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陸宣公奏議(1)

당육선공주의(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육선공주의(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天生烝人하여 合以爲國하니 人之有口 不能無言하고 人之有心 不能無欲하니
言不宣於上則怨讟於下하고 欲不歸於善則湊集於邪하나니
聖人 知衆之不可以力制也일새 故植謗木하며 陳諫鼓하며 列爭臣之位하며 置采詩之官하여 以宣其言하고 尊禮義하며 安誠信하며 厚賢能之賞하며 廣功利之途하여 以歸其欲하여 使上不至於亢하고 下不至於窮하나니
則人心 安得而離하며 亂兆 何從而起리오 古之無爲而理者 其率用此歟인저


3-1-28 하늘이 백성들을 내어 함께 나라를 만들었으니, 사람이 입이 있으면 말이 없을 수 없고 사람이 마음이 있으면 욕구가 없을 수 없습니다.
말이 위로 펼쳐지지 않으면 아래에서 원망하게 되고, 욕구가 선한 데로 돌아가지 않으면 사악한 데로 모이는 법입니다.
성인聖人께서는 대중들은 힘으로 제어할 수 없다는 것을 아셨습니다. 그리하여 그 말을 전달하고, 예의禮義를 높이며 성신誠信을 편안히 여기며 현능賢能한 자에게 주는 상을 두텁게 하며 공리功利의 길을 넓혀 그 욕구를 이루게 하여, 윗사람으로 하여금 교만한 데 이르지 않게 하고 아랫사람으로 하여금 궁한 데 이르지 않게 하였습니다.
諫鼓謗木(敢諫鼓와 誹謗木을 설치하다.)諫鼓謗木(敢諫鼓와 誹謗木을 설치하다.)
이와 같다면 인심이 어떻게 흩어질 수 있겠으며 분란의 조짐이 어디에서 일어나겠습니까. 옛날에 은 아마도 대략 이에서 비롯한 것이라 하겠습니다.


역주
역주1 誹謗木을 심고 : 堯임금이 다리 위에 나무판자를 세워놓고서 누구든지 임금의 잘못을 기록하도록 하였다는 데서 온 말이다.(≪史記≫ 〈孝文本紀〉)
역주2 敢諫鼓를 설치하였으며 : 堯임금이 直諫을 듣고자 하여 궐문 앞에 북을 달아놓고서 누구든지 간할 일이 있으면 그 북을 치도록 했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淮南子≫ 〈主術訓〉)
역주3 爭臣의……두고 : 임금의 옆에서 간쟁하는 신하를 두는 것으로, 천자는 7명의 쟁신을 두고, 제후는 5명의 쟁신을 두었다는 데서 온 말이다.(≪孝經≫ 〈爭臣章〉)
역주4 시를……설치하여 : 周나라는 풍속과 정치를 살펴보기 위해 각 지방의 詩歌를 채집했던 관직을 설치했다.(≪禮記≫ 〈王制〉)
역주5 작위함이……것 : ≪論語≫ 〈衛靈公〉의 “작위함이 없는데도 다스려진다.[無爲而治者]”는 말을 변용한 것이다.

당육선공주의(1) 책은 2023.01.1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