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戰國策(2)

전국책(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전국책(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或謂公仲曰:
“聽者聽國, 非必聽也.
故先王聽諺言於市, 願公之聽臣言也.
公求中立於秦, 而弗能得也,
善公孫郝以難甘茂, 勸齊兵以勸止魏, 也.
臣恐國之以此爲患也, 願公之復求中立於秦也.”
公仲曰:
“奈何?”
對曰:
“秦王以公孫郝爲黨於公而弗之聽, 甘茂不善於公而弗爲公言,
公何不因以與秦王語?
行願之爲秦王臣也公,
臣請爲公謂秦王曰: ‘齊‧魏合與離, 於秦孰利?
齊‧魏別與合, 於秦孰强?’ 秦王必曰: ‘齊‧魏離, 則秦重; 合, 則秦輕.
齊‧魏別, 則秦强; 合, 則秦弱.’
臣卽曰: ‘今王聽公孫郝, 以韓‧秦之兵應齊而攻魏, 魏不敢戰, 歸地而合於齊,
是秦輕也, 臣以公孫郝爲不忠.
今王聽甘茂, 以韓‧秦之兵據魏而攻齊, 齊不敢戰, 不求割地而合於魏, 是秦輕也, 臣以甘茂爲不忠.
故王不如令韓中立以攻齊,
王言救魏以勁之,
齊‧魏不能相聽, 久離兵.
王欲, 則信公孫郝於齊, 爲韓取, 易以歸, 此之願也.
王欲, 則信甘茂於魏, 以韓‧秦之兵據魏以郄齊,
之願也.
臣以爲令韓以中立以齊, 最秦之大急也.
公孫郝黨於齊而不肯言, 甘茂薄而不敢謁也,
此二人, 王之大患也.
願王之熟計之也.’”


390. 어떤 이가 공중公仲에게 말하다
어떤 이가 공중公仲에게 말하였다.
청정聽政하는 사람은 많은 나라 사람의 의견을 들어야지 반드시 귀족貴族의 말을 들어야 한 것은 아닙니다.
그래서 옛 선왕先王들은 시중에 떠도는 말을 챙겨서 들었으니, 원컨대 공께서는 저의 말을 들어주시기 바랍니다.
공께서는 나라에게 중립을 지키겠다고 하였지만 결국 허락을 얻지 못하였습니다.
그리고 공손학公孫郝을 잘 대해 주어 감무甘茂를 궁지에 몰아넣고는 나라 군대를 권하여 나라의 군대를 저지시켰기 때문에 나라‧나라는 모두가 공을 원수로 여기고 있습니다.
저는 한나라가 이 때문에 큰 환난에 빠질가 두려우니, 원컨대 공께서 다시 진나라에게 중립을 하겠다고 요구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공중이 물었다.
“어떻게 하면 되겠소?”
그가 대답하였다.
진왕秦王(소왕昭王)은 지금 공손학을 공과 같은 편이라고 여겨 그의 말을 들어 주지 않고, 감무甘茂는 공과 원수 사이이기 때문에 공을 위해 좋은 말을 왕에게 해줄 리 없습니다.
그런데 이런 상황에서 행원行願이라는 사람을 통해 진왕에게 왜 말하지 않습니까?
행원은 진왕의 신하 중에서 공정한 인물입니다.
제가 공을 위해 진왕에게 ‘제나라ㆍ위나라가 결합하거나 분리되는 것, 어느 것이 진나라에 유리합니까?
또 제나라‧위나라가 분리되거나 합해지는 것 중 어느 것이 진나라를 강하게 해줍니까?’ 하고 말하면 진왕은 반드시 ‘제나라와 위나라가 분리되면 우리 진나라는 중시되지만, 둘이 결합되면 우리 진나라는 경시된다.
또 제나라‧위나라가 떨어지면 진나라가 강해지지만 둘이 연합하면 진나라는 약해지게 된다.’라고 할 것입니다.
그러면 저는 ‘왕께서 공손학의 말을 듣고 한나라‧진나라를 묶어 제나라의 위나라 공격을 도와주시면, 위나라는 감히 싸우지 못하고 땅을 떼어 제나라에 되돌려 주면서 제나라와 연합해 버릴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진나라는 가벼워지게 되니, 제가 보기에 이는 공손학이 충성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또 이번에는 왕께서 감무의 말을 듣고 역시 한나라‧진나라가 군사로써 위나라를 점거하여 제나라를 치면, 제나라도 감히 싸우지 못하고 위나라에게 땅을 떼어달라고 요구하지 못하면서 연합해 버릴 것이어서, 이도 진나라는 가벼워지게 되니, 이는 감무가 불충해서입니다.
그러므로 왕께서는 한나라로 하여금 중립을 지키도록 해 놓고 제나라를 치느니만 못합니다.
왕께서는 그 명분을, 위나라를 구하고 〈나라를〉 하게 하기 위해서라고 하면 됩니다.
제나라와 위나라는 서로의 말을 듣지 않고 오랫동안 분리되어 싸울 것입니다.
왕께서 원하시면 제나라에서 공손학을 믿게 하여 한나라를 위하여 남양南陽을 취하도록 하여 곡천穀川과 바꾸어 거두어들이는 것이니, 이는 귀국 혜왕惠王께서 바라던 바입니다.
또 왕께서 원하시면 위나라에게 감무를 믿도록 한 다음 한나라‧진나라의 군대로써 위나라를 근거지로 하여 제나라를 물리쳐 주십시오.
이는 귀국 무왕武王이 원하던 바였습니다.
제 생각으로는 한나라로 하여금 중립을 지키게 하고 제나라를 공격하시는 것이 진나라의 가장 급한 일이라 여깁니다.
공손학은 제나라 편이므로 말을 하지 않으려 할 것이고, 감무는 기려지신羈旅之臣이니 감히 임금께 나타나지도 못할 것입니다.
이 두 사람은 왕께 있어서 두통거리입니다.
원컨대 왕께서는 깊이 헤아리시기 바랍니다.’라고 말하겠습니다.


역주
역주1 : 이 장은 389장의 異傳이 아닌가 한다.
역주2 實(貴) : 金正煒의 설에 의하여 ‘貴’로 고쳤다.
역주3 楚‧趙皆公之讎 : 丹陽之戰으로 인해 楚‧趙는 모두 公仲을 미워하였다.
역주4 行願 : 秦나라의 重臣인 듯하다.
역주5 [齊] : 鮑彪本에 의하여 衍文으로 처리하였다.
역주6 史(事) : 원문 ‘史’는 ‘事’의 誤字.
역주7 南陽 : 韓나라 故地. 河南省 獲縣의 북쪽.
역주8 穀川 : 韓나라의 故地.
역주9 惠王 : 昭王의 부친.
역주10 武王 : 昭王의 형.
역주11 勁(攻) : 文義로 보아 원문 ‘勁’은 ‘攻’의 誤字.

전국책(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