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禮記集說大全(1)

예기집설대전(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예기집설대전(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013705 齒決하고 不齒決하며니라.
集說
[集說] 濡肉 殽胾之類, 乾肉 脯脩之類.
斷也.
不齒決 則當治之以手也니라.
○ 疏호되 火灼 曰炙,
若食炙 不一擧而倂食이라.
倂食之 曰嘬, 是 貪食也.
大全
[大全] 廣安游氏호대 聖人하야 而致詳於飮食之禮하사 終食之間에도 而人之賢不肖 可得而知也.
貪也 犯人之所惡也 薄主人之飮食也 聲容之不敬也 所謂小人之情狀 畢見於此矣.
聖人之敎 不待其已麗於大惡而後 正之也,
待其大惡而正之 則無及矣.
夫起居飮食之間而爲之禮焉하니 聖人之用意 微矣니라.
○ 馬氏호대 君子 於觴酒豆肉之間에도 未嘗不致謙而養廉也니라.


젖은 고기는 이로 끊어 먹고, 마른 고기는 이로 끊어 먹지 않으며, 불고기는 한 입에 넣지 않는다.
集說
[集說]유육濡肉 따위이고, 건육乾肉 따위이다.
은 끊는 것이다.
이로 끊어 먹지 않는다는 것은 마땅히 손으로 찢어 먹어야 한다는 것이다.
: 불에 구운 고기를 라고 한다.
불에 구운 고기를 먹을 때에는 한 입에 다 먹지 않는다.
한 입에 다 먹는 것을 라고 하는데, 이것은 음식을 탐하는 것이다.
大全
[大全]광안유씨廣安游氏 : 성인은 인간의 큰 욕심이 음식에 있다는 것을 알아서 음식과 관계되는 예를 자세하게 마련함으로써 식사 한 끼를 하는 짧은 시간에도 그 사람이 어진 사람인가 불초不肖한 사람인가를 알 수 있게 하였다.
욕심내는 것은 사람들이 싫어하는 것이고, 주인의 음식을 타박하는 것과 목소리와 얼굴빛을 불경스럽게 하는 것은 이른바 소인의 정상情狀이 모두 다 드러나는 것이다.
성인의 가르침은 그가 이미 큰 죄악에 걸려들기를 기다린 뒤에 그를 바로잡는 것이 아니다.
그가 크게 악해지기를 기다려서 바로잡으려 한다면 미칠 수가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일어나고 자고 먹고 마시는 모든 일상생활에서 그에 따른 예를 제정하였으니 성인이 마음을 쓰신 것이 〈참으로〉 정미精微하다.
마씨馬氏 : 군자는 술 마시고 식사하는 사이에도 언제나 겸손과 염치를 기르는 것이다.


역주
역주1 濡肉 : 유육
역주2 乾肉 : 간육
역주3 嘬炙 : 최자
역주4 夫人之大欲 在夫飮食也 : 《禮記》 〈禮運〉에 “음식과 남녀는 인간의 가장 큰 욕구가 매여 있는 곳이나, 죽음과 빈곤은 인간이 가장 꺼려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욕구와 꺼림이 마음의 큰 단서가 된다.[飮食男女 人之大欲 存焉 死亡貧苦 人之大惡 存焉 故欲惡者 心之大端也]”라고 한 것을 말한다.

예기집설대전(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50 서울시 종로구 삼봉로81, 1332호(두산위브파빌리온)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