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禮記集說大全(1)

예기집설대전(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예기집설대전(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012301 帷薄之外 不趨하며 堂上 不趨하며 執玉不趨하며
堂上 接武하고 堂下 布武하며 室中不翔하며
集說
[集說] 疏호대 幔也 簾也.
接武 足迹相接也.
○ 陳氏호대 文者 上之道 武者 下之道
故足在體之下 曰武 亦曰武라 하니라.
執玉不趨 不敢趨也
室中不翔 不可翔也
行而張拱曰翔이라 하니라.
○ 朱氏호대 帷薄之外 無人하니 不必趨以示敬이요
堂上 地迫하고 室中 地尤迫이라 故不趨不翔也니라.
大全
[大全] 藍田呂氏호대 凡見尊者 以疾行으로 爲敬이라.
이나 有不必趨하니 帷薄之外 非尊者所見이라 可以紓其敬也,
有不可趨者하니 堂上 地迫하야 不足以容步하고 執玉之重 或虞於失墜也니라.


휘장과 주렴珠簾이 쳐진 문 밖에서는 종종걸음으로 공경恭敬을 표할 필요가 없고, 을 가지고 있을 때에도 종종걸음치지 않는다.
마루 위에서는 발자취를 붙여서 작은 보폭으로 걷고, 마루 아래에서는 발자취를 떼어서 성큼성큼 걸으며 방안에서는 활개치지 않는다.
集說
[集說] : 는 휘장이고, 은 주렴이다.
발자취를 붙인다는 것은 발자취가 서로 이어지게 걷는 것이다.
진씨陳氏 : 은 위를 표현하는 방법이고, 는 아래를 표현하는 방법이다.
그러므로 발은 신체의 하부下部에 있기 때문에 라고 하고 의 테두리도 의 아래에 있기 때문에 또한 라고 하는 것이다.
을 받들고는 종종걸음 하지 않는다는 것은 〈옥이 깨질까 염려되어〉 감히 종종걸음으로 급히 걷지 않는 것이다.
방안에서 활개 치며 걷지 않는다는 것은 〈장소가 좁아서〉 활개 칠 수 없기 때문이다.
양팔을 날개처럼 벌리고 다니는 것을 이라고 한다.
주씨朱氏 : 휘장과 주렴이 쳐진 문밖에는 사람이 없으니 종종걸음 치면서 공경을 보일 필요가 없다.
마루 위는 넓이가 좁고 방안은 넓이가 더욱 좁으므로 종종걸음이나 활개를 치지 않는 것이다.
大全
[大全]남전여씨藍田呂氏 : 존자를 뵈었을 때에는 빨리 걸어가 〈뵙는〉 것이 공경하는 일이다.
그러나 반드시 종종걸음 치지 않아도 되는 경우가 있으니, 휘장과 주렴珠簾이 쳐진 문 밖은 존자가 보이지 않는 곳이므로 공경하는 정도를 좀 늦춰도 된다.
그러나 종종걸음을 쳐서는 안 되는 경우가 있으니 마루 위는 자리가 좁아 발을 떼어 걷기에 적당치 않고, 무거운 을 들고 있을 때에는 혹시라도 떨어뜨릴까 염려되기 때문이다.


역주
역주1 卷在冠之下 : 卷은 冠의 下部 테두리를 말한다. 委武玄縞의 鄭玄 注에 “委武는 모두 관의 아래쪽 테두리이다. 이것을 진나라 사람은 委라고 불렀고 제나라 사람은 武라고 불렀다.[委武 皆冠之下卷 秦人呼卷爲委 齊人呼卷爲武]”고 하였다. 《禮記注疏》 卷17 〈雜記 上〉

예기집설대전(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