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6501 凡摯
는 天子
는 鬯
이오, 諸侯
는 圭
요, 卿
은 羔
요, 大夫
는 雁
이요, 士
는 雉
요, 庶人之摯
는 이니,
集說
[集說] 摯는 與贄同하니, 執物以爲相見之禮也라.
鬯은 釀秬黍爲酒니 曰秬鬯이오, 和以鬱金之草則曰鬱鬯이오,
不以鬱和則直謂之鬯이니, 言其芬香이 條暢於上下也라.
圭는 命圭也니, 公은 桓圭요 侯는 信圭오 伯은 躬圭요 子는 穀璧이오 男은 蒲璧이니,
羔는 取其群而不失類하고 且潔素也요, 雁은 取其知時하고 且飛有行列也요,
童子는 不敢與成人爲禮니, 或見師友而執贄則奠委于地而自退避之也라.
或野外或軍中
에 隨所有用之也
라.
桓圭《三圖》 信圭《三圖》 躬圭《三圖》 穀璧《三圖》 蒲璧《三圖》
무릇 예물禮物은, 천자는 창鬯으로 하고, 제후는 규圭를, 경卿은 새끼 양, 대부는 기러기, 사士는 꿩, 서인은 오리를 사용한다.
야외野外에서나 군중軍中에서는 예물이 없으니, 말배띠끈, 깍지, 화살로 하는 것이 좋다.
集說
[集說]지摯는 지贄자와 뜻이 같으니, 상견례를 할 때에 가지고 가는 물건이다.
창鬯은 검은 기장[秬黍]으로 빚은 술로서 거창주秬鬯酒라 하고, 울금초鬱金草를 섞었으면 울창주鬱鬯酒라고 한다.
울금초를 섞지 않은 것을 창鬯이라고 하니, 그 향기가 상하에 퍼짐을 말한다.
천자에게는 객례客禮가 없는 것인데도 예물이라고 말한 것은 예를 갖추어 신神을 뵙기 때문이다.
규圭는 명규命圭이니, 공公은 환규桓圭를 사용하고, 후侯는 신규信圭를 사용하고, 백伯은 궁규躬圭를 사용하며, 자子는 곡벽穀璧을 사용하고, 남男은 포벽蒲璧을 사용한다.
여기서 벽璧을 언급하지 않은 것은 생략한 것이다.
새끼 양은 무리를 지어 동류同類를 잃지 않는 점과 깨끗하다는 점을 취한 것이고, 기러기는 사시四時를 알고 날아갈 때에 항렬行列이 있음을 취한 것이다.
뀡은 그 성질의 깨끗함과 빛깔의 화려함을 취한 것이다.
필匹은 목鶩(목)자로 읽으니, 들오리를 부鳧라 하고, 집오리를 목鶩이라 한다.
그 날아오르지 못하는 것이 서인庶人이 농사짓는 일을 끝내 지키는 것과 같다.
동자童子는 감히 성인成人과 대등하게 예를 행하지 못하니, 혹 사우師友를 뵙고 예물을 바치는 경우에는 예물을 땅에 두고서 스스로 물러난다.
습拾은 활을 쏠 때에 끼는 깍지이고, 시矢는 화살이다.
야외나 군중에서는 가지고 있는 물건에 따라 〈알맞게〉 사용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