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32601 子路有姊之喪이러니 可以除之矣而弗除也어늘 孔子曰 何弗除也오 子路曰 吾寡兄弟而弗忍也로이다
孔子曰 先王制禮
는 이 皆弗忍也
니라 子路聞之
하고 遂除之
하니라
集說
≪集說≫ 行道之人도 皆有不忍於親之心이나 然而遂除之者는 以先王之制를 不敢違也니라
大全
≪大全≫ 吳氏莘曰 聖人以中道抑人之情은 非惡其過厚요 懼其不可繼而已라
大全
○臨川吳氏曰 行道는 謂稍知率性之道而行之者니 其情必過厚라 故以禮制其情이면 則皆有所不忍也라
伯魚於出母之喪에 期後當不哭矣어늘 而猶哭하고 子路於嫁姊之喪에 大功服滿當除矣어늘 而猶不除하니 皆情之過厚而於禮不可라 故夫子皆抑其過라
伯魚遂除之는 除其哭也요 子路遂除之는 除其服也라
자로子路에게 누님의 상이 있었는데, 상복喪服을 벗을 만한데도 벗지 않았다. 공자孔子께서 묻기를 “어찌하여 상복을 벗지 않는가?”라고 하자, 자로가 대답하기를 “저는 형제가 적어 〈누님에 대한 상복을〉 차마 벗지 못하고 있습니다.”라고 하였다.
공자께서 말하기를 “선왕先王께서 제정한 예禮는 〈감히 어길 수가 없다.〉 길 가는 사람도 모두 〈친족에게〉 차마 하지 못하는 마음이 있다.”라고 하자, 자로가 그 말씀을 듣고 마침내 상복을 벗었다.
集說
길 가던 사람도 모두 어버이에게 차마 하지 못하는 마음이 있지만, 그러나 마침내 상복을 벗는 것은 선왕先王의 제도를 감히 어길 수가 없기 때문이다.
大全
오신吳莘:성인聖人이 중도中道로 사람의 정情을 억제하는 것은 지나치게 두터움을 싫어해서가 아니라 계속하지 못할까 염려해서일 따름이다.
大全
○임천오씨臨川吳氏:도道를 행한다는 것은 성性을 따르는 도道를 조금씩 알아서 행하는 것이니, 그의 정情이 반드시 지나치게 두텁기 때문에 예禮로써 그 정情을 절제하면 모두 차마 하지 못하는 마음을 갖게 된다.
백어伯魚는 출모出母의 상喪에 기년期年이 지난 뒤에는 곡哭하지 않는 것이 마땅한데 여전히 곡을 했고, 자로子路는 시집간 누이의 상에 대공복大功服의 기간을 다 채웠으면 상복을 벗는 것이 마땅한데 여전히 벗지 않았으니, 모두 정情이 지나치게 두터운 것으로 예禮에 있어서는 불가한 것이다. 그러므로 공자께서 모두 그 지나침을 억제한 것이다.
백어가 마침내 제거했다는 것은 곡을 그쳤다는 뜻이고, 자로가 마침내 제거했다는 것은 상복을 벗었다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