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禮記集說大全(2)

예기집설대전(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예기집설대전(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036601 叔孫武叔之母死 旣小斂하고 擧者出하야 尸出戶어늘하고 且投其冠하고 括髮한대 子游曰 知禮라하니라
集說
≪集說≫ 禮 始死 將斬衰者 笄纚하고 이라하니 小斂畢而徹帷하고 主人 括髮袒于房하며 婦人 髽于室이라
擧者出 擧尸以出也
括髮 當在小斂之後尸出堂之前이라
主人爲將奉尸 故袒而括髮耳어늘 今武叔 待尸出戶然後袒而去冠括髮하니 失禮節矣
故註 以子游知禮之言爲嗤之也니라
集說
○馮氏曰 하니 上戶字 乃尸字之訛也 鄭註云 尸出戶乃變服이라하니 義甚明이라
然註文尸亦訛爲戶하야 遂解不通이라
大全
≪大全≫ 嚴陵方氏曰 蓋小斂而後袒括髪則得其序矣 出尸而後袒括髪則非其所也
子游曰 知禮 所以甚言其不知禮也


숙손무숙叔孫武叔의 어머니가 죽었다. 이미 소렴小斂을 마치고 시신을 드는 자가 문을 나와 시신이 문 밖으로 나오자 상주인 숙손무숙이 그제서야 어깨를 드러내고, 또 그 을 벗고 머리털을 묶자, 자유子游가 〈조롱하며〉 말하기를 “예를 안다.”고 하였다.
集說
에 사람이 막 죽으면 장차 참최복斬衰服을 입을 사람은 비녀를 꽂고 머리를 싸매고, 장차 자최복齊衰服을 입을 사람은 흰 을 쓴다. 소렴小斂이 끝나면 휘장을 걷고, 상주喪主는 방에서 머리를 묶고 어깨를 드러내놓으며, 부인婦人은 방 안에서 북상투를 튼다.
거자출擧者出은 시신을 들고 문 밖으로 나온다는 뜻이다.
머리를 묶는 것은 마땅히 소렴을 한 뒤 시신이 으로 나가기 전에 해야 한다.
상주는 장차 시신을 받들어야 하기 때문에 어깨를 드러내고 머리털을 묶는 것일 뿐인데, 지금 무숙武叔은 시신이 문 밖으로 나오기를 기다린 뒤에야 어깨를 드러내고 을 벗고 머리털을 묶었으니, 예절을 잃은 것이다.
그러므로 정현鄭玄에서 자유子游를 안다는 말로써 그를 조롱한 것이라고 하였다.
集說
풍씨馮氏경문經文에는 ‘호출호戶出戶’로 되어 있는데, 앞의 호자戶字는 바로 시자尸字의 잘못이다. 정현鄭玄에 “시신이 문을 나오면 이에 옷을 바꿔 입는다.”라고 했으니, 뜻이 매우 분명하다.
그러나 시자尸字가 또한 호자戶字로 잘못되어 있어서 마침내 해석이 통하지 않는다.
大全
엄릉방씨嚴陵方氏:대개 소렴小斂한 뒤에 어깨를 드러내고 머리털을 묶었다면 그 순서에 맞는 것이고, 시신이 문 밖으로 나온 뒤에 어깨를 드러내고 머리털을 묶었다면 올바른 장소가 아닌 것이다.
자유子游가 “를 안다.”고 한 것은 그가 를 알지 못함을 심하게 말한 것이다.


역주
역주1 將齊衰者 素冠 : ≪儀禮≫ 〈士喪禮〉에 “主人은 머리털을 묶고 어깨를 드러내고, 衆主人(죽은 자의 아들들, 즉 주인의 여러 형제들)은 방에서 免을 한다.[主人髺髪袒 衆主人免于房]”라고 했는데, 鄭玄의 註에 “사람이 막 죽으면 장차 斬衰服을 입을 사람은 비녀를 꽂고 머리를 싸매고, 장차 齊衰服을 입을 사람은 흰 冠을 쓰는데, 이제 小斂에 이르러서는 바꾸니, 또 初喪의 복을 입으려고 하는 것이다.[始死 將斬衰者雞斯 將齊衰者素冠 今至小斂變 又將初喪服也]”라고 했다.
역주2 經文作戶出戶 : 經文의 ‘尸出戶’가 ≪石經≫․≪宋監本≫․≪岳本≫․≪嘉靖本≫과 衛氏의 ≪集說≫에는 ‘戶出戶’로 되어 있다.

예기집설대전(2) 책은 2022.12.25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