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戰國策(2)

전국책(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전국책(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367. 魏攻管而不下
魏攻而不下.
, 其子爲管守.
信陵君使人謂曰:
“君其遣縮高,
吾將仕之以五大夫, 使爲.”
安陵君曰:
“安陵, 小國也,
不能必使其民.
使者自往,
請使道使者至之所,
復信陵君之命.”
縮高曰:
“君之幸高也, 將使高攻管也.
夫以父攻子守, 人大笑也.
而下, 是倍主也.
父敎子倍, 亦非君之所喜也.
敢再拜辭.”
使者以報信陵君,
信陵君大怒, 遣大使之安陵曰:
“安陵之地, 亦猶魏也.
今吾攻管而不下, 則秦兵及我, 社稷必危矣.
願君之生束縮高而致之.
若君弗致也, 無忌將發十萬之師, 以造安陵之城.”
安陵君曰:
“吾先君成侯, 受詔以守此地也, 手受之憲. 憲之上篇曰: ‘子弑父, 臣弑君, 有常不赦.
國雖大赦, 降城亡子不得與焉.’
今縮高謹解大位, 以全父子之義,
而君曰‘必生致之’, 是使我負襄王詔而廢大府之憲也,
雖死終不敢行.”
縮高聞之曰:
“信陵君爲人, 悍而自用也.
此辭反必爲國禍.
吾已全己, 人臣之義矣,
豈可使吾君有魏患也?”
乃之使者之舍, 刎頸而死.
信陵君聞縮高死, 素服縞素,
使使者謝安陵君曰:
“無忌, 小人也,
困於思慮, 失言於君,
敢再拜釋罪.”


367. 나라가 땅을 공격하여 함락하지 못하다
나라가 나라 땅을 공격하였으나 함락시키지 못하였다.
안릉安陵 출신의 축고縮高라는 사람의 아들이 땅을 지키고 있었다.
위나라 신릉군信陵君이 사람을 안릉군安陵君에게 보내 말하였다.
“그대는 축고를 관 땅으로 보내어 항복을 권유하시오.
내 그에게 오대부五大夫의 관직을 주어 지절위持節尉로 임명하겠소.”
그러자 안릉군은 말하였다.
“이 안릉은 작은 나라입니다.
그 백성들을 마구 부릴 수 없습니다.
사신을 직접보내십시오.
청컨대 제가 보낸 사람으로 하여금 그 사신을 알리도록 축고가 있는 곳까지 안내해 드리겠소.
그리하여 신릉군의 명령대로 하겠습니다.”
〈축고에게 신릉군의 명령을 전달하자〉 축고가 말하였다.
“그대가 나를 이렇게 찾아온 것은 장차 나를 시켜 관 땅을 공격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무릇 아비로서 그 아들이 지키는 을 공경하면 누구나 웃을 것이다.
〈또 아들이〉 나를 보고 항복하면 군주를 배반하는 것이다.
아비가 아들에게 배신을 가르치게 하는 것은 신릉군도 좋아하는 일이 아닌 줄 안다.
감히 두 번 절하며 사양하겠다.”
사자가 이 말을 다시 신릉군에게 전하였다.
신릉군은 크게 노하여 다시 사람을 안릉군에게 보냈다.
“안릉 땅은 바로 위나라 관할이다.
지금 내가 관 땅을 공격하여 함락시키지 못하면 우리는 진나라의 공격을 받게 되어 이 나라 사직社稷이 위태로워진다.
원컨대 그대는 축고를 산 채로 묶어 보내거라.
그렇게 하지 않으면 나 무기無忌는 십만 군사를 이끌고 먼저 안릉의 성 밑에 다다르겠다.”
안릉군이 말하였다.
“나의 선군先君 성후成侯께서는 일찍이 양왕襄王의 조서를 받고, 이 땅을 지키면서 직접 손수 대부大府에 간직한 헌법憲法을 받으셨는데 그 법에 ‘자식이 아비를 죽인다거나 신하가 임금을 죽인 경우는 상형常刑으로 사면을 받지 못한다.
나라에 비록 대사면이 있어도 적에게 투항하거나 성을 버리고 도망친 자는 제외한다.’ 라고 씌여져 있다.
지금 축고는 스스로 높은 직위를 사임하며 부자父子간의 를 온전히 하고 있다.
그런데 귀하께서는 ‘산 채로 잡아 보내라.’ 하시니 이는 나로 하여금 지난날 양왕께서 내리신 조칙을 저버리고, 또 태부의 헌법조차 폐기하라는 뜻이다.
비록 죽는 한이 있어도 그렇게는 못하겠다.”
축고가 그 말을 말하였다.
“신릉군은 그 사람됨이 표독하고 제멋대로입니다.
지금 그 말씀은 도리어 틀림없이 나라의 큰 화가 될 것입니다.
나는 지금 이미 부자간의 의리를 온전히 했으니, 이제 남의 신하된 도리를 위배하지 않고자 합니다.
그러니 어찌 나의 안릉군이 위나라로부터 고통을 받게 할 수 있겠습니까?”
그리고는 신릉군의 사자가 묵고 있는 곳으로 찾아가 목을 찔러 죽고 말았다.
신릉군은 축고가 죽었다는 소식을 듣자 소복을 입고 피사避舍하였다.
그리고 사자를 안릉군에게 보내어 사죄의 말을 하였다.
“나 무기는 소인입니다.
사려가 깊지 못해 그대에게 실언失言하였습니다.
감히 재배드리며 죄를 용서해 주시기를 빕니다.”


역주
역주1 : 韓나라 땅. 351장 참조.
역주2 安陵 : 地名. 340장 참조. 지금의 河南省 鄢陵縣 서북.
역주3 縮高 : 安陵 사람. 그의 아들이 韓나라 管의 守長이었다.
역주4 安陵君 : 安陵이라는 땅(나라)의 군장으로 魏나라의 속국.
역주5 持節尉 : 符節을 지니고 사신으로 다니는 武官. 여기서는 管을 공략하러 보내겠다는 뜻.
역주6 縞(縮)高 : 원문 ‘縞’는 ‘縮’의 誤字.
역주7 是(見)臣 : 《資治通鑑》 〈秦紀一〉에 의하여 ‘是‘를 ‘見’으로 고쳤다.
역주8 襄王 : 魏나라의 襄王.
역주9 大府 : 大는 太. 《資治通鑑》에는 太府로 되어 있다. 魏나라의 문서 보관 창고.
역주10 無爲(違) : 《資治通鑑》 〈秦紀一〉에 의하여 ‘爲’를 ‘違’로 고쳤다.
역주11 辟舍 : 잘못을 뉘우친다는 의미로 正房을 떠나 別處에 거하는 것. 373 참조.

전국책(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