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禮記集說大全(2)

예기집설대전(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예기집설대전(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033401 曾子曰 小功 不爲位也者 是委巷之禮也 子思之哭嫂也 爲位하야 婦人하야늘 申祥之哭言思也에도 亦然하니라
集說
≪集說≫ 委 曲也 曲巷 猶言陋巷이라 細民居於陋巷하야 不見禮儀而鄙朴無節文이라 故譏小功不爲位 是曲巷中之禮也
言思 子游之子 申祥妻之昆弟也
集說
○馬氏曰 凡哭必爲位者 所以敍親疏恩紀之差 이니
蓋無服者 所以遠男女近似之嫌이요 而爲位者 所以篤兄弟之親이라
子思哭嫂爲位하고 婦人倡踊 以婦人有相爲娣姒之義하야 而不敢以己之無服先之也
至於申祥之哭言思에도 亦如子思하니 蓋非禮矣
妻之昆弟 也而旣無服이니 則不得爲哭位之主矣
라하니 由是言之컨대 哭妻之昆弟 以子爲主 異於嫂叔之喪也
以子爲主 則婦人不當倡踊矣
大全
≪大全≫ 嚴陵方氏曰 位者 哭泣之位也 親有遠近하고 服有輕重하니 不可以無辨이라
故哭泣之際 各爲之位焉이라
迨乎周室之衰하야 典籍多失하고 而一時之禮 或有小功不爲位者하니 此曾子所以譏之
子思之哭嫂也 爲位 以言無服之喪에도 猶且爲位 則知小功不爲位尤爲非矣


증자曾子가 말하였다. “소공복小功服하는 자리를 만들지 않는 것은 누추한 시골의 이다. 자사子思께서 형수를 위하여 곡할 때 곡하는 자리를 만들어 부인이 먼저 뛰어 애통해 하였는데, 신상申祥언사言思를 위하여 곡을 함에 있어서도 또한 그렇게 하였다.”
集說
는 굽었다는 뜻이니, 곡항曲巷은 누추한 시골 마을이라는 말과 같다. 평민들은 누추한 시골 마을에 거주해서 예의禮儀를 보지 못하여 비루하고 질박해서 절도와 문채가 없기 때문에, 소공小功에서 하는 자리를 마련하지 않는 것을 누추한 시골 마을의 라고 기롱한 것이다.
小功服小功服
언사言思자유子游의 아들이고, 신상申祥의 처남이다.
集說
마씨馬氏:무릇 할 때 반드시 위차位次를 만드는 것은 친함과 소원함, 은혜와 기강의 차등을 매기기 위해서이니, 형수와 시아주버니 사이에는 상복이 없으므로 곡하는 자리도 만들지 않는다고 의심하였다. 그러므로 〈≪예기禮記≫ 〈분상奔喪〉〉에 “상복이 없어도 곡하는 자리를 만드는 것은 오직 형수와 시아주버니 간의 경우이다.”라고 한 것이니,
형수와 시아주버니 간에 상복이 없는 것은 남녀가 가까이 하는 혐의를 멀리하기 위한 것이고, 곡하는 자리를 만드는 것은 형제의 내상內喪의 친분을 돈독히 하려는 것이다.
자사가 형수를 위해 곡할 때 자리를 만들어 부인이 먼저 뛰어 애통해 하였으니, 부인은 서로 손아래 동서와 손윗 동서가 된 의리가 있어서, 감히 상복이 없는 자신이 〈부인보다〉 먼저 할 수가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신상申祥언사言思를 위해 곡할 때 이르러서도 또한 자사와 똑같이 하였으니, 아마도 가 아닌 듯싶다.
아내의 형제는 외상外喪인지라 이미 상복이 없으니, 곡하는 자리의 주체가 될 수 없는 것이다.
예기禮記≫ 〈단궁檀弓 〉에 “아내의 형제 중에 장인의 후계자가 된 자가 죽으면 적실適室에서 곡하되, 아들(생질甥姪)이 상주가 되어서 단문袒免하고 곡하면서 뛰면, 남편이 문 오른쪽으로 들어간다.”라고 하였으니, 이를 근거로 하여 말한다면 아내의 형제를 위해 곡할 때에 아들을 상주로 삼는 것은 형수와 시아주버니 간의 과는 경우가 다르기 때문이다.
아들을 상주로 삼는다면 부인이 먼저 뛰어서는 안 되는 것이다.
大全
엄릉방씨嚴陵方氏하고 우는 자리인데 친척 중에는 멀고 가까운 친척이 있고, 상복喪服에도 가볍고 무거운 차이가 있어서 구별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므로 곡하고 울 때에 각각 거기에 맞는 자리를 만드는 것이다.
나라 왕실이 쇠함에 이르러서 전적典籍이 대부분 일실되었고 한때의 가 더러 소공복小功服을 입되 곡하는 자리를 만들지 않는 경우가 있었는데, 이것이 증자曾子께서 기롱하신 까닭이다.
자사子思께서 형수를 위해 곡할 때 곡하는 자리를 만들었다.”고 한 것은, 상복이 없는 에서도 오히려 곡하는 자리를 만들었음을 말한 것이니, 소공복에서 곡하는 자리를 만들지 않은 것은 더욱 잘못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역주
역주1 : 喪을 치르며 발을 구르는 것을 이른다. 몹시 애통해 하는 모양을 형용한다.
역주2 嫂叔……惟嫂叔 : ≪禮記≫ 〈奔喪〉에 “복이 없는데도 자리를 만드는 경우는 오직 형수와 시아주버니 사이 및 부인으로서 강등하여 복이 없는 자에게 加麻를 하는 경우이다.[無服而爲位者 唯嫂叔 及婦人降而無服者麻]”라고 하였다.
역주3 內喪 : 大門 안에서 발생한 喪이니, 즉 집안에서 발생한 상을 뜻한다. 外喪과 대비되는 말이다.
역주4 外喪 : 大門 밖에서 발생한 喪이니, 즉 자신과 같은 집에서 살고 있지 않은 친인척에 대한 상을 뜻한다.
역주5 記曰……夫入門右 : ≪禮記≫ 〈檀弓 下〉 040701 참조.

예기집설대전(2) 책은 2022.12.25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