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戰國策(1)

전국책(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전국책(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秦令以車百乘入周, 迎之以卒甚敬.
怒, 讓周以其重秦客. 謂楚王曰:
“昔, 遺之, 載以廣車, 因隨入以兵, , 無備故也.
也. 號言伐楚, 其實襲蔡.
今秦者, 也, 兼有呑周之意, 使樗里疾以車百乘入周,
周君懼焉, 以蔡‧厹由戒之,
故使長兵在前, 强弩在後, 名曰衛疾, 而實囚之也.
周君豈能無愛國哉?
恐一日之亡國, 而憂大王.”
楚王乃悅.


나라가 저리질樗里疾로 하여금 수레 1백 으로 나라에 들어가게 하다
나라가 저리질樗里疾로 하여금 수레 1백 으로 나라에 들어가게 하니, 주군周君사졸士卒로써 영접하며 심히 공경을 다하였다.
초왕楚王나라의 을 너무 중히 대접한다고 나라에 화를 내며 꾸짖자 〈주나라 신하〉 유등游騰초왕楚王에게 말하였다.
“옛날 지백智伯구유厹由를 벌하고자 하면서 대종大鍾을 보내 준다고 큰 수레에 싣고, 대군을 뒤따라 보내어 구유厹由는 끝내 멸망하고 말았으니, 이는 방비를 하지 않았기 때문이었습니다.
환공桓公를 칠 때에도, 를 친다는 구호를 내세우고 실제로는 를 습격하였습니다.
지금 호랑虎狼과 같은 나라여서 나라를 집어삼킬 뜻이 있어 저리질로 하여금 병거 1백 승을 이끌고 나라에 들여보낸 것입니다.
주군周君이 이를 두려워하여 옛날 구유厹由의 일로써 경계로 삼고 있습니다.
그 때문에 앞에는 장병長兵을, 뒤에는 강노强弩를 배치한 것이니 이는 명분은 저리질을 보위한다고 하지만 실은 저리질을 가두고 있는 것입니다.
주군周君인들 어찌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이 없겠습니까?
하루아침에 나라가 망하고 나면 〈다음은〉 대왕을 걱정해야 할까 두렵습니다.”
초왕이 이 말을 듣고 기뻐하였다.


역주
역주1 031. 秦令樗里疾以車百乘入周 : 002‧064‧068‧207‧234‧384‧385‧386장 등과 관련이 있으며, 《史記》 〈樗里子甘茂列傳〉과 《韓非子》 〈說林 上〉에도 같은 내용이 실려 있다.
역주2 樗里疾 : 秦 惠王의 이복 동생. 이름은 疾. 渭水 남쪽 樗里에 살았기 때문에 樗里疾이라 한다. 滑稽를 잘하고 지혜가 많아서 智囊이라고 불렸으며 趙‧魏‧楚를 공벌한 공로로 左相이 되었다. 《史記》 〈樗里子甘茂列傳〉에 “감무가 韓나라를 공격하여 宜陽을 빼앗고는 樗里子를 시켜 수레 1백 승으로 周나라에 들어가게 했다.[甘茂攻韓 拔宜陽 使樗里子以車百乘入周]”라고 하였다. 이때는 周 赧王 5년(B.C.310), 혹은 B.C.308년, 혹 B.C.307년으로 보기도 한다.
역주3 周君 : 周 赧王, 혹은 西周君.
역주4 楚王 : 楚 懷王, 이름은 熊槐.
역주5 游騰 : 周나라의 신하. 姚宏의 續註에는 “《後語》에 游勝으로 되어 있다.”라고 하였다.
역주6 智伯欲伐厹由 : 智伯은 춘추 말기 晉의 卿이었던 荀瑤. 三晉으로 분립될 때 智伯이 韓‧魏와 더불어 趙를 쳐 없애려다가 오히려 三家 聯合으로 멸망당하고 晉은 드디어 韓‧魏‧趙로 三分되었다. 厹由는 北狄의 이름으로 仇猶‧仇繇‧仇縣‧仇首‧仇由 등으로도 쓴다.
역주7 大鍾 : 원래는 악기이지만 鍾에 문자를 새겨 왕실에 보존하는 상징적 보물. 《韓非子》 〈說林 下〉 참조.
역주8 厹由卒亡 : 이때 厹由는 大鍾의 뇌물을 탐하여, 길을 열고 晉에 鍾을 받으러 가자, 智伯이 그에 따라 군대를 들여보내어 벌하여 이를 취하였다.
역주9 桓公伐蔡 : 齊 桓公의 셋째 부인인 蔡姬는 蔡나라 穆公의 누이동생이었다. 어느 날 桓公과 뱃놀이를 할 때 놀이에 취하여 桓公에게 물을 끼얹고 배를 흔들어 桓公이 두려워 그치라고 하였으나 그치지 않았다. 화가 난 桓公이 蔡姬를 본국으로 쫓았으나 끊을 생각이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화가 난 蔡 穆公이 그녀를 楚 成王에게 다시 시집보내자 화가 난 桓公이 楚를 친다는 명목을 내세워 蔡를 쳐 없앴다. 그리고 楚와 싸워 召陵에서 會盟하고 春秋五霸 중 최초의 패자가 되니, 이때가 周 惠王 21년(B.C.656)이다. 《史記》 〈齊太公世家〉 桓公 29년 참조.
역주10 원주] 虎狼之國 : 秦나라가 諸侯를 呑滅하고자 하기 때문에 虎狼國이라 말한 것이다.

전국책(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