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禮記集說大全(2)

예기집설대전(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예기집설대전(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032601 子路有姊之喪이러니 可以除之矣而弗除也어늘 孔子曰 何弗除也 子路曰 吾寡兄弟而弗忍也로이다
孔子曰 先王制禮 皆弗忍也니라 子路聞之하고 遂除之하니라
集說
≪集說≫ 行道之人 皆有不忍於親之心이나 然而遂除之者 以先王之制 不敢違也니라
大全
≪大全≫ 吳氏莘曰 聖人以中道抑人之情 非惡其過厚 懼其不可繼而已
大全
○臨川吳氏曰 行道 謂稍知率性之道而行之者 其情必過厚 故以禮制其情이면 則皆有所不忍也
伯魚於出母之喪 期後當不哭矣어늘 而猶哭하고 子路於嫁姊之喪 大功服滿當除矣어늘 而猶不除하니 皆情之過厚而於禮不可 故夫子皆抑其過
伯魚遂除之 除其哭也 子路遂除之 除其服也


자로子路에게 누님의 상이 있었는데, 상복喪服을 벗을 만한데도 벗지 않았다. 공자孔子께서 묻기를 “어찌하여 상복을 벗지 않는가?”라고 하자, 자로가 대답하기를 “저는 형제가 적어 〈누님에 대한 상복을〉 차마 벗지 못하고 있습니다.”라고 하였다.
공자께서 말하기를 “선왕先王께서 제정한 는 〈감히 어길 수가 없다.〉 길 가는 사람도 모두 〈친족에게〉 차마 하지 못하는 마음이 있다.”라고 하자, 자로가 그 말씀을 듣고 마침내 상복을 벗었다.
集說
길 가던 사람도 모두 어버이에게 차마 하지 못하는 마음이 있지만, 그러나 마침내 상복을 벗는 것은 선왕先王의 제도를 감히 어길 수가 없기 때문이다.
大全
오신吳莘성인聖人중도中道로 사람의 을 억제하는 것은 지나치게 두터움을 싫어해서가 아니라 계속하지 못할까 염려해서일 따름이다.
大全
임천오씨臨川吳氏를 행한다는 것은 을 따르는 를 조금씩 알아서 행하는 것이니, 그의 이 반드시 지나치게 두텁기 때문에 로써 그 을 절제하면 모두 차마 하지 못하는 마음을 갖게 된다.
백어伯魚출모出母기년期年이 지난 뒤에는 하지 않는 것이 마땅한데 여전히 곡을 했고, 자로子路는 시집간 누이의 상에 대공복大功服의 기간을 다 채웠으면 상복을 벗는 것이 마땅한데 여전히 벗지 않았으니, 모두 이 지나치게 두터운 것으로 에 있어서는 불가한 것이다. 그러므로 공자께서 모두 그 지나침을 억제한 것이다.
백어가 마침내 제거했다는 것은 곡을 그쳤다는 뜻이고, 자로가 마침내 제거했다는 것은 상복을 벗었다는 뜻이다.


역주
역주1 行道之人 : ≪集說≫에서는 ‘길 가던 사람’으로 풀이하였는데, ≪大全≫에서는 이와 다르게 ‘道를 행하는 사람’으로 풀이하였다.

예기집설대전(2) 책은 2022.12.25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