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
번역서
동양고전
강의
동양고전
번역용례
동양고전
해제집
검색
상세검색
특수문자입력기
특화서비스
지식관계망
개념용어
주소 비교
Open API
?
공지사항
자료실
禮記集說大全(1)
예기집설대전(1)
범례
|
참고문헌
현토
원문
번역
원주
번역(본문)
나란히 보기
글자확대
글자크기 초기화
글자축소
설정저장
출력
공유하기
URL
클립보드 액세스를 허용하지 않는 브라우저입니다.
Ctrl+C를 눌러 클립보드로 복사하시고 Ctrl+v로 붙여넣기 하세요.
오류신고
예기집설대전(1)
예기집설대전(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여닫기
예기집설대전(1)
여닫기
禮記集說 序
前聖繼天立極之道는 莫大於禮하고,
四代損益은 世遠經殘하야
鄭氏는 祖讖緯하고
先君子가 師事雙峯先生十有四年에
書成에 甚欲就正于四方有道之士나
여닫기
禮記集說大全 凡例
1. 今編은 以陳氏集說로
2. 陳氏集說舊例
3. 註說去取
4. 音文反切
5. 章句分段
6. 今所取諸儒姓氏에
7. 今奉勅纂修
여닫기
禮記集說大全 總論
1.1. 程子가 曰호대
1.2. 又曰호대 禮記는
1.3. 永嘉周氏가 曰호대
1.4. 延平周氏가 曰호대
1.5. 朱子 曰 或謂禮記는
1.6. 虙氏가 曰호대
여닫기
曲禮 上 第1
經에 曰호대
曲禮에 曰호대,
敖不可長이며
賢者는 狎而敬之하며
臨財毋苟得하며
疑事는 毋質이니
若夫坐如尸하며
禮는 從宜하고
夫禮者는 所以定親疏하며
禮不妄說人하며 不辭費니라.
禮不踰節하며 不侵侮하며
修身踐言을 謂之善行이니
禮聞取於人이오 不聞取人하며,
道德仁義는 非禮면
敎訓正俗이 非禮면
分爭辨訟은 非禮면
君臣上下와 父子兄弟가
宦學事師는 非禮면
班朝治軍과 涖官行法이
禱祠祭祀하야 供給鬼神이
是以로 君子는
鸚鵡가 能言하나
是故로 聖人作하사
太上엔 貴德하고
人이 有禮則安하고
夫禮者는 自卑而尊人하나니
富貴而知好禮하면
人生十年曰幼니 學이니라…
大夫는 七十而致事니
若不得謝어든 則必賜之几杖하며
行役에 以婦人하며
自稱曰老夫라하고 於其國엔
越國而問焉이어든
謀於長者호대
凡爲人子之禮는
夫爲人子者는 三賜에
見父之執하고 不謂之進이어시든
夫爲人子者는 出必告하고
恒言에 不稱老니라.
年長以倍어든 則父事之하고
群居五人이어든 則長者가
爲人子者는 居不主奧하며
食饗에 不爲槪하며,
祭祀에 不爲尸하며,
聽於無聲하며 視於無形하며,
不登高하며 不臨深하며
父母가 存이어시든
爲人子者는 父母가
孤子가 當室하여는
幼子를 常視毋誑이니라.
童子는 不衣裘裳하며
長者가 與之提携어시든
從於先生할새 不越路而與人言하며
從長者하야 而上丘陵하얀
將適舍할새 求無固하며,
將上堂할새 聲必揚하며,
將入戶할새 視必下하며
毋踐屨하며 毋踖席하며
大夫士가 出入君門호대
凡與客入者는 每門에
主人은 入門而右하고
主人이 與客讓登이라가
帷薄之外에 不趨하며
竝坐不橫肱하며 授立不跪하며
凡爲長者糞之禮는 必加帚於箕上하며
奉席如橋衡하며,
請席何鄕하며 請衽何趾니라.
席이 南鄕北鄕에는
若非飮食之客이어든 則布席에
主人이 跪하여
主人이 不問이어든
將卽席할새 容毋怍하며
先生書策琴瑟이 在前이어든
虛坐에는 盡後하고
正爾容하며 聽必恭하며
侍坐於先生하여 先生이
請業則起하고 請益則起니라.
父가 召어시든
侍坐於所尊敬하야 無餘席이니
燭至어든 起하며
燭不見跋이니라.
尊客之前에 不叱狗하며
讓食不唾니라
侍坐於君子에 君子欠伸하며
侍坐於君子에 君子가
侍坐於君子에 若有告者가
毋側聽하며 毋噭應하며
遊毋倨하며 立毋跛하며
斂髮毋髢하며,
冠毋免하며 勞毋袒하며
侍坐於長者에 屨不上於堂하며,
就屨호대 跪而擧之하야
鄕長者而屨호대 跪而遷屨하야
離坐離立이어든 毋往參焉하며
男女는 不雜坐하며
嫂叔은 不通問하며
外言을 不入於梱하며
女子가 許嫁어든
姑姊妹와 女子子가
父子는 不同席이니라.
男女는 非有行媒어든
故로 日月以告君하며
取妻호대 不取同姓이니라.
故로 買妾에
寡婦之子는 非有見焉이어든
賀取妻者하야는 曰某子가
貧者는 不以貨財로
名子者는 不以國하며
男女는 異長하며,
男子가 二十이어든
父前에 子名하고
女子가 許嫁면
凡進食之禮는 左殽右胾하며
客若降等이어든 執食興辭호대
主人이 延客祭호대
三飯이어든 主人이
主人이 未辯이면
侍食於長者호대 主人이
共食에 不飽하며
毋摶飯하며 毋放飯하며
毋咤食하며 毋齧骨하며
毋揚飯하며 飯黍에
毋嚃羹하며 毋絮羹하며
濡肉은 齒決하고
卒食이어든 客이
侍飮於長者할새 酒進則起하여
長者가 賜어시든
賜果於君前이어시든 其有核者란
御食於君에 君이
餕餘란 不祭니
御同於長者하야는 雖貳나
羹之有菜者는 用梜하고,
爲天子하여 削瓜者는
父母가 有疾이어시든
有憂者는 側席而坐하고,
水潦가 降이어든
獻鳥者는 佛其首나
獻車馬者는 執策綏하고,
獻甲者는 執冑하고,
獻民虜者는 操右袂하고,
獻粟者는 執右契하고,
獻孰食者는 操醬齊하고,
獻田宅者는 操書致니라.
凡遺人弓者는 張弓은
主人이 自受호대,
進劍者는 左首하고,
進戈者는 前其鐏하고,
進矛戟者는 前其鐓하고,
進几杖者는 拂之하고,
效馬效羊者는 右牽之하고,
效犬者는 左牽之하고,
執禽者는 左首하고,
飾羔雁者는 以繢하고,
受珠玉者는 以掬하고,
受弓劍者는 以袂하고,
飮玉爵者는 弗揮니라.
凡以弓劍苞苴簞笥로 問人者는,
凡爲君使者는 已受命하여는
君言이 至커시든
若使人於君所어든
博聞强識而讓하며
君子가 不盡人之歡하며
禮에 曰호대
齋者는 不樂不弔니라.
居喪之禮는 毁瘠이
居喪之禮는 頭有創則沐하고,
五十엔 不致毁하고
生與來日이오 死與往日이니라
知生者는 弔하고
弔喪호대 弗能賻어든
賜人者는 不曰來取오,
適墓호대 不登壟하며,
臨喪에 不笑하며,
揖人호대 必違其位하며,
望柩不歌하며, 入臨不翔하며,
鄰有喪이어든 舂不相하며,
里有殯이어든 不巷歌하며,
送喪호대 不由徑하며,
臨樂不歎하며,
介冑則有不可犯之色이니
國君이 撫式이어시든
刑不上大夫니라.
刑人은 不在君側이니라.
兵車엔 不式하며
史는 載筆하고,
前有水어든 則載靑旌하고,
前有塵埃어든 則載鳴鳶하고,
前有車騎어든 則載飛鴻하고,
前有士師어든 則載虎皮하고,
前有摯獸어든 則載貔貅니라.
行에 前朱鳥而後玄武하며,
進退有度하며, 左右有局하며,
父之讐는 弗與共戴天하고,
四郊에 多壘는
臨祭不惰하며, 祭服이
凡祭於公者는 必自徹其俎니라.
卒哭乃諱니 禮에
逮事父母어든 則諱王父母하고,
君所엔 無私諱하고,
詩書不諱하며 臨文不諱하며
廟中不諱니라.
夫人之諱는 雖質君之前이라도
入竟而問禁하며 入國而問俗하며
外事란 以剛日하고,
凡卜筮日호대 旬之外를
曰호대, 爲日하야
龜爲卜이오 筴爲筮니,
君車가 將駕어든,
已駕어든 僕이
奮衣하야 由右上하야
執策分轡하야 驅之하야
君出就車어시든 則僕이
車驅而騶하야 至于大門하야
凡僕人之禮는 必授人綏니,
若僕者가 降等이어든
客車는 不入大門하며,
故로 君子는
君이 命召어시든,
介者가 不拜는
祥車엔 曠左니,
僕御婦人이어든 則進左手하고
御國君호대, 則進右手하고
國君은 不乘奇車하며,
立視五雟하며 式視馬尾하며
國中에 以策彗로
國君은 下齊牛하며
乘路馬호대 必朝服이니
步路馬호대 必中道니,
여닫기
曲禮 下 第2
凡奉者는 當心하고
執天子之器則上衡하고,
凡執主器호대 執輕如不克하며,
立則磬折垂佩니, 主佩倚어시든
執玉호대 其有藉者則裼하고,
國君은 不名卿老世婦하고,
君大夫之子는
君이 使士로
侍於君子에 不顧望而對가
君子는 行禮호대
去國三世에 爵祿이
君子는 已孤하얀
已孤暴貴하얀 不爲父作諡하나니라.
居喪未葬하얀 讀喪禮하고,
振書端書於君前이 有誅하며,
龜와 筴과
苞屨와 扱衽과
書方과 衰와
公事를 不私議니라.
君子가 將營宮室호대
凡家造는 祭器가
無田祿者는 不設祭器하고,
大夫士는 去國호대
大夫士가 去國호대,
大夫士가 見於國君호대,
君이 若迎拜어시든
大夫士가 相見호대
凡非弔喪이며 非見國君이어든
大夫가 見於國君이어든
君은 於士에
男女는 相答拜也니라.
國君은 春田에
歲凶하야 年穀이
君이 無故어든
士가 有獻於國君하고,
大夫가 私行出疆할새
國君이 去其國이어시든
君天下를 曰天子니,
踐阼야 臨祭祀엔
臨諸侯하야 畛於鬼神엔
崩에 曰호대
天子가 未除喪하산
天子는 有后하며,
天子가 建天官호대
天子之五官은 曰司徒와
天子之六府는 曰司土와
天子之六工은 曰土工과
五官이 致貢을
五官之長을 曰伯이니,
九州之長이 入天子之國엔
其在東夷北狄西戎南蠻하여는
庶方小侯가
天子가 當依而立이어시든
諸侯가 未及期하야
諸侯가 使大夫로
約信을 曰誓요,
諸侯가 見天子엔
臨祭祀하얀
旣葬하고 見天子曰類見이라 하고,
諸侯가 使人으로
天子는 穆穆하고,
天子之妃를 曰后라 하고,
公侯는 有夫人하며,
自稱於諸侯를 曰寡小君이라 하고,
自稱於其君을 曰小童이라 하나니,
子는 於父母엔
列國之大夫가 入天子之國엔
天子는 不言出이오,
爲人臣之禮는 不顯諫이니,
子之事親也는 三諫而不聽이어시든
君이 有疾飮藥이어시든
儗人호대 必於其倫이니라.
問天子之年이어든,
問國君之年이어든,
問大夫之子어든,
問士之子어든
問庶人之子어든
問國君之富어든 數地以對호대,
問大夫之富어든 曰有宰食力하야
問士之富어든 以車數로
問庶人之富어든 數畜以對니라.
天子는 祭天地하며
凡祭는 有其廢之어든
天子는 以犧牛하고,
支子는 不祭니,
凡祭宗廟之禮는
豕曰剛鬣이오,
豚曰腯肥오,
羊曰柔毛요,
鷄曰翰音이오,
犬曰羹獻이오,
雉曰疏趾오,
兎曰明視오,
脯曰尹祭오,
槀魚曰商祭오,
鮮魚曰脡祭오,
水曰淸滌이오,
酒曰淸酌이오,
黍曰薌合이오,
粱曰薌萁오,
稷曰明粢요,
稻曰嘉蔬요,
韭曰豐本이오,
鹽曰鹹鹺요,
玉曰嘉玉이오,
幣曰量幣라 하나니라.
天子가 死曰崩이오,
祭王父曰皇祖考요,
生엔 曰父曰母曰妻요,
天子를 視한대,
凡視를 上於面則敖하고,
君命을 大夫與士가
朝言은 不及犬馬니라.
輟朝而顧는 不有異事면
在朝言禮하며, 問禮어든
大享엔 不問卜하며,
凡摯는 天子는
婦人之摯는 椇榛脯脩棗栗이니라.
納女於天子曰備百姓이오,
여닫기
예기집설대전(2)
여닫기
檀弓 上 第3
劉氏曰 檀弓篇首에
公儀仲子之喪에 檀弓이
曰 仲子舍其孫而立其子는
事親호대 有隱而無犯하며
季武子成寢하니 杜氏之葬이
子上之母死而不喪한대 門人이
孔子曰 拜而后稽顙(상)은
孔子旣得合葬於防하시고 曰
孔子先反하시고 門人이
孔子哭子路於中庭이어시늘 有人弔者而夫子拜之하시다
曾子曰 朋友之墓에
子思曰 喪은
喪은 三年以爲極이니
孔子少孤하사 不知其墓하사
隣有喪이어든 舂不相하며
喪冠은 不緌(유)니라冠冠繩纓喪中의
有虞氏는 瓦棺하고
周人은 以殷人之棺槨으로
夏后氏는 尙黑하야
穆公之母卒커늘 使人問於曾子曰
晉獻公이 將殺其世子申生이어늘
曰 然則蓋行乎아
使人辭於狐突曰 申生有罪하니
魯人이 有朝祥而莫(모)歌者어늘
魯莊公이 及宋人으로
曾子寢疾病이어시늘 樂正子春은
童子曰 華而睆(환)하니
始死에 充充如有窮하며
邾婁(루)가 復之以矢는
魯婦人之髽(좌)而弔也는 自敗於臺鮐(호태)始也니라魯나라
南宮縚之妻之姑之喪에 夫子誨之髽曰
孟獻子禫에 縣而不樂하며
孔子旣祥하시고 五日에
死而不弔者三이니 畏厭(압)溺이니라사람이
子路有姊之喪이러니 可以除之矣而弗除也어늘
太公封於營丘하야늘 比及五世히
伯魚之母死커늘 期而猶哭한대
舜葬於蒼梧之野할새 蓋三妃未之從也라
曾子之喪에 浴於爨室하니라曾子의
大功엔 廢業이니
子張이 病하야
曾子曰 始死之奠은
曾子曰 小功에
古者엔 冠을
曾子謂子思曰 伋아
曾子曰 小功에
伯高之喪에 孔子之使者未至어늘
伯高死於衛하야 赴於孔子어늘
曾子曰 喪에
子夏喪其子而喪其明이어늘 曾子弔之曰
夫晝居於內어든 問其疾이
高子皐之執親之喪也에 泣血三年하야
衰(최)與其不當物也론 寧無衰니
孔子가 之衛하사
孔子在衛하실새 有送葬者어늘
顔淵之喪에 饋祥肉한대
孔子與門人立하실새 拱而尙右하신대
孔子蚤作하사 負手曳杖하사
夫子曰 賜아
孔子之喪에 門人이
孔子之喪에 公西赤이
子張之喪에 公明儀爲志焉호대
子夏問於孔子하야 曰居父母之仇호대
曰 請問居昆弟之仇호대
孔子之喪에 二三子皆絰而出하니
易(이)墓가 非古也니라墓域에
子路曰 吾聞諸夫子호니
曾子弔於負夏어시늘 主人이
從者又問諸子游曰 禮與아
曾子襲裘而弔하고 子游裼裘而弔하더니
子夏旣除喪而見(현)이어늘 予之琴하신대
司寇惠子之喪에 子游爲之麻衰牡麻絰한대
文子退하야 反哭이어늘
將軍文子之喪에 旣除喪而后에
幼名하며 冠字하며
絰也者는 實也라絰이라는
掘中霤(류)而浴하고 毁竈以綴(졸)足이니라〈사람이
及葬하야 毁宗躐行하야
子柳之母死커늘 子碩이
君子曰 謀人之軍師라가
公叔文子升於瑕丘어늘 蘧伯玉從이러니
弁人이 有其母死而孺子泣者어늘
叔孫武叔之母死에 旣小斂하고
扶君할새 卜人師扶右하고
從母之夫와 舅之妻二夫人
喪事는 欲其縱縱(총총)爾요
喪具를 君子恥具하나니
喪服에 兄弟之子를
食於有喪者之側에 未嘗飽也러시다孔子는
曾子與客으로 立於門側이어시늘
孔子曰 之死而致死之는
有子問於曾子曰 問喪於夫子乎아
南宮敬叔이 反할새
曾子以子游之言으로 告於有子한대
陳莊子死커늘 赴於魯한대
今之大夫는 交政於中國하니
仲憲이 言於曾子曰
公叔木(수)有同母異父之昆弟死커늘 問於子游한대
子思之母死於衛어늘 柳若謂子思曰
縣子瑣曰 吾聞之호니
后木曰 喪을
曾子曰 尸未設飾이라
小斂之奠을 子游曰
縣子曰 綌衰繐(격최세)裳이
子蒲卒커늘 哭者呼滅한대
杜橋之母之喪에 宮中無相하니
夫子曰 始死에
子游問喪具한대 夫子曰
司士賁이 告於子游曰
宋襄公이 葬其夫人할새
孟獻子之喪에 司徒旅歸四布한대
讀賵을 曾子曰
成子高寢疾이어늘 慶遺入請曰
子高曰 吾聞之也호니
子夏問諸夫子하야 曰
賓客至하야 無所館이어늘
國子高曰 葬也者는
孔子之喪에 有自燕來觀者舍於子夏氏러니
昔者에 夫子言之曰
婦人은 不葛帶니라婦人은
有薦新이어든 如朔奠이니라제철에
旣葬에 各以其服除니라이미
池視重霤니라상여의 낙숫물받이는
君이 卽位어시든
復과 楔齒와
父兄이 命赴者하니라父兄이
君은 復於小寢과
喪不剝奠也與는 祭肉也與인저喪에
旣殯하고 旬而布材與明器니라빈소를
朝奠은 日出하고
父母之喪에 哭無時하며
練에 練衣를
葛要絰하며 繩屨無絇하며칡으로
角瑱하며뿔 귀막이를
鹿裘를 衡(횡)長袪니
有殯에 聞遠兄弟之喪이면
所識에 其兄弟不同居者라도
天子之棺은 四重하야
棺束은 縮二衡(횡)三이니
柏槨以端이니 長六尺이니라측백나무
天子之哭諸侯也에 爵弁絰䊷(치)衣니라天子가
或曰 使有司哭之라하니라혹자는
爲之하야 不以樂食이니라〈천자가〉
天子之殯也에 菆(찬)塗龍輴(춘)以槨하고
唯天子之喪에 有別姓而哭이니라오직
魯哀公이 誄孔丘曰
國亡大縣邑이어든 公卿大夫士皆厭(엽)冠으로
孔子는 惡(오)野哭者러시다孔子께서는
未仕者는 不敢稅人이니
士備入이어든 而后朝夕踊이니라〈임금의
祥而縞하며 是月에
君이 於士에
여닫기
檀弓 下 第4
君之適長殤엔 車三乘이요
公之喪에 諸達官之長이
君於大夫에 將葬할새
五十에 無車者는
季武子寢疾이어늘 蟜固不(說)[脫]齊衰而入見(현)曰
大夫弔어든 當事而至則辭焉이니라
弔於葬者는 必執引이니
喪에 公弔之하야시든
君이 遇柩於路어든
大夫之喪에 庶子不受弔니라大夫의
妻之昆弟爲父後者死어든 哭之適室호대
有殯에 聞遠兄弟之喪이어든
子張이 死커늘
有若之喪에 悼公이
齊穀王姬之喪이어늘 魯莊公이
晉獻公之喪에 秦穆公이
以告舅犯한대 舅犯曰
公子重耳가 對客曰
子顯이 以致命於穆公한대
帷殯이 非古也니
喪禮는 哀戚之至也나
復은 盡愛之道也니
拜하고 稽顙은
飯用米具는 弗忍虛也니
銘은 明旌也니
重은 主道也니
奠以素器는 以生者有哀素之心也라
辟(벽)踊은 哀之至也니
袒括髮은 變也요
弁絰葛而葬은 與神交之道也니
歠(철)이어든 主人主婦室老는
反哭升堂은 反諸其所作也요
反哭之弔也는 哀之至也라
殷은 旣封(폄)而弔하고
葬於北方北首는 三代之達禮也니
旣封(폄)하고 主人贈이어든
旣反哭이어든 主人은
葬日에 虞는
是日也에 以虞易奠이니
是日也에 以吉祭易喪祭니
其變而之吉祭也는 比至於祔에
殷은 練而祔하고
君이 臨臣喪에
喪之朝也는 順死者之孝心也니
孔子謂爲明器者는 知喪道矣니
哀哉라 死者而用生者之器也여
其曰明器는 神明之也라
穆公이 問於子思曰
悼公之喪에 季昭子問於孟敬子曰
吾三臣者之不能居公室也를 四方莫不聞矣니
衛司徒敬子死커늘 子夏弔焉호대
曾子曰 晏子는
國君七个라 遣車七乘이요
曾子曰 國無道어든
國昭子之母死커늘 問於子張曰
曰 噫라
穆伯之喪에 敬姜이
文伯之喪에 敬姜이
季康子之母死커늘 陳褻衣한대
有子與子游立하야 見孺子慕者하고
予游曰 禮有微情者하며
人喜則斯陶하고 陶斯咏하고
人死어든 斯惡(오)之矣며
始死에 脯醢之奠하고
吳侵陳하야 斬祀殺厲하고
大宰嚭曰 古之侵伐者는
顔丁이 善居喪하야
子張問曰 書云高宗이
知悼子卒하야 未葬이어늘
平公이 呼而進之曰
爾飮調는 何也오
爾飮은 何也오
平公曰 寡人亦有過焉하니
公叔文子卒커늘 其子戌(수)가
君曰 昔者에
石駘仲卒하니 無適子하고
陳子車死於衛커늘 其妻與其家大夫謀以殉葬하야
子亢曰 以殉葬이
子路曰 傷哉라
衛獻公이 出奔이라가
衛有大史하니 曰柳莊이라
陳乾(간)昔이 寢疾하야
仲遂卒于垂어늘 壬午猶繹호대
季康子之母死어늘 公輸若方小러니
公室은 視豐碑하고
般아 爾以人之母嘗巧니
戰于郞할새 公叔禺人이
子路去魯할새 謂顔淵曰
工尹商陽이 與陳棄疾追吳師할새
諸侯伐秦할새 曹宣公卒于會어늘
襄公이 朝于荊할새
滕成公之喪에 使子叔敬叔弔하고
哀公이 使人弔蕢尙한대
曾子曰 蕢尙이
莊公이 使人弔之한대
孺子䵍(돈)之喪에 哀公이
悼公之母死어늘 哀公이
季子臯葬其妻에 犯人之禾어늘
仕而未有祿者는 君有饋焉曰獻이요
虞而立尸하고 有几筵이니라虞祭를
卒哭而諱는 生事畢而鬼事始已니라卒哭祭를
旣卒哭에 宰夫執木鐸하야
二名은 不偏諱니
軍有憂어든 則素服哭于庫門之外하고
有焚其先人之室이어든 則三日哭이니
孔子過泰山側하실새 有婦人이
魯人이 有周豐也者러니
喪不慮居하며 毁不危身이니
延陵季子適齊러니 於其反也에
其坎深不至於泉하며 其斂以時服하며
邾婁考公之喪에 徐君이
有司曰 諸侯之來辱敝邑者가
容居對曰 容居聞之호니
子思之母死於衛어늘 赴於子思한대
天子崩이어시든 三日에
虞人이 致百祀之木可以爲棺槨者斬之호대
齊大饑어늘 黔敖爲食於路하야
邾婁定公之時에 有弑其父者어늘
晉獻文子成室이어늘 晉大夫發焉하더니
仲尼之畜(휵)狗死어늘 使子貢埋之하시고
路馬死어든 埋之以帷하나니라임금이
季孫之母死어늘 哀公弔焉이러시니
涉內霤한대 卿大夫皆辟位하며
陽門之介夫死어늘 司城子罕이
孔子聞之하시고 曰
魯莊公之喪에 旣葬하고
孔子之故人曰原壤이니 其母死어늘
趙文子與叔譽觀乎九原이러니 文子曰
叔譽曰 其陽處父乎인저
其舅犯乎인저 文子曰
我則隨武子乎인저 利其君호대
文子는 其中退然如不勝衣하며
所擧於晉國에 管庫之士七十有餘家로대
叔仲皮學(효)子柳러니 叔仲皮死어늘
成人이 有其兄死而不爲衰者러니
樂正子春之母死어늘 五日而不食曰
歲旱이어늘 穆公이
曰 天則不雨어늘
然則吾欲暴巫하노니 而奚若고목공이
曰 天則不雨어늘
徙市則奚若고 曰
孔子曰 衛人之祔也는
왼쪽메뉴 닫기
왼쪽메뉴 열기
전체
서명/저자명
기사제목
원문/대역문
번역문
역주
기타
014802 效馬效羊者
는
右牽之
하고
,
集說
[集說] 效
는
陳獻也
라
.
以右手牽之
는
爲便
이라
.
말이나 양을 바칠 때는 오른손으로 끌고 간다.
集說
[集說]
효
效
는 바친다는 뜻이다.
오른손으로 끌고 가는 것은 편하기 때문이다.
예기집설대전(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개인정보보호방침
저작권안내
업무제휴문의
이용약관
이메일무단수집거부
공지사항
Open API
(우)03150 서울시 종로구 삼봉로81, 1332호(두산위브파빌리온)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이전페이지
목록
다음페이지
맨위로
맨아래로
이메일
평가
★★★★★
★★★★
★★★
★★
★
명문장 추천하기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