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禮記集說大全(2)

예기집설대전(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예기집설대전(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038901 司士賁 告於子游曰 請襲於牀하노이다 子游曰 諾
縣子聞之하고 曰 汰哉 叔氏 專以禮許人이로다
集說
≪集說≫ 賁 司士之名也 始死廢牀하고 而置尸於地라가 及復而不生이면 則尸復登牀이라
襲者 斂之以衣也 沐浴之後 襲祭服하야 蓋布於牀上也 之後 遷尸於襲上而衣之하나니 襲於牀者 禮也 後世禮失而襲於地則褻矣
司士知禮而請於子游어늘 子游不稱禮而答之以諾하니 所以起縣子之譏也
矜大也 言凡有諮問禮事者 當據禮答之어늘 子游專輒許諾則如禮自己出矣 是自矜大也
叔氏 子游字


사사司士 자유子游에게 아뢰기를 “청컨대 평상에서 염습斂襲을 하겠습니다.”라고 하자, 자유가 “그렇게 하시오.”라고 하였다.
현자縣子가 그 이야기를 듣고 말하기를 “잘난 체함이 지나치구나, 숙씨叔氏여! 멋대로 를 남에게 허락하는구나.”라고 하였다.
集說
사사司士의 이름이다. 에 사람이 막 사망하면 평상을 치우고 땅바닥에 시신을 두었다가 고복皐復을 했는데도 살아나지 않으면 시신을 다시 평상에 올려놓는다.
褖衣褖衣
은 옷으로 시신을 거두는 것이니, 시신을 목욕시킨 뒤에 상축商祝제복祭服단의褖衣염습斂襲을 하는데 평상 위에 펼쳐놓았다가 반함飯含한 뒤에 습상襲牀 위에 시신을 올려놓고 그것을 입히니, 평상에서 염습하는 것은 이고, 후세에 예가 상실되어 땅바닥에서 염습하는 것은 설만褻慢한 것이다.
사사가 예를 알고서 자유子游에게 묻자 자유가 예를 일컫지 않고 그에게 그렇게 하라고 대답하였으니, 그 때문에 현자縣子의 기롱을 야기시킨 것이다.
는 교만하고 잘난 체한다는 뜻이니, 무릇 예의 일을 자문諮問하는 사람이 있을 때 마땅히 예에 근거해서 대답해야 하는데, 자유가 자기 멋대로 허락하여 마치 예가 자기에게서 나온 것처럼 하였으니 이것은 스스로 교만하고 잘난 체한 것이다.
숙씨叔氏는 자유의 이다.


역주
역주1 商祝 : 殷나라 때의 禮를 익혀서 그것으로 제사를 돕는 자를 뜻한다.
역주2 褖衣 : 흑색의 천으로 상의와 하의를 만들고, 붉은색으로 가장자리에 단을 댄 옷이다.
역주3 飯含 : 喪禮를 치를 때 시신의 입에 옥․구슬․쌀․화폐 등을 넣는 것을 뜻한다.

예기집설대전(2) 책은 2022.12.25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