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42302 殷은 旣封而弔하고 周는 反哭而弔러니 孔子曰 殷은 已慤하니 吾從周호리라
集說
≪集說≫ 殷之禮는 窆畢에 賓就墓所弔主人하고 周禮則俟主人反哭而後弔하나니 孔子謂殷禮太質慤者는 蓋親之在土가 固爲可哀나 不若求親於平生居止之所而不得이 其哀爲尤甚也라
大全
≪大全≫ 嚴陵方氏曰 人之始死也엔 則哀其死하고 旣葬也엔 則哀其亡하나니 亡則哀爲甚矣라
問喪曰 入門而弗見也하고 上堂而弗見也하며 入室又弗見也하니 亡矣喪矣라 不可復見矣라
故哭泣辟踊하야 盡哀而止矣라하고 大宗伯에 以喪禮哀死亡이라하니 蓋死亡之別이 如此라
旣封而弔者는 受弔於壙也요 反哭而弔者는 受弔於家也라 夫弔也者는 所以弔其哀而已라
은殷나라는 하관下棺을 마치고 조문하였고, 주周나라는 집으로 되돌아와 곡哭을 하고 조문하였다.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시기를 “은殷나라의 예禮는 너무 질박하니 나는 주周나라의 예를 따르겠다.”고 하였다.
集說
은殷나라의 예禮는 하관이 끝남에 손님이 묘소로 나가서 주인에게 조문하였고, 주周나라의 예는 주인이 집으로 되돌아와 곡哭하기를 기다린 뒤에 조문을 했는데, 공자孔子께서 “은殷나라의 예는 너무 질박하다.”고 한 것은 대개 어버이가 흙 속에 있는 것이 진실로 슬퍼할 만하지만, 어버이를 평생에 거처하던 곳에서 찾아도 볼 수 없는 그 슬픔이 더욱 심한 것만은 못하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묘소에서 조문하는 것은 집에서 조문하는 것의 인정人情과 예문禮文이 겸하여 극진한 것만 못하다.
大全
엄릉방씨嚴陵方氏:사람이 막 죽었을 때는 그 죽음을 슬퍼하고, 이미 장사를 지내고 나서는 그가 없어진 것을 슬퍼하는데, 없어지면 슬픔이 더욱 심하게 된다.
그러므로 집으로 돌아와 곡할 때에 조문하는 예가 있는 것이다.
〈문상問喪〉에 “문에 들어와도 보이지 않고, 당堂에 올라와도 또 보이지 않고, 방에 들어가도 또 보이지 않으니, 안 계시는구나! 돌아가셨구나! 다시는 볼 수가 없구나!
그러므로 곡하고 눈물을 흘리며 가슴을 치고 발을 구르며 슬픔을 다하고 그친다.”라고 했고, ≪주례周禮≫ 〈대종백大宗伯〉에 “상례喪禮에 따라 사망死亡한 자를 애도한다.”고 했으니, 사死와 망亡의 구별이 이와 같은 것이다.
하관하고 나서 조문을 하는 것은 무덤에서 조문을 받는 것이고, 반곡反哭을 한 뒤에 조문을 받는 것은 집에서 조문을 받는 것이다. 무릇 조문이라고 하는 것은 그 슬픔을 위로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장사를 지내면 비록 슬픈 마음이 일지만 반곡의 슬픔이 더욱 심한 것만은 못하다.
이것이 공자께서 은나라의 예가 지나치게 질박하다고 평하신 이유이다.
주나라 사람이 집에서 조문한 것은 백성들에게 효를 저버리지 않음을 보여준 것이다.
공자께서 말씀하시되 “죽음은 백성들의 마지막 큰 일이다. 나는 주나라의 예를 따르겠다.”고 하셨는데, 그 말은 아마도 여기에서 근거한 것인 듯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