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戰國策(2)

전국책(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전국책(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蘇秦死, 其弟蘇代欲繼之, 乃北見曰:
“臣東周之鄙人也,
竊聞王義甚高甚順, 鄙人不敏, 竊釋鉏耨而干大王.
至於邯鄲, 所聞於邯鄲者, 又高於所聞東周.
臣竊負其志, 乃至燕廷, 觀王之羣臣下吏, 大王天下之明主也.”
王曰:
“子之所謂天下之明主者, 何如者也?”
對曰:
“臣聞之, 明主者務聞其過, 不欲聞其善.
臣請謁王之過.
夫齊‧趙者, 王之仇讎也; 楚‧魏者, 王之援國也.
今王奉仇讎以伐援國, 非所以利燕也.
王自慮此則計過.
無以諫者, 非忠臣也.”
王曰:
“寡人之於齊‧趙也, 非所敢欲伐也.”
曰:
“夫無謀人之心, 而令人疑之, 殆; 有謀人之心, 而令人知之, 拙; 謀未發而聞於外, 則危.
今臣聞王居處不安, 食飮不甘, 思念報齊,
身自削甲扎, 曰有大數矣, 妻自組甲絣, 曰有大數矣, 有之乎?”
王曰:
“子聞之, 寡人不敢隱也.
我有深怨積怒於齊, 而欲報之二年矣.
齊者, 我讎國也, 故寡人之所欲伐也.
直患國弊, 力不足矣.
子能以燕敵齊, 則寡人奉國而委之於子矣.”
對曰:
“凡天下之戰國七, 而燕處弱焉.
獨戰則不能, 有所附則無不重.
南附楚則楚重, 西附秦則秦重, 中附韓‧魏則韓‧魏重.
且苟所附之國重, 此必使王重矣.
今夫齊王, 長主也, 而自用也.
南攻楚五年, 稸積散. 西困秦三年, 民憔悴, 士罷弊.
北與燕戰, 覆三軍, 獲二將.
而又以其餘兵南面而擧五千乘之勁宋, 而包.
此其君之欲得也, 其民力竭也, 安猶取哉?
且臣聞之, 數戰則民勞, 久師則兵弊.”
王曰:
“吾聞齊有, 可以爲固; 有長城‧鉅防, 足以爲塞. 誠有之乎?”
對曰:
“天時不與, 雖有淸濟‧濁河, 可足以爲固? 民力窮弊, 雖有長城‧鉅防, 何足以爲塞?
且異日也, 不役, 所以備趙也;
河北不師, 所以備燕也.
今濟西‧, 盡以役矣, 封內弊矣.
夫驕主必不好計, 而亡國之臣貪於財.
王誠能毋愛寵子‧母弟以爲質, 寶珠玉帛以事其左右,
彼且德燕而輕亡宋, 則齊可亡已.”
王曰:
“吾終以子受命於天矣!”
曰:
“內寇不與, 外敵不可距.
王自治其外, 臣自報其內,
此乃亡之之勢也.”


449. 소진蘇秦이 죽다
소진蘇秦이 죽자 그의 아우 소대蘇代가 그의 뒤를 잇고자 하여 북쪽으로 가서 연왕燕王 를 만났다.
“저는 동주東周의 비천한 인물입니다.
대왕의 가 심히 높고 심히 순리에 맞는다는 말을 듣고 나서 제가 불민不敏하나 농사짓던 호미를 집어던지고 찾아와 뵙기를 청한 것입니다.
조나라 한단邯鄲에 이르러 보니 한단에서 들은 바가 동주에서 들은 것보다 높았습니다.
그래서 저는 뜻을 품고 이에 이 연나라의 궁정까지 오게 되었는데 대왕의 군신과 아래 관리들까지 살펴보고 대왕께서 천하의 명주明主이심을 알았습니다.”
연왕이 말하였다.
“그대가 말한 이른바 천하의 명주明主란 어떠한 자를 말하오?”
소대가 말하였다.
“저는 들으니 명주는 자기의 과실을 듣기에 힘쓰지 자기를 칭찬하는 말은 듣기를 좋아하지 않는다 하였습니다.
저는 이에 왕의 과실을 말씀드릴까 합니다.
무릇 나라와 나라는 대왕의 원수이고, 나라와 나라는 바로 대왕의 후원자입니다.
그런데 지금 대왕께서는 원수 나라를 받들어 모시면서 후원하는 나라를 치고 있으니, 이는 바로 연나라에게 아무 이익도 되지 못합니다.
왕께서 스스로 이렇게 하고 있으니 이는 계책이 잘못된 것입니다.
그런데도 하지 않으니, 이는 충신이라 할 수 없습니다.”
왕이 말하였다.
“내가 제나라와 조나라에 대해 감히 치지 못하고 있을 뿐이오.”
소대가 말하였다.
“무릇 남을 어떻게 해볼 마음도 없으면서 남에게 의심부터 받는 일은 위태로우며, 남을 어떻게 도모해 볼 마음이 있으면서 남이 이를 알게 하면 이는 졸렬한 것이며, 그 모책이 실행에 옮겨지기도 전에 밖으로 소문이 퍼지면 이는 위험한 것입니다.
지금 제가 들으니 왕께서는 평시에도 안정을 얻지 못하고 음식 맛을 느끼지 못하면서 오로지 제나라에 보복할 생각만 가지고 계시다고 합니다.
그리고 스스로 갑옷을 입어 보고는 ‘좋은 수가 있을 것이다.’ 하고, 또 부인께서도 그 갑옷의 띠를 만들면서 ‘좋은 수가 있을 것이다.’ 라고 하신다는 데 정말입니까?”
왕이 말하였다.
“그대도 이미 소문을 듣고 있으니, 무엇을 숨기겠는가.
나는 제나라에 대해 깊은 원한이 쌓여 있고, 이를 갚기 위해 벼른 지 2년이 되었소.
제나라는 나의 원수나라이기 때문에 과인이 치려는 거요.
그러나 나라가 지금 피폐한 때를 당하고 있어 역부족이오.
그대가 이 우리 연나라가 제나라에게 복수할 수 있게만 해 준다면 과인은 이 나라를 다 들어 그대에게 맡기겠소.”
소대가 대답하였다.
“무릇 천하에 전국칠웅戰國七雄이 있는데 그 중에 연나라가 가장 약하지요.
그러니 홀로 싸워서는 불가능하지만 어느 나라와 연합하기만 하면 중해지지 않는 경우가 없습니다.
남쪽으로 초나라에 붙으면 초나라가 강해지며 서쪽으로 나라에 붙으면 진나라가 강해지고 중앙으로 나라와 위나라와 연합하면 한나라‧위나라가 중하게 됩니다.
이렇게 붙은 나라가 강해지면 이는 반드시 왕을 중하게 할 것입니다.
지금 제왕齊王은 가장 힘이 있는 군주로 스스로 강함을 믿고 있습니다.
남쪽으로 초나라를 5년 동안 공격하느라 재물을 모두 흩어버렸고, 서쪽으로는 3년 동안이나 진나라를 곤궁에 몰아, 백성이 초췌하고 사졸은 피폐해지고 말았습니다.
또 그들은 북쪽으로 연나라와 싸워 삼군三軍을 엎어버리고, 두 장수를 잡아갔습니다.
그러고도 그 남은 병력으로 남쪽으로 5천 승의 강한 나라를 공격하고 12제후를 겸병했습니다.
그러나 이렇게 해서 그 제나라 임금은 자신의 욕심을 채웠지만 그 백성의 힘은 고갈되고 말았으니 어찌 얻었다 할 수 있겠습니까?
또 제가 들으니 전쟁이 잦으면 백성이 수고롭게 되고 전쟁이 길어지면 병사가 피폐해진다고 합니다.”
왕이 말하였다.
“내가 들으니 제나라에는 맑은 제수濟水와 탁한 황하黃河가 있어 이를 견고한 자연 방비로 삼을 수 있고, 장성長城거방鉅防이 있어 족히 요새가 될 수 있다고 하는데 정말 그렇소?”
소대가 대답하였다.
천시天時가 따라주지 않는다면 비록 맑은 제수와 탁한 황하가 있다고 한들 어찌 견고한 방위防衛가 되겠으며, 민력民力이 다하고 피폐해진다면 장성과 거방이 어찌 요새가 될 수 있겠습니까?
또 제나라는 전에 평시에는 제수濟水의 서쪽 지역 사람들은 부역을 시키지 않았으니, 이는 조나라를 방비하기 위해 미리 쉬게 하였던 것입니다.
하수河水의 북쪽 장정도 징집하지 않았으니, 이는 바로 연나라를 대비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제수 서쪽이나 하수 북쪽이건 모두 징집하여 그 지역 안은 피폐해졌습니다.
대저 교만한 임금은 반드시 좋은 계책을 낼 수 없으며, 나라를 망칠 신하는 재물만 탐내는 법입니다.
왕께서는 공자公子나 동생을 사랑만 하지 마시고 이들을 제나라에 인질로 보내시고, 또 보주寶珠옥백玉帛을 써서 그 좌우 신하들에게 바치는 데에 인색하지 마십시오.
그러면 제나라는 연나라를 고맙게 여기면서 송나라쯤은 쉽게 멸망시키리라 여겨 제나라가 스스로 망하게 해야 합니다.”
왕이 말하였다.
“내가 마침내 그대는 하늘의 을 받은 줄 알았소.”
소대가 말하였다.
“안에 있는 도적들이 일어나지 않으면 외적外敵이 이르지 않습니다.
왕께서는 스스로 외교에 힘쓰시고, 저는 제나라에 가서 그 내부를 움직여 왕께 보답하겠습니다.
이것이 제나라를 망하게 할 형세입니다.”


역주
역주1 : 이 장의 사실은 《史記》 〈蘇秦列傳〉 중의 蘇代를 언급한 부분에 수록되어 있다. 그러나 鮑本에는 蘇代가 상대한 燕王이 昭王이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역주2 燕王 噲 : 왕위를 子之(당시 상국)에게 물려주었다가 큰 혼란을 빚은 인물.
역주3 十二諸侯 : 泗上 小國의 諸侯를 말함. 《史記》 〈田敬仲完世家〉.
역주4 淸濟‧濁河 : 濟水는 맑은 물로 河南省에서 발원하여 山東을 거쳐 바다로 들어가는 강이다. 탁하는 황하가 탁함을 이른 말.
역주5 濟西 : 지금의 山東省 聊城縣‧高唐縣 일대.
역주6 河北 : 지금의 河北省 滄縣‧景縣 일대.

전국책(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