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禮記集說大全(2)

예기집설대전(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예기집설대전(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034801 孔子蚤作하사 負手曳杖하사 消搖於門하사 歌曰泰山 其頹乎인저 梁木 其壞乎인저 哲人 其萎乎인저 旣歌而入하사 當戶而坐어시늘
子貢聞之曰泰山其頹 則吾將安仰이며 梁木其壞하며 哲人其萎 則吾將安放 夫子殆將病也로다하고 遂趨而入한대
集說
≪集說≫ 作 起也 負手曳杖 反手郤後하야 以曳其杖也 消搖 寬縱自適之貌
泰山 爲衆山所仰이요 梁木 亦衆木所仰而放者 猶哲人 爲衆人所仰望而放效也


공자孔子께서 일찍 일어나 뒷짐을 지고 지팡이를 끌면서 문 앞을 이리저리 거닐면서 노래하기를 “태산泰山이 무너지려나 보다. 들보가 부러지려나 보다. 철인哲人이 시드려나 보다.”라고 하고는, 노래를 마치고 문 안으로 들어가서 방문을 마주하고 앉아계셨는데,
자공子貢이 그 노래를 듣고 말하기를 “태산이 무너지면 우리는 장차 어디를 우러러볼 것이며, 들보가 부러지고 철인이 시들면 우리는 장차 어디에 의지해야 할 것인가? 선생님께서 장차 병이 드시려나 보다.”라고 하고는, 마침내 종종걸음으로 들어갔다.
集說
은 일어난다는 뜻이다. 뒷짐을 지고 지팡이를 끌었다는 것은 손을 뒤로 젖혀서 지팡이를 끈 것이다. 소요消搖는 한가로이 거닐며 유유자적하는 모양이다.
태산泰山은 뭇 산들이 우러러보는 산이고, 들보 역시 뭇 나무들이 우러러 따르는 바이니, 마치 철인哲人을 뭇 사람들이 우러러 바라보면서 본받고자 하는 것과 같다.



예기집설대전(2) 책은 2022.12.25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