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38201 曾子曰 尸未設飾이라 故帷堂이라가 小斂而徹帷니라 仲梁子曰 夫婦方亂이라 故帷堂이라가 小斂而徹帷하나니라
集說
≪集說≫ 始死에 去死衣하고 用斂衾覆之以俟浴하고 旣復之後楔齒하고 綴足畢이어든 具脯醢之奠하나니 事雖小定이나 然尸猶未襲斂也라 故曰未設飾이라하니라
於是設帷於堂者는 不欲人褻之也라 故小斂畢에 乃徹帷라
仲梁子謂夫婦方亂者는 以哭位未定也니 二子各言禮意라
鄭云 斂者動搖尸요 帷堂은 爲人褻之니 言方亂은 非也라
大全
≪大全≫ 嚴陵方氏曰
라 以未設飾
이라 故帷堂
이니 蓋以防人之所惡也
라
而仲梁子以謂夫婦方亂이라 故帷堂이라하니 則失禮之意遠矣라
증자曾子께서 말씀하시길 “막 초상初喪이 났을 때 시신을 아직 염습斂襲하지 않았기 때문에 마루에 휘장을 쳤다가, 소렴小斂을 하면 휘장을 걷는 것이다.”라고 하자, 중량자仲梁子가 말하였다. “부부夫婦의 곡하는 위치가 아직 정해지지 않아 방위가 혼란하기 때문에 마루에 휘장을 쳤다가 소렴을 하고 나서 휘장을 걷는 것이다.”
集說
사람이 막 죽었을 때 죽은 사람의 옷을 벗기고 염斂하는 이불을 사용하여 그 시신을 덮고서 목욕시키기를 기다리고, 고복皐復을 마친 뒤에는 입에 숟가락을 물려 턱을 벌리고, 발을 연이어 묶는 것이 끝나면 포와 육장의 전奠을 갖추니, 일이 비록 조금 정해지긴 했지만 그러나 시신은 아직 염습하지 않은 상태이다. 그러므로 “시신을 아직 염습하지 않았다.”고 한 것이다.
이에 마루에 휘장을 치는 것은 사람들이 그 시신을 더럽히는 것을 바라지 않아서이다. 그러므로 소렴小斂이 끝나면 이에 휘장을 걷는다.
중량자仲梁子가 “부부夫婦의 방위가 혼란하다.”고 한 것은 곡哭하는 자리가 아직 정해지지 않았기 때문이니, 두 사람(증자와 중량자)이 각각 예禮의 뜻을 언급한 것이다.
정현鄭玄은 “염斂하는 자가 시신을 흔들므로, 마루에 휘장을 치는 것은 사람들이 더럽힐까 해서이니, 방위가 혼란하다고 말한 것은 잘못이다.
중량자仲梁子는 노魯나라 사람이다.”라고 하였다.
大全
엄릉방씨嚴陵方氏:사람이 죽으면 그를 싫어하게 마련이다. 시신을 아직 염습斂襲하지 않았기 때문에 마루에 휘장을 치는 것이니, 그렇게 함으로써 남이 싫어하는 것을 막는 것이다.
소렴小斂을 했다면 이미 시신의 치장을 마친 것이기 때문에 휘장을 걷는 것이다.
만약 이와 같다면 마루에 휘장을 치는 예禮는 죽은 자를 위한 것일 뿐이니, 어찌 살아 있는 사람을 위한 것이겠는가?
그런데도 중량자仲梁子는 부부夫婦의 방위가 정해지지 않아 혼란스럽기 때문에 마루에 휘장을 친다고 했으니, 크게 예禮의 뜻을 잃은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