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禮記集說大全(2)

예기집설대전(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예기집설대전(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036501 弁人 有其母死而孺子泣者어늘 孔子曰哀則哀矣 而難爲繼也로다
夫禮爲可傳也 爲可繼也
故哭踊有節하니라
集說
≪集說≫ 弁 地名이라 孺子泣者 其聲若孺子하야 無長短高下之節也 聖人制禮 期於使人可傳可繼
故哭踊皆有其節하니 若無節이면 則不可傳而繼矣
大全
≪大全≫ 嚴陵方氏曰 傳 言由己以傳於後 言使人有繼於前이라 孟子曰 라하시고 又曰 라하시니 此傳繼之辨歟인저
夫弁人之喪母 泣若孺子 雖爲盡哀 然失哭踊之節而難爲繼矣 此孔子以是言之也


땅의 사람 중에 그 어머니가 죽자 어린아이처럼 우는 이가 있었는데,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시기를 “슬프기는 슬프지만 계속하기가 어렵구나.
대체 라는 것은 전할 수 있어야 하며 계속할 수 있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하며 뛰는 것이 절도節度가 있는 것이다.”라고 하셨다.
集說
은 땅 이름이다. 어린아이처럼 우는 것은 그 울음소리가 어린아이와 같아 장단長短고하高下절도節度가 없는 것이다. 성인聖人를 제정함에 기필코 사람들로 하여금 전할 수 있으며 계속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므로 하고 뛰는 것이 모두 그 절도가 있는 것이니, 만약 절도가 없으면 전해주고 계속할 수가 없는 것이다.
大全
엄릉방씨嚴陵方氏은 자기로 말미암아 후세에 전한다는 말이고, 는 사람들로 하여금 앞 세대를 계승하도록 한다는 말이다. 맹자孟子께서 말씀하시길 “임금께서는 천하에 모범이 되셔서 후세에 전해지실 수 있었다.”고 하시고, 또 말씀하시길 “군자가 왕업王業의 토대를 세우고 전통을 드리워서 후세로 하여금 계승할 수 있게 하였다.”고 하셨으니, 이것이 바로 의 구별인 듯하다.
대체 땅 사람이 어머니 에 어린아이처럼 운 것은 비록 슬픔을 다한 것이긴 하지만, 그러나 하고 뛰는 절도節度를 잃어버렸기 때문에 계승하기가 어려운 것이다. 이에 공자孔子께서 이것을 가지고 말씀하신 것이다.


역주
역주1 舜……可傳於後世 : ≪孟子≫ 〈離婁 下〉 28장 참조.
역주2 君子創業垂統 爲可繼也 : ≪孟子≫ 〈梁惠王 下〉 14장 참조.

예기집설대전(2) 책은 2022.12.25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50 서울시 종로구 삼봉로81, 1332호(두산위브파빌리온)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