 신의信義를 회복하고 나라의 국토를 넓히고, 조나라는 구원해 주고 초나라와는 결별하였다.
〈초나라 사신은〉 비하萆下에서 급히 되돌아가 버리고 말았다.
이리하여 제나라를 치려던 계획은 드디어 실패로 끝나게 되었다.


역주
역주1 魏王 : 魏 襄王. 《史記》에는 哀王으로 되어 있다.
역주2 [而] : 文義로 보아 衍文이다.
역주3 乘丘 : 원래 齊나라 땅. 지금의 山東省 滋陽縣의 북쪽.
역주4 虛‧屯丘 : 虛는 殷墟. 河南省 安陽縣 북쪽. 屯丘는 지금의 河南省 濱縣 서쪽. 둘 모두 魏나라 땅.
역주5 許‧鄢陵 : 모두 당시 魏나라 땅. 鄢陵은 212장 참조.
역주6 新觀 : 楚가 주기로 하였던 여섯 성 중의 하나인 듯하다.
역주7 公仲 : 韓나라 재상인 公仲侈. 171‧207장 참조.
역주8 賞韓王以近河外 : ‘賞’은 ‘勸’의 뜻. 韓王은 韓 宣王(宣惠王). 河外는 황하의 밖이라는 뜻으로 韓‧魏‧秦의 접경 지역을 말함.
역주9 尺(斥)楚人 : 원문 ‘尺’은 ‘斥’과 通한다.
역주10 萆下 : 革下라고도 쓰며, 魏와 楚 사이의 지명인 듯하다.

전국책(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