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禮記集說大全(1)

예기집설대전(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예기집설대전(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012003 毋踐屨하며하며
摳衣趨隅하며
이니라.
集說
[集說] 複下曰舃이요, 單下曰屨.
毋踐屨 謂後來者 不可蹋先入者所脫之屨也.
猶躐也.
玉藻호대 登席不由前이면 爲躐席이라 하니, 是 登席當由前也.
提也.
摳衣 與論語攝齊하니 欲便於坐. 故摳之니라.
趨隅 由席角而升坐也.
唯諾 皆應辭
旣坐定 又當謹於應對也.
大全
[大全] 吳郡范氏호대 將上堂 則揚吾謦欬之聲하고, 戶外 有二屨 則聲聞於外而後敢入하고,
入戶則不擧目以遠視하고 拱手當心하야 以向戶扃하고 不回環而四顧 皆是不欲揜人之私.
其事雖小 最曲禮之要 推而廣之 有正心誠意之道焉이라.
使心術不正者 處之 必將潛聲以升堂하고 直前而入戶하야 遠瞻四顧하야 爲雎盱覘伺之態리니 則其人之薄德 可知矣.
大抵禮以制形爲用하고 而以制心爲本하니,
一念不正이면 發於方寸者 甚微 而形於擧措者 弗可掩하야 流於放僻邪侈而不自知.
升堂入戶日用之常而君子致嚴 如此 以心術之邪正 繫焉일새라.


남의 신발을 밟지 말고, 남의 자리를 밟지 말아야 한다.
〈앉기 편하게〉 옷자락을 걷어잡고 구석자리로 올라가 앉는다.
〈좌정한 뒤에는〉 반드시 응대를 신중하게 해야 한다.
集說
[集說] 바닥이 겹으로 된 신을 , 홑겹인 것을 라 한다.
신발을 밟지 말라고 한 것은 뒤에 들어온 이가 먼저 들어온 이의 신을 밟아서는 안 된다는 말이다.
은 밟는 것이다.
옥조玉藻〉에 “자리에 오를 적에는 앞으로 올라가지 않으면 자리를 밟게 된다.”고 하였는데 이것은 자리에 오를 적에는 반드시 자리 앞쪽으로 올라가야 한다는 것이다.
는 걷는 것이다.
구의摳衣는 《논어論語》의 ‘섭제攝齊(옷자락을 걷어잡는다)’와 뜻이 같으니, 앉는 데에 편하고자 걷어잡는 것이다.
추우趨隅는 자리의 모서리에서부터 올라가 앉는 것이다.
은 모두 응답하는 말이다.
좌정坐定하고 나서는 또 응대應待를 신중히 해야 한다는 것이다.
大全
[大全]오군범씨吳郡范氏 : 에 오르려 할 때에는 내가 기침소리를 내고, 문 밖에 신발이 두 켤레가 놓여 있으면 말소리가 밖에 들린 뒤에 들어가고,
문에 들어가서는 눈을 들어 실내室內를 두리번거리지 않고, 공손히 두 손을 가슴 높이로 올려 마주 잡아서 마치 문빗장을 받드는 것 같은 자세를 하고, 사방을 두리번거리며 돌아보지 않는 것은, 모두 남의 사생활을 숨겨 주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일에 공경하는 것이다.〉
그것이 비록 사소한 일이기는 하나 곡례曲禮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니, 이를 미루어 넓히면 그 가운데에 마음을 바르게 하고 뜻을 성실하게 하는 방법이 있다.
심술이 바르지 못한 사람은 이런 경우에 반드시 소리 없이 당에 올라가고 곧바로 문으로 들어가서 멀리 이리저리 살펴서 규찰하고 정탐하는 모습을 보일 것이니 〈그런즉〉 그 사람의 박덕함을 알 수 있다.
대체로 예는 몸을 단속하는 것으로 쓰임을 삼고 마음을 단속하는 것으로 근본을 삼는다.
한 생각이 바르지 못하면 마음에서 시작될 때는 매우 작았지만 행동에 드러나는 것은 가릴 수가 없어서 방벽사치放僻邪侈에 빠져도 스스로 알지 못한다.
그러므로 당에 오르고 방에 들어가는 등의 일상생활에서도 군자가 이처럼 엄숙하게 행동하는 것은 마음 씀의 옳고 그름이 이에 달려있기 때문이다.


역주
역주1 : 적
역주2 必愼唯諾 : 응대를 신중히 한다는 것은 먼저 묻지 않고 질문을 받으면 그때에 비로소 응대를 한다는 것이다.[愼唯諾者 不先擧 見問乃應] 《禮記》 〈曲禮 上〉 鄭玄 注

예기집설대전(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