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禮記集說大全(1)

예기집설대전(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예기집설대전(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3. 호대 經禮三百 威儀三千 이요 非僞貌飾情也니라.
天尊地卑하니 禮固立矣, 하니 .
人者 位乎天地之間하고 立乎萬物之上하야
尊卑分類 不設而彰하니
聖人循此하야 制爲冠昏喪祭朝聘鄕射之禮하야 以行君臣父子兄弟夫婦朋友之義하니, 其形而下者 見於飮食器服之用하고 其形而上者 極於하니,
所以行其身하고 與其家하고 與其國하고 與其天下者 禮治則治하고 禮亂則亂하며
禮存則存하고 禮亡則亡이라.
上自古始 下逮五季 質文不同이나 罔不由是.
然而世有損益이나 惟周爲備.
夫子 嘗曰하사대 郁郁乎文哉.
호리라 하더시니,
逮其弊也하야 忠信之薄而情文之繁하야 하고 하니, 蓋所以矯正反弊也.
이나 豈禮之過哉리요.
爲禮者之過也니라.
秦氏 焚滅典籍 三代禮文 大壞하고 禮記四十九篇 雜出諸儒傳記 不能悉得聖人之旨하고, 考其文義 時有牴牾.
然而其文繁하고 其義博하니 學者 博而約之 亦可弗畔이라.
蓋其說也 粗在應對進退之間而精在道德性命之要하고, 始於童幼之習而卒於聖人之歸하니,
惟達古道者然後에야 能知其言하고 能知其言然後 能得於禮.
然則禮之所以爲禮 로다.


영가주씨永嘉周氏 : 경례經禮 삼백三百위의威儀 삼천三千은 모두 본성本性에서 우러나온 것이지 가식적인 태도와 꾸며진 마음에서 나오는 것은 아니다.
하늘은 높고 땅은 낮으니 존비尊卑의 예가 본디 여기에서 성립되었고, 같은 것끼리 모이고 무리별로 나뉘니 대소大小의 예는 본래 이를 바탕으로 하여 행해져 왔다.
인간은 천지의 사이에 태어나서 만물의 위에 우뚝이 선 존재이다.
따라서 높고 낮음의 구별과 무리로 나누는 데서 오는 차이는 인위적으로 만들지 않아도 분명하였다.
성인聖人이 이러한 〈천지와 만물의 이치를〉 따라서 관례冠禮혼례昏禮상례喪禮제례祭禮조례朝禮빙례聘禮향례鄕禮사례射禮를 제정하여 군신君臣부자父子형제兄弟부부夫婦붕우朋友 간의 도리를 행하도록 하였는데, 형이하적인 것은 모든 일상생활에 드러나 있고, 형이상적인 것은 천리에 완벽하게 구현되어 있다.
범인凡人은 예를 알려고 힘쓰고 현인賢人은 힘써서 실천하며 성인聖人은 편안한 마음으로 이를 행한다.
그러므로 그 자신이 예를 행하고 가정에서 예를 행하고 그 나라에서 예를 행하고 천하를 위해 예를 행하여, 예가 제대로 행해지면 가정과 국가와 천하가 다스려지고 예가 문란해지면 가정과 국가와 천하가 혼란스러워진다.
예가 지켜지면 가정과 국가와 천하가 지켜지고 예가 없어지면 가정과 국가와 천하가 망한다.
위로는 태고太古에서부터 아래로 오계五季에 이르기까지 시대에 따라 질박한 것[質]을 숭상하거나 꾸미는 것[文]을 숭상했던 차이는 있었지만 어느 시대도 이 예를 따르지 않은 시대는 없었다.
그러나 시대를 거치면서 있던 예를 없애기도 하고 없던 예를 새로 만들기도 하였는데 나라에 와서 예가 완비되었다.
이 때문에 공자孔子께서 일찍이 “〈나라의 예제禮制나라와 나라 두 왕조의 예제를 근거로 하여〉 풍부하고도 아름답구나.
나는 예제禮制를 따르리라.”고 하신 것이다.
그러나 예가 피폐해짐에 이르러서는 예의 본질인 충신忠信의 마음은 엷어지고 예의禮意예물禮物만 번다해져서 임방林放이 〈공자께〉 예의 본질에 대하여 물었고, 공자는 〈예악에 있어서 야인野人이라 할 수 있는〉 선진先進을 따르겠다고 말하기도 하였는데, 이는 피폐해진 를 되돌려서 정도正道로 돌아오게 하려는 의도에서 한 말이다.
그러나 이것이 어찌 예제禮制의 잘못이겠는가.
예를 행하는 이들이 저지른 잘못인 것이다.
나라가 전적을 불태워 없애면서 삼대三代 예문禮文의 대부분이 없어졌고, 나라가 건국하면서 을 걸어 〈없어진 선진先秦의〉 책을 구하였는데 《예기禮記》 49편은 여러 유자들이 전해온 것과 기록한 글 여기저기에서 모은 것이어서 성인의 유의遺意에 다 합치되지 않았고, 그 글의 뜻을 따져보면 때때로 서로 어긋나는 것이 있었다.
그러나 글이 번잡하고 뜻이 넓으니 학자들이 널리 배우고서 요체를 터득한다면 에서 어긋나는 일은 없을 것이다.
대개 이 책의 내용은 겉으로는 응대應對진퇴進退의 〈일상생활〉 예절을 다루고 있지만 핵심적인 것은 도덕道德성명性命의 〈도학적道學的〉 요체를 말한 부분에 있고, 처음에는 어린아이들이 익히는 일에서 시작하고 있지만 끝내는 성인聖人의 길로 귀착하고 있다.
따라서 오직 옛날의 여러 가지 제도에 통달한 뒤에야 《예기禮記》의 문장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고, 《예기禮記》의 문장을 제대로 이해한 뒤에야 를 행할 때에 그 의미를 깨달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고 보면 일 수밖에 없는 이유, 다시 말해 예의 정신은 바로 속에 내포되어 있는 것이다.


역주
역주1 永嘉周氏 : 永嘉周氏는 周行己이다. 이 글은 그가 편찬한 《禮記講義》의 序文을 약간 축약한 것이다. 周行己는 송나라 永嘉 연간의 사람이다. 자는 恭叔이고, 호는 浮沚先生이다. 程頤의 문인으로서 元祐 연간에 진사가 되었고 관직은 本州敎授에 이르렀다. 伊洛의 학문을 祖述하였다. 저서로는 《浮沚集》 4卷이 사고전서에 수록되어 있다. (앞의 인용한 성씨조를 참조할 것)
역주2 皆出於性 : 皆出於性이라는 것은 “모두 하늘이 부여한 天命 즉 本然之性에 근원한 것이라는 뜻이다.[皆本於天性固存之理] 《性理群書句解》 卷五” 以下 字句의 해석은 상당 부분 《性理群書句解》를 참고하였다.
역주3 類聚群分 : 類聚群分에 대한 해석은 아래 《陳氏禮記集説補正》의 자세한 해설을 참고할 만하다. 아래에 전재한다.
‘道로서 同類가 모이며[方以類聚] 일로서 무리가 나뉜다[物以群分]’란 말의 뜻은 즉 性命이 같지 않다는 것이다. 《禮記集說》에서 “方은 道와 같다고 하였고 聚는 處와 같다고 하였다. 즉 君臣, 父子, 夫婦, 長幼, 朋友에 모두 각각 그 道理가 있으니 각각 그 同類로서 함께하는 것이 이른바 方以類聚이다. 物은 일[事]이니 모든 의례는 바로 天理의 표현이자 人事의 법칙이다. 따라서 다양한 의례가 있으며 또 그 일마다 적당한 예가 있는 것이니 이것이 이른바 物以群分이라는 것이다. 所以然이라는 것은 하늘이 사람에게 부여해준 천명으로서 사람들이 받은 바의 性命이다. 따라서 자연히 이 삼강오륜을 두게 된 것이며 그 사이에 尊卑와 厚薄의 등급이 있으니 혼잡하게 섞어 한 덩어리가 되게 해서는 안 되는 것이다. 따라서 性命은 같지 않다고 한 것이다. 유씨가 말하기를 方以類聚는 中國 蠻夷 戎狄의 백성들이 각각 끼리끼리 모여 사는 것이고, 物以群分은 새 물고기 동식물이 각각 무리로 나뉘는 것이니 바른 성명이 각각 다르기 때문이다. 그런 까닭에 성인도 또한 그에 따라 禮를 달리하였다고 하였다.[方以類聚物以群分 則性命不同矣 集説 方猶道也 聚猶處也 君臣父子夫婦長幼朋友 各有其道 則各以其類而處之 所謂方以類聚也 物事也 行禮之事 卽謂天理之節文人事之儀則也 行之不止一端 分之各從其事 所謂物以群分也 所以然者 以天所賦之命 人所受之性 自然有此三綱五常之倫 其間尊卑厚薄之等 不容混而一之也 故曰性命不同矣 劉氏曰 方以類聚 言中國蠻夷戎狄之民 各以類 而聚物以群分 言飛潛動植之物 各以群而分 則以其各正性命之不同也 故聖人亦因而異其禮矣]” 《陳氏禮記集説補正》 卷二十三
역주4 禮固行矣 : 이 부분은 《周易》 〈繫辭傳〉의 첫 부분을 약간 바꾸어 인용한 것이다. 〈繫辭傳〉의 첫 부분은 다음과 같이 시작한다. “하늘은 높고 땅은 낮아서 乾坤이 정해진다. 낮고 높은 것이 베풀어져서 貴한 것과 賤한 것이 자리를 잡는다. 움직이고 고요한 것이 원칙이 있어 剛한 것과 柔한 것이 판단된다. 방위는 同類끼리 모이고 事物은 무리끼리 나뉘어 吉한 것과 凶한 것이 생긴다. 하늘에 있어서는 형상을 이루고 땅에 있어서는 모양을 이루어 모든 변화가 나타난다.[天尊地卑 乾坤定矣 卑高以陳 貴賤位矣 動靜有常 剛柔斷矣 方以類聚 物以群分 吉凶生矣 在天成象 在地成形 變化見矣]” 《周易》 〈繫辭上傳〉
번역은 이가원 역 《周易》 평범사 간행본을 참고하였다.
역주5 無聲無臭之微 : 無聲無臭는 道의 體를 형용한 것이다. 《中庸》 33章에 “시에 이르기를 덕은 가볍기가 터럭과 같다고 하였지만 터럭은 오히려 비교할 대상이나 있지만 하늘의 일은 소리도 없고 냄새도 없다고 해야지만 지극하다고 할 것이다.[詩云 德輶如毛 毛猶有倫 上天之載 無聲無臭 至矣]”라고 하였는데 이는 천리의 本體를 형용한 것이다. 즉 形而下는 바로 道의 用을 말한 것이고 形而上은 道의 體를 말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禮에는 道의 체와 용이 온전하게 구비되어 있다는 뜻이다.
역주6 衆人……由之 : 勉之라는 것은 힘써 안다는 것이고, 行之라는 것은 힘써 실천한다는 것이고, 由之라는 것은 편안한 마음으로 실천한다는 것이다.[衆人勉之 凡人則勉而知之 賢人行之 賢者則力而行之 聖人由之 聖人則安而行之] 《性理群書句解》 卷五
역주7 吾從周 : 《論語》 〈八佾〉 第14章.
역주8 林放問禮之本 : 《論語》 〈八佾〉 第4章.
역주9 孔子欲從先進 : 《論語》 〈先進〉 第1章.
역주10 漢興購書 : 購書는 높은 값으로 책을 구하는 것을 말한다. 한나라 초기 河間獻王 德과 淮安王 安이 購書한 것에 대하여는 《漢書》 列傳에 자세하다.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河間獻王 徳은 孝景帝 2년에 왕에 봉해졌다. 학문을 닦고 옛 것을 좋아하였으며 實事求是의 입장을 취하였다. 민간에서 좋은 책을 구하면 반드시 새로 좋게 베껴서 주고는 眞本은 소장하였다. 비싼 값으로 구하니 사방의 道人들이 천리를 멀다 않고 달려와서 先代부터 내려 온 책을 헌왕에게 바치는 이들이 많았다. 때문에 구입한 책이 한나라 조정의 장서와 대등할 정도로 많았다. 당시에 淮南王 安도 책을 좋아하였지만 구입한 것이 대부분 허황된 내용들이었다. 하지만 헌왕이 구입한 책은 모두 고문으로 된 先秦의 옛 책인 《周官》‧《尚書》‧《禮》‧《禮記》‧《孟子》‧《老子》 등으로 모두 經傳과 説記로서 공자의 〈제자들인〉 七十子의 무리들이 논한 것이었다.[河間獻王德 以孝景前二年立 脩學好古 實事求是 從民得善書 必爲好寫與之 留其眞 加金帛賜以招之 繇是四方道術之人 不遠千里 或有先祖舊書 多奉以奏獻王者 故得書多與漢朝等 是時 淮南王安 亦好書 所招致率多浮辯 獻王所得書 皆古文先秦舊書 周官 尚書 禮 禮記 孟子 老子之屬 皆經傳說記 七十子之徒所論]” 《前漢書》 卷53
역주11 其則不遠矣 : 《中庸》 第13章에서 “《詩經》에 이르기를 ‘도끼자루를 잡고 도끼자루를 만드는구나! 그 법이 멀리 있지 않다.’ 하였으니, 도끼자루를 잡고서 도끼자루를 만들면서도 흘낏 쳐다보고는 오히려 멀리 여긴다.[詩云 伐柯伐柯 其則不遠 執柯以伐柯 睨而視之 猶以爲遠]”고 하였는데 주자가 “사람이 도끼를 가지고 나무를 쳐서 도끼자루를 만들 때는 만들 도끼자루의 크기나 생김새는 바로 내가 잡고 있는 도끼자루에 다 있다. 그러나 오히려 이것과 저것은 다르다고 여기면서 만드는 사람이 내가 잡고 있는 도끼자루를 제대로 보지 않는 것이다.[人執柯伐木以爲柯者 彼柯長短之法 在此柯耳 然猶有彼此之別 故伐者視之 猶以爲遠也]”라고 하였다. 즉 이 말은 도끼자루의 모든 원리는 도끼자루가 가지고 있듯이 인간된 도리는 바로 인간에 내재되어 있다는 뜻이다. 즉 여기서도 모든 예는 겉으로 보기에는 하나의 형식에 지나지 않지만 그 형식 속에 예의 기본원리가 내재되어 있으며, 바로 그런 형식의 실천 속에서 예의 정신이 구현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예는 그 자체로서 體이기도 하며 用이기도 하다는 의미이다.

예기집설대전(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50 서울시 종로구 삼봉로81, 1332호(두산위브파빌리온)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