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戰國策(1)

전국책(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전국책(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使使者問. 書未發,
威后問使者曰:
“歲亦無恙耶? 民亦無恙耶?
王亦無恙耶?”
使者不說, 曰:
“臣奉使使威后, 今不問王, 而先問歲與民, 豈先賤而後尊貴者乎?”
威后曰:
“不然.
苟無歲, 何以有民? 苟無民, 何以有君?
故有問舍本而問末者耶?”
乃進而問之曰:
“齊有處士曰, 無恙耶?
是其爲人也, 有糧者亦食, 無糧者亦食; 有衣者亦衣, 無衣者亦衣. 是助王養其民也,
何以至今不業也?
無恙乎?
是其爲人, 哀, 卹, 振困窮, 補不足.
是助王息其民者也, 何以至今不業也?
北宮之女無恙耶?
徹其環瑱, 至老不嫁, 以養父母. 是皆率民而出於孝情者也,
胡爲至今不朝也?
此二士弗業, 一女不朝, 何以王齊國, 子萬民乎?
尙存乎?
是其爲人也, 上不臣於王, 下不治其家, 中不索交諸侯.
此率民而出於無用者, 何爲至今不殺乎?”


제왕齊王사자使者로 하여금 위후威后에게 문안드리도록 하다
제왕齊王이 사자를 나라에 보내어 위후威后에게 문안 편지를 올렸다.
편지를 뜯어보지도 않고 위후는 사자使者에게 물었다.
“금년에 흉년은 들지 않았으며 백성들은 탈이 없는가?
왕 역시 별 탈 없으신가?”
사자는 기뻐하지 않으며 말하였다.
이 사명을 받들고 위후께 왔는데 이제 우리 왕의 안부는 묻지 않으시고, 먼저 농사와 백성을 물으시니 어찌 천한 것을 먼저 물으시고 존귀한 것을 뒤로 하십니까?”
위후가 말하였다.
“그렇지 않다.
참으로 농사가 잘 되지 않으면 어찌 백성이 있겠으며, 참으로 백성이 없다면 어찌 임금이 있을 수 있겠느냐?
그러니 어찌 을 버리고 을 묻겠느냐?”
그리고는 나아가 물었다.
“제나라에 처사處士 종리자鍾離子가 있다고 하던데 안녕한가?
그의 사람됨은 자기 식량이 남아도 가난한 자들에게 나누어 주고 모자라도 나누어 주며, 옷이 있어도 입혀 주고 옷이 없어도 입혀 준다고 하니, 이는 왕을 도와 백성을 기르는 것이다.
그런데도 어찌 오늘날에 이르도록 관직을 주지 않는가?
엽양자葉陽子도 잘 있는가?
그 사람됨은 홀아비와 과부를 불쌍하게 여기며 고아와 무자無子 노인들을 긍휼히 여기며, 곤궁한 자를 진구振救하며 부족한 자를 보태 주고 있다.
이는 왕을 도와 백성을 안식安息시키는 자인데 어찌하여 지금까지 관직을 주지 않는가?
북궁北宮씨 집 영아자嬰兒子도 안녕한가?
그 여자 역시 반지‧귀고리 등 장신구를 하지 않고 늙도록 출가하지 않은 채 부모를 봉양하고 있으니, 이는 백성들을 효행孝行하도록 인도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도 어찌 지금까지 입조入朝하지 않는가?
앞에 말한 두 선비가 관직을 얻지 못하고 한 효녀가 입조하지 않고 있는데, 어떻게 제나라의 임금이라 하겠으며 만민을 자식처럼 사랑한다고 할 수 있겠는가?
오릉於陵자중子仲은 아직도 살아 있는가?
그의 사람됨은 위로는 왕에게 신하의 도리를 다하지 아니하고, 아래로는 제 가정도 다스리지 못하며, 중간으로는 제후들과 교제도 하지 않고 있다.
이는 백성들을 무용無用한 데로 인도하고 있는 자인데 어찌 아직도 죽이지 않고 있는가?”


역주
역주1 154. 齊王使使者問趙威后 : B.C.266년 趙나라 惠文王이 죽고 孝成王이 즉위하자 威后가 垂簾聽政하고 있었다. 그 이듬해에 마침 齊나라 襄王이 죽고 王建이 즉위하였다. 이에 王建은 새로운 신분으로 威后에게 사절을 보낸 것이다. 그러나 이듬해(B.C.264) 趙 威后도 세상을 뜨고 만다. 여기에 언급된 於陵子仲은 《孟子》 〈滕文公 下〉에 陳仲子(於陵仲子)로 자세히 나와 있다.
역주2 齊王 : 王建. 秦나라로 도망하였었기 때문에 시호가 없다.
역주3 趙 威后 : 趙나라 孝成王의 어머니. 혹은 孝成王의 조모인 趙 太后가 아닌가 한다.
역주4 鍾離子 : 鍾離는 複姓, 子는 남자의 미칭. 제나라 사람.
역주5 葉陽子 : 葉陽은 複姓. 제나라 사람.
역주6 鰥寡 : 홀아비와 과부. “늙어서 아내가 없는 자를 鰥이라 하고, 늙어서 남편이 없는 자를 寡라 한다.[老而無妻者曰鰥 老而無夫者謂寡]”
역주7 孤獨 : 고아와 자식이 없는 늙은이. “어려서 아버지가 없는 것을 孤[幼而無父曰孤]라 하고, 늙어서 자식이 없는 것을 獨이라 한다.[老而無子曰獨]”
역주8 嬰兒子 : 齊나라의 유명한 孝女 이름.
역주9 於陵子仲 : 子仲은 仲子, 즉 陳仲子. 전국 때 齊人. 그의 형 戴가 齊나라의 卿이 되어 食祿이 萬鍾이었으나 不義하다 하여 먹지 않고 楚나라로 가서 於陵에서 살았는데, 孟子는 이를 신랄하게 비판하였다. 於는 땅 이름. 《孟子》 〈滕文公 下〉 참조.

전국책(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