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
번역서
동양고전
강의
동양고전
번역용례
동양고전
해제집
검색
상세검색
특수문자입력기
특화서비스
지식관계망
개념용어
주소 비교
Open API
?
공지사항
자료실
唐陸宣公奏議(1)
당육선공주의(1)
현토
원문
번역
원주
번역(본문)
나란히 보기
글자확대
글자크기 초기화
글자축소
설정저장
출력
공유하기
URL
클립보드 액세스를 허용하지 않는 브라우저입니다.
Ctrl+C를 눌러 클립보드로 복사하시고 Ctrl+v로 붙여넣기 하세요.
오류신고
당육선공주의(1)
당육선공주의(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여닫기
당육선공주의(1)
重刊한 ≪陸宣公奏議≫의 서문
≪唐陸宣公翰苑集≫ 서문
宋朝의 名臣들이 陸贄의 奏議를 올리는 劄子
淳熙 연간 講筵에 관한 箚子
발 문
여닫기
唐陸宣公奏議 奏草 제1권
여닫기
1. 論兩河及淮西利害狀
1-1-1 內侍朱冀寧이 奉宣聖旨호되
1-1-2 臣이 質性凡鈍하고
1-1-3 陛下는 天縱聖德이시며
1-1-4 況今勢有危迫하며 事有機宜어늘
1-1-5 臣本書生으로 不習戎事호되
1-1-6 伏以 剋敵之要는
1-1-7 今兩河淮西爲叛亂之帥者가 獨四五凶人而已
1-1-8 假使四五兇渠로 俱稟梟鴟之性하고
1-1-9 以陛下英神으로 志期平壹하시니
1-1-10 臣愚無知는 實所深惑라
1-1-11 田悅唱亂之始에 氣盛力全하고
1-1-12 田悅旣敗에 力屈勢窮하고
1-1-13 人者는 邦之本也요
1-1-14 今師興三年이니 可謂久矣요
1-1-15 夫投膠以變濁이 不如澄其源而濁變之愈也요
1-1-16 臣은 謂幽燕恒魏之寇는
1-1-17 代朔邠靈之騎士는 自昔之精騎也요
1-1-18 陛下가 若察其緩急하며
1-1-19 議者가 若曰
1-1-20 然而可託以爲解者가 必曰
여닫기
2. 論關中事宜狀
唐本傳
1-2-1 右臣이 頃覽載籍하여
1-2-2 夫君人之柄은 在明其德威요
1-2-3 陛下가 天錫勇智에
1-2-4 臣은 聞國家之立也에
1-2-5 是以前代之制가 轉天下租稅하여
1-2-6 承平漸久에 武備浸微하여
1-2-7 乾元之後에 大憝初夷
1-2-8 尙賴宗社威靈과 先皇仁聖하여
1-2-9 今則勢可危慮가 又甚於前하니
1-2-10 陛下가 嗣膺寶位하사
1-2-11 借如吐蕃實和하고 回紇無憾이라도
1-2-12 側聞伐叛之初에 議者가
1-2-13 當勝而反敗하고 當安而倒危하며
1-2-14 旣而正己가 死에
1-2-15 自頃으로 將帥徂征하여
1-2-16 萬一將帥之中에 又如朱滔希烈이
1-2-17 且今之關中은 卽古者邦畿千里之地也라
1-2-18 豪勇之在關中者이 與籍於營衛로
1-2-19 往者는 不可追어니와
1-2-20 明勅涇隴邠寧하여 但令嚴備封守하고
여닫기
唐陸宣公奏議 奏草 제2권
여닫기
1. 論敍遷幸之由狀
本傳云
2-1-1 臣이 前日
2-1-2 臣所謂致今日之患이 是群臣之罪者는
2-1-3 徵師四方하여 無遠不曁하니
2-1-4 邊陲之戍는 用保封疆이요
2-1-5 陛下가 又以百度弛廢로
2-1-6 聖旨에 又以家國興衰가
2-1-7 易에 曰
2-1-8 春秋傳에 曰
2-1-9 此則聖哲之意가 六經會通이라
2-1-10 六經之敎가 旣如彼하고
2-1-11 臣은 聞理或生亂하며
2-1-12 又陛下가 天資睿哲하사
2-1-13 伏願悔前禍以答天戒하며 新聖化以承天休하사
여닫기
2. 奉天論奏當今所切務狀
德宗問贄以當今切務
2-2-1 隱朝가 昨日에
2-2-2 伏以 初經大變에
2-2-3 然尙恐爲之不易者는 蓋以朝廷播越하여
2-2-4 頃者에 竊聞輿議하여
2-2-5 禹拜昌言圖(禹가 善言을
2-2-6 慮有愚而近道하고 事有要而似迂하니
여닫기
3. 奉天論前所答奏未施行狀
前狀旣奏
2-3-1 臣某는 言
2-3-2 前奉詔問에 尋具上陳하여
2-3-3 臣聞立國之本은 在乎得衆하고
2-3-4 故喩君爲舟하고 喩人爲水하니
2-3-5 夫揆物以意하고 宣意以言하나니
2-3-6 及代之衰也하여는 則道亦反焉이라
2-3-7 考得失於已行之迹하고 鑑盛衰於已驗之符하면
2-3-8 尙恐議者曰 時異事殊라할새
2-3-9 尙恐過言謬擧이 旣往難追하사
2-3-10 高宗始年에 亦親聽納이라
2-3-11 玄宗이 躬定大難
2-3-12 肅宗이 懲致寇之由하시고
2-3-13 先皇帝가 繼守恭勤而益之以和惠하시니
2-3-14 陛下가 英姿逸辯이
2-3-15 烈聖升降之效가 歷歷如彼하고
2-3-16 前承德音하여 訪及庸鄙일새
여닫기
唐陸宣公奏議 奏草 제3권
여닫기
1. 奉天請數對群臣兼許令論事狀
德宗旣遣中使諭贄
3-1-1 隱朝奉宣聖旨호되 頻覽卿表狀하니
3-1-2 又諫官論事에 少能愼密하고
3-1-3 聖德廣大가 如天包容하사
3-1-4 睿眷特深하사 屢宣密旨하사되
3-1-5 臣이 聞人之所助在乎信하고
3-1-6 孔子가 曰
3-1-7 故馭之以智則人詐하고 示之以疑則人偸하고
3-1-8 今方岳이 有不誠於國者면
3-1-9 臣聞春秋傳에 曰
3-1-10 蓋爲人之行己가 必有過差라
3-1-11 太宗文皇帝가 挺秀千古하사
3-1-12 向若太宗이 徇中主之常情하며
3-1-13 且以太宗이 有經緯天地之文하며
3-1-14 陛下所謂諫官論事에 少能愼密하고
3-1-15 臣이 聞虞舜이
3-1-16 夫人之常情이 罕能無惑하여
3-1-17 陛下所謂比見奏對論事가 皆是雷同하여
3-1-18 陛下가 又謂
3-1-19 臣이 每讀史書할새
3-1-20 所謂九弊者는 上有其六而下有其三하니
3-1-21 上好勝이면 必甘於佞辭하고
3-1-22 夫以區域之廣大와 生靈之衆多와
3-1-23 昔에 龍逢이
3-1-24 趙武가 呐呐而爲晉賢臣
3-1-25 然則口給者가 事或非信이요
3-1-26 古之王者가 明四目하며
3-1-27 夫欲理天下而不務於得人心이면 則天下를
3-1-28 天生烝人하여 合以爲國하니
3-1-29 苟有理之之意而不知其方하며 苟知其方而心守不壹하면
3-1-30 理亂之戒를 前哲이
3-1-31 有犯顔讜直者어든 獎而親之하시고
3-1-32 其獎善也가 求之를
3-1-33 其納諫也가 以補過爲心하며
3-1-34 其推誠也가 在彰信하며
3-1-35 微臣所以縷縷塵瀆하여 而不能自抑者는
여닫기
2. 奉天論尊號加字狀
是時, 賊泚未平
3-2-1 右冀寧이 奉宣聖旨호되
3-2-2 伏以 睿德神功이
3-2-3 今者에 鑾輿播越하여
여닫기
3. 重論尊號狀
3-3-1 右冀寧이 奉宣聖旨호되
3-3-2 臣이 聞德合天者를
3-3-3 崇其號라도 無補於徽猷요
3-3-4 天時人事가 理必相扶라
여닫기
4. 奉天論赦書事條狀
興元赦令旣具
3-4-1 右隱朝가 奉宣聖旨하고
3-4-2 臣이 謹如詔旨하여
3-4-3 履非常之危者는 不可以常道安이요
3-4-4 今重圍雖解나 逋寇尙存하여
3-4-5 昔에 成湯遇災하사
3-4-6 應須改革事條를 謹具別狀하여
여닫기
唐陸宣公奏議 奏草 제4권
여닫기
1. 奉天論擬與翰林學士改轉狀
4-1-1 右冀寧이 奉宣勅旨호되
4-1-2 臣이 謬以儒學으로
4-1-3 夫君之有臣은 以濟理也니
4-1-4 又聞初到奉天에 已頒詔命호되
4-1-5 夫行罰을 先貴近而後卑遠이면
여닫기
2. 奉天請罷瓊林大盈二庫狀
德宗於行宮廡下貯諸道貢獻之物
4-2-1 右臣이 聞作法於涼이라도
4-2-2 今之瓊林大盈이 自古悉無其制라
4-2-3 陛下가 嗣位之初에
4-2-4 臣昨奉使軍營하여 出遊行殿이라가
4-2-5 頃者에 六師初降하여
4-2-6 夫國家作事에 以公共爲心者는
4-2-7 今玆二庫珍幣所歸를 不領度支하니
4-2-8 陛下가 誠能近想重圍之殷憂하고
여닫기
3. 奉天論解蕭復狀
本傳云
4-3-1 右冀寧이 奉宣聖旨호되
4-3-2 蕭復이 往年에
4-3-3 臣이 緣自到行在로
4-3-4 夫明則罔惑하고 辨則罔冤이라
여닫기
4. 奉天薦袁高等狀
4-4-1 袁高楊頊 以上二人
4-4-2 右臣이 近因奏對하여
4-4-3 輒自揣擇하여 思擧所知호되
여닫기
5. 奉天論李晟所管兵馬狀
4-5-1 右賊泚稽誅하여 保聚宮苑하나
4-5-2 今李晟이 奏請移軍
4-5-3 伏望卽以李晟表로 出付中書하사
4-5-4 臣初奉使諭旨는 本緣糧賜不均
여닫기
6. 奉天奏李建徽楊惠元兩節度兵馬狀
4-6-1 右懷光의 當管師徒가
4-6-2 今因李晟願行하여 便遣合軍同往하고
4-6-3 夫制軍馭將에 所貴見情하여
4-6-4 以前件事宜로 臣이
여닫기
7. 駕幸梁州論進獻瓜果人擬官狀
4-7-1 右欽溆가 奉宣聖旨호되
4-7-2 伏以爵位者는 天下之公器而國之大柄也라
여닫기
8. 又論進瓜果人擬官狀
4-8-1 右欽溆가 齎中書所與進瓜果人擬官狀하여
4-8-2 臣愚은 以謂信賞必罰은
4-8-3 天寶季年에 嬖倖傾國하여
4-8-4 夫立國之道가 惟義與權이요
4-8-5 謹按命秩之載于甲令者하니 有職事官焉하며
4-8-6 今陛下가 若又輕用之하사
여닫기
唐陸宣公奏議 奏草 제5권
여닫기
1. 興元論解姜公輔狀
本傳云
5-1-1 右欽溆가 奉宣聖旨호되
5-1-2 公輔가 頃在翰林하여
5-1-3 古語有之호되 順旨者는
5-1-4 然非明智면 不能招直言하고
5-1-5 以陛下日月之明과 江海之量으로
5-1-6 聖旨又以造塔役費微小하여 非宰臣의
5-1-7 書에 曰
5-1-8 舜之爲君에 始作漆器하신대
5-1-9 禮에 曰
5-1-10 若以諫爭爲指過면 則剖心之主가
여닫기
2. 又答論姜公輔狀
德宗答贄前奏云
5-2-1 右欽溆가 奉宣聖旨호되
5-2-2 臣以戇執으로 務在朴忠하여
5-2-3 臣이 竊以領覽萬機호되
5-2-4 孔子가 曰
5-2-5 今陛下가 以素欲廢罷公輔之心으로
5-2-6 古先聖王의 所以採葑菲하며
여닫기
3. 興元論請優獎曲環所領將士狀
本傳云
5-3-1 右曲環의 所領一軍이
5-3-2 是宜潰歸舊管하며 否則散適樂郊로되
5-3-3 方今에 勢可相資는
여닫기
4. 興元論解蕭復狀
5-4-1 右欽溆가 齎蕭復表하여
5-4-2 臣伏覩其表하고 兼揣其情하니
5-4-3 梁岷之間이 窮隘特甚하여
여닫기
5. 又答論蕭復狀
5-5-1 右欽溆가 奉宣聖旨호되
5-5-2 伏以將相之任이 所委皆崇하니
5-5-3 儻慮處事乖方하여 不欲淹留在外인댄
여닫기
6. 興元論續從賊中赴行在官等狀
德宗疑從賊中來行在官
5-6-1 右欽漵가 奉宣聖旨호되
5-6-2 臣이 伏以任摠百揆者는
5-6-3 以卑而僭用尊道하면 則職廢于下하고
5-6-4 項籍이 納秦降卒二十萬이라가
5-6-5 伏惟陛下가 睿哲文思하사
5-6-6 臣謂陛下가 當奉若天意하사
5-6-7 往歲에 初奮師旅하여
5-6-8 其所以孕禍胎而索義氣者가 在乎獨斷宸慮하고
5-6-9 徇義之心이 旣阻하고
5-6-10 陛下가 旣闕愼于始하시고
5-6-11 推心降接이라도 猶恐未多어늘
5-6-12 竊料邢建等輩가 必非助逆之徒니
5-6-13 古人有言호되 撫我則后요
여닫기
唐陸宣公奏議 奏草 제6권
여닫기
1. 興元賀吐蕃尙結贊抽軍迴歸狀
渾瑊奏
6-1-1 右欽漵가 奉宣聖旨호되
6-1-2 臣이 質性孱昧하여
6-1-3 彼吐蕃者는 犬羊同類라
6-1-4 頃者에 方靖中夏할새
6-1-5 逮至盜驚都邑하고 駕幸郊畿하여
6-1-6 臣請復爲陛下하여 根本其說호리니
6-1-7 抑昨蕃戎未退에 臣又竊有過憂호니
6-1-8 所賴天奪其魄하고 神降之災하여
6-1-9 今懷光이 別保蒲絳
6-1-10 臣愚는 不任懇悃之至하여
여닫기
2. 興元奏請許渾瑊李晟等諸軍兵馬自取機便狀
德宗復遣使謂贄曰
6-2-1 右欽漵가 奉宣聖旨호되
6-2-2 臣이 聞將貴專謀요
6-2-3 其或疑於委任하여 以制斷由己爲大權하고
6-2-4 蓋以寇盜充斥하고 乘輿播遷하여
6-2-5 時方艱屯하여 下陵上替하니
6-2-6 夫君上之權이 特異臣下者는
여닫기
3. 興元請撫循李楚琳狀
初, 楚琳作亂
6-3-1 右件官이 比緣性行無良하여
6-3-2 李楚琳이 乘時艱危하여
6-3-3 且楚琳本懷는 惟惡是務어늘
6-3-4 自昔能建奇功하며 或拯危厄이
6-3-5 然則當事之要는 雖罪惡이라도
6-3-6 孔子가 曰
여닫기
4. 興元論中官及朝官賜名定難功臣狀
6-4-1 右欽漵가 奉宣聖旨호되
6-4-2 陛下가 惠霑暬御하시며
6-4-3 臣이 聞賞以懋庸하고
6-4-4 臣忝搢紳之列하고 又當受賜之科호되
6-4-5 且名者는 衆之所評也라
여닫기
5. 興元論賜渾瑊詔書爲取散失內人等議狀
6-5-1 右德亮이 承旨하고
6-5-2 頃以理道乖錯으로 禍亂荐鍾이어늘
6-5-3 今渠魁始平하고 法駕將返하니
6-5-4 夫以內人爲號는 蓋是中壼末流라
6-5-5 夫事有先後하고 義有重輕하니
6-5-6 且散失內人이 已經累月이라
6-5-7 易에 曰
6-5-8 昔衛獻出奔이라가 久而復國할새
여닫기
6. 鑾駕將還宮闕論發日狀
6-6-1 右先頒勅旨하여 已定行期하고
6-6-2 臣雖闇鈍이나 亦竊揣量호니
6-6-3 良以褒斜峻阻가 素號畏途라
6-6-4 如或磴路潨崩하고 閣道淹圮하여
6-6-5 人主擧措가 宜圖萬全일새
여닫기
7. 請釋趙貴先罪狀
貴先本齊映部將
6-7-1 右欽漵가 奉宣聖旨호되
6-7-2 臣愚는 以爲貴先從逆之罪는
6-7-3 往以襄城告急으로 詔命隴右發兵하시니
6-7-4 凡所議讞는 蓋緣獄疑니
6-7-5 曩者에 羯胡亂華하여
6-7-6 昔에 漢高帝가
6-7-7 今陛下가 有漢高之英하고
여닫기
8. 論替換李楚琳狀
德宗甫至漢中
6-8-1 右欽漵가 奉宣聖旨호되
6-8-2 臣이 聞王者有作에
6-8-3 昔漢高僞遊하여 韓信見獲하니
6-8-4 議者가 謂之權宜라하니
6-8-5 夫以韓信才略으로 當時莫儔요
6-8-6 願陛下는 姑務含弘하사
여닫기
9. 收河中後請罷兵狀
6-9-1 昨日에 欽漵가
6-9-2 兇梗殲盪하고 關畿廓淸하니
6-9-3 臣이 聞禍或生福하고
6-9-4 何則고 建中之難을
6-9-5 非有曩時에 熊羆翕習之師와
6-9-6 尙恐陛下가 以臣言之略而未喩也인댄
6-9-7 懷生畏死는 蠢動之大情이요
6-9-8 如或昧於懷柔하고 務在攻取하여
6-9-9 前典垂訓이 旣如彼하고
6-9-10 凡將圖終인댄 必在愼始니
6-9-11 今皇運中興하고 天禍將悔일새
6-9-12 臣所未敢保其必從은 惟希烈一人而已라
6-9-13 今若不顧機宜하고 復興戎役하여
여닫기
당육선공주의(2)
여닫기
唐陸宣公奏議 奏議 제7권
여닫기
1. 請許臺省長官擧薦屬吏狀
德宗始任楊炎․盧杞
7-1-1 今月十七日에 顧少連이
7-1-2 臣以闇劣로 謬當大任이라가
7-1-3 夫理道之急이 在於得人이나
7-1-4 昔에 周以伯冏으로
7-1-5 魏晉已後로 暨于國初하여
7-1-6 國朝之制에 庶官五品已上은
7-1-7 其後에 舊典失序하고
7-1-8 臣實駑鈍하여 一無所堪이어늘
7-1-9 爰初受命에 即以上陳하여
7-1-10 自蒙允許로 即以宣行호니
7-1-11 陛下가 勤求理道하사
7-1-12 所謂委任責成者는 將立其事인댄
7-1-13 所謂聽言考實은 虛受廣納하여
7-1-14 陛下가 旣納臣言而用之하시고
7-1-15 昔에 齊桓公이
7-1-16 聖旨以謂外議云 諸司所擧가
7-1-17 聖旨又以長官擧人이 法非穩便이라
7-1-18 儻如議者之言하여 所擧가
7-1-19 恐不如委任長官하여 愼揀寮屬이니
7-1-20 所謂臺省長官은 卽僕射尙書와
7-1-21 聖人이 制事에
7-1-22 夫求才貴廣하고 考課貴精하니
7-1-23 臣欲詳徵舊說호되 伏恐聽覽爲煩하여
7-1-24 陛下가 誕膺寶曆하사
7-1-25 人之才行이 自昔罕全하여
7-1-26 昔에 子貢이
7-1-27 今陛下가 愼選宰臣하사
7-1-28 臣之切言이 固非爲己라
여닫기
2. 請遣使臣宣撫諸道遭水州縣狀
7-2-1 右頻得鹽鐵轉運及州縣申報하니 霖雨가
7-2-2 臣等이 任處台輔하여
7-2-3 前者에 面陳事體호되
7-2-4 初聞諸道水災하고 臣等이
7-2-5 昔에 子夏가
7-2-6 今水潦爲敗가 綿數十州하여
7-2-7 應家有溺死하고 及漂沒居産都盡하고
7-2-8 臣又聞聖人作則에 皆以天地爲本하고
7-2-9 頃自夏初로 大臣得罪
여닫기
3. 論淮西管內水損處請同諸道遣宣慰使狀
7-3-1 右奉進止호니 淮西管內가
7-3-2 臣이 聞聖王之於天下也에
7-3-3 自希烈亂常하여 汚染淮甸으로
7-3-4 昔에 晉饑하여
7-3-5 議者가 多謂淮右荐饑는
여닫기
4. 謝密旨因論所宣事狀
7-4-1 前日顧少連이 奉諭密旨호되
7-4-2 猥蒙天慈하여 屢降深旨하여
7-4-3 頃以去冬薦人이 頻於街衢에
7-4-4 臣이 聞王者之道가
7-4-5 苗粲이 少以門子로
7-4-6 凡是譖愬之輩가 多非信實之言이라
7-4-7 夫聽訟辨讒이 貴於明恕하니
7-4-8 晉卿이 起自文儒하여
7-4-9 大抵任重勢疑하면 易生嫌謗일새
7-4-10 少連이 又向臣說云
7-4-11 伏以貨賄之利와 耳目之娛는
7-4-12 夫以胥吏末流의 苞苴微貺도
7-4-13 孔子가 曰
7-4-14 自大盜猾夏하여 耗斁生人으로
7-4-15 夫貨賄上行하면 則賞罰之柄이
7-4-16 臣이 竊料郡府之不願行賄於朝廷이
7-4-17 夫天下는 公器也요
7-4-18 古之懷諸侯者는 蓋有其道矣라
7-4-19 及夫王綱浸壞하고 德化陵夷하얀
7-4-20 臣以受恩特深으로 志欲巨細裨補일새
여닫기
唐陸宣公奏議 奏議 제8권
여닫기
1. 論嶺南請於安南置市舶中使狀
8-1-1 所寶惟賢圖嶺南節度經略使가 奏近日舶船이
8-1-2 書에 曰
여닫기
2. 論宣令除裴延齡度支使狀
班宏判度支, 卒官
8-2-1 右緣班宏 本傳
8-2-2 伏以周制에 六官이
8-2-3 裴延齡이 僻戾而好動하고
여닫기
3. 論齊暎齊抗官狀
本傳
8-3-1 右希顔이 奉宣進止호되
8-3-2 但以中朝要職이 常苦乏人하니
여닫기
4. 請減京東水運收脚價於緣邊州鎭儲蓄軍糧事宜狀
食貨志
8-4-1 右臣이 伏見陛下가
8-4-2 軍志에 曰
8-4-3 今陛下가 廣徵甲兵하여
8-4-4 頃者에 吐蕃尙結贊이
8-4-5 今年夏初에 寇犯靈武어늘
8-4-6 陛下가 忿蕃醜之暴掠하시며
8-4-7 陛下가 頃以邊兵衆多하고
8-4-8 旣而有司隘吝하여 不克將順
8-4-9 旣無信義率下하고 下亦以僞應之하여
8-4-10 近者에 緣邊諸州가
8-4-11 舊制에 以關中은
8-4-12 夫聚人以財而人命在食하니 將制國用인댄
8-4-13 開元天寶之際에 承平日久하여
8-4-14 近歲關輔之地에 年穀이
8-4-15 今淮南諸州가 米每斗에
8-4-16 頃者每年에 從江西湖南浙東浙西淮南等道하여
8-4-17 今歲關中之地가 百穀豐成하니
8-4-18 臣이 竊慮運務가
8-4-19 舊例에 從江淮諸道하여
8-4-20 臣이 已令度支巡院으로
8-4-21 所於江淮糶米와 及減運米脚錢을
8-4-22 邊蓄이 旣富하면
8-4-23 陛下가 誠能過聽愚計하사
여닫기
唐陸宣公奏議 奏議 제9권
여닫기
1. 論緣邊守備事宜狀
贄以西北邊
9-1-1 右臣이 歷覽前代史書호니
9-1-2 伏以戎狄爲患이 自古有之하니
9-1-3 夫中夏가 有盛衰하고
9-1-4 夫以中國强盛하고 夷狄衰微而能屈膝稱臣하며
9-1-5 故夏之即序와 周之于攘과
9-1-6 國家가 自祿山構亂으로
9-1-7 夫制敵行師에 必量事勢니
9-1-8 天之授者가 有分事하여
9-1-9 將欲去危就安하며 息費從省인댄
9-1-10 賤力而貴智하며 惡殺而好生하며
9-1-11 以長制短則用力寡而見功多하고 以易敵難則財不匱而事速就어늘
9-1-12 臣이 聞工欲善其事인댄
9-1-13 夫欲備封疆禦戎狄인댄 非一朝一夕之事라
9-1-14 故出則足兵하고 居則足食하며
9-1-15 關東之地이 百物阜殷하고
9-1-16 復有抵犯刑禁하여 謫徙軍城하니
9-1-17 夫賞以存勸하고 罰以示懲하여
9-1-18 自頃權移於下하고 柄失於朝하여
9-1-19 課責虧度하고 措置乖方하여
9-1-20 今四夷之最強盛하여 爲中國甚患者가
9-1-21 夫統帥가 專一則人心不分하고
9-1-22 開元天寶之間에 控禦西北兩蕃호되
9-1-23 理戎之要가 最在均齊라
9-1-24 今者에 窮邊之地와
9-1-25 凡欲選任將帥인댄 必先考察行能然後에
9-1-26 故軍容이 不入國하고
9-1-27 夫兩疆相接하고 兩軍相持하여
9-1-28 理兵而措置乖方하며 馭將而賞罰虧度하며
9-1-29 臣愚는 謂宜罷諸道將士
9-1-30 臣又謂宜擇文武能臣一人하여 爲隴右元帥하여
9-1-31 以陛下之英(武)[聖]와 民心之思安과
여닫기
2. 商量處置竇參事體狀
本傳
9-2-1 右希顔이 奉宣進止호되
9-2-2 臣이 面承深旨하고
9-2-3 竇參이 頃司勻軸하여
9-2-4 竇參이 於臣素分을
여닫기
3. 奏議竇參等官狀
帝又欲殺申․則之及族子榮
9-3-1 右希顔이 奉宣進止호되
9-3-2 伏以竇參罪犯이 誠合誅夷어늘
9-3-3 夫趨勢附權은 時俗常態라
여닫기
4. 請不簿錄竇參莊宅狀
9-4-1 右希顔이 奉宣進止호되
9-4-2 謹按國家典法에 没入官産이
9-4-3 伏惟聖德廣大하사 如天包含하사
여닫기
唐陸宣公奏議 奏議 제10권
여닫기
1. 請還田緒所寄撰碑文馬絹狀
10-1-1 右田緒가 使節度隨軍劉瞻으로
10-1-2 臣이 先奉恩旨하여
10-1-3 田承嗣가 阻兵犯命하여
여닫기
2. 請依京兆所請折納事状
10-2-1 京兆府가 先奏호되
10-2-2 求瘼救菑(재)는 國之令典이라
여닫기
3. 議汴州逐劉士寧事狀
10-3-1 右希顔이 奉宣聖旨호되
10-3-2 伏以劉士寧이 昏荒暴慢하여
10-3-3 或恐奏事之人이 苟私所奉之將하여
여닫기
4. 請不與李萬榮汴州節度使状
10-4-1 右希顔이 奉宣進止호되
10-4-2 臣은 性習懦頑하고
10-4-3 劉士寧이 窮兇極暴하여
10-4-4 陛下가 若謂臣說體迂闊하여
10-4-5 近者劉元佐가 驅攘巨猾하고
10-4-6 且爲國之道는 以義訓人이니
10-4-7 昨者所逐士寧이 蓋起於倉卒이라
10-4-8 三軍이 旣自離心하며
여닫기
5. 論度支令京兆府折稅市草事狀
10-5-1 度支奏綠當年稅草가 支用不充하고
10-5-2 伏以制事之體는 所貴有常이요
10-5-3 每年蓄聚芻藁가 所司素有恒規라
10-5-4 臣等이 謹檢京兆府應徵地稅草數하니
10-5-5 臣等이 又勘度支京兆比來雇車估價及所載多少하니
10-5-6 臣誠暗滯하여 未見其宜하니
여닫기
6. 論左降官準赦合量移事状 三首
10-6-1 右竄謫之徒가 皆在遐僻하여
10-6-2 臣等商量은 恐須釐革이니
여닫기
7. 奏量移官状
10-7-1 右伏以國之令典은 先德後刑이니
10-7-2 陛下가 德配上玄하시며
10-7-3 臣等이 據所司檢勘左降官及流人送名到者하여
여닫기
8. 進量移官狀
10-8-1 右希顏이 奉宣進止호되
10-8-2 伏以罰宜從輕이요 赦宜從重은
10-8-3 謹按承前格令에 左降官이
10-8-4 王者之道가 待人以誠하여
10-8-5 臣等昨進擬에 商度非不精詳이라
여닫기
9. 論邊城貯備米粟等状
10-9-1 右兵之所屯에 食最爲急하니
10-9-2 去歲版築五原에 大興師旅할새
10-9-3 夫栽植至難이요 毁拔至易라
여닫기
唐陸宣公奏議 奏議 제11권
여닫기
1. 論裴延齡姦蠧書 一首
本傳
11-1-1 十一月三日에 具官臣某는
11-1-2 夫小人之蔽明害理가 如目之有眯하며
11-1-3 其在周易則曰 大君有命하사
11-1-4 户部侍郞裴延齡者는 其性邪하며
11-1-5 跡其姦蠧가 日長月滋하여
11-1-6 前歲秋首의 班宏이
11-1-7 總制邦用은 度支是司요
11-1-8 國之府庫가 用置貨財하니
11-1-9 陛下가 方務崇信하사
11-1-10 陛下가 姑欲保持하사
11-1-11 平(原)[涼]遠鎭이 扼制蕃戎하고
11-1-12 國之憲度가 會府是司라
11-1-13 總領財賦가 號爲殷繁이라
11-1-14 風教之大는 禮譲爲先하고
11-1-15 陛下가 勤修儀式하사
11-1-16 度支에 舊管牛驢三千餘頭요
11-1-17 延齡有詐僞亂邦之罪가 七이요
11-1-18 夫布腹心而用耳目은 舜與紂가
11-1-19 夫理天下者는 以義爲本하고
11-1-20 陛下가 初膺寶曆하사
11-1-21 車駕가 既幸奉天에
11-1-22 及乎重圍既解하고 諸道稍通하니
11-1-23 陛下가 若謂厚取可以恢武功인댄
11-1-24 臣又竊慮陛下가 納彼盜言하고
11-1-25 臣竊慮陛下가 以延齡之進이
11-1-26 陛下가 若以必與己同者爲忠良하며
11-1-27 臣以卑鄙로 任當台衡하여
여닫기
2. 論朝官闕員及刺史等改轉
帝性猜忌
11-2-1 右臣이 聞於經호니
11-2-2 故詩序太平之君子가 能長育人才라하고
11-2-3 臣이 每於中夜에
11-2-4 夫多少相繆에 非嘉量이면
11-2-5 經에 曰
11-2-6 夫人之器局이 有圓方大小之殊하며
11-2-7 臣聞耀乘之珠 田敬仲世家
11-2-8 臣聞君子約言하고 小人先言이라하며
11-2-9 天之生物이 爲用罕兼하여
11-2-10 帝王之盛이 莫盛唐虞하고
11-2-11 今之議者가 多曰
11-2-12 三代爲理가 損益不同하니
11-2-13 夫覈才取吏가 有三術焉하니
11-2-14 今內外群官이 考深合轉이어늘
11-2-15 是以分分而度하면 至丈必差하고
11-2-16 伏惟陛下가 憂勤務理하시며
11-2-17 臣以竊位로 屬當序才하여
여닫기
唐陸宣公奏議 奏議 제12권
여닫기
均節賦稅恤百姓六條
德宗建中元年
여닫기
1. 其一論兩稅之弊須有釐革
12-1-1 國朝著令에 賦役之法이
12-1-2 天寶季歲에 羯胡亂華하여
12-1-3 夫作法에 裕於人이면
12-1-4 夫財之所生이 必因人力이니
12-1-5 兩稅之立은 則異於斯하여
12-1-6 復以創制之首에 不務齊平하고
12-1-7 立意且爽하고 彌綸又疎일새
12-1-8 大曆中에 紀綱廢弛하여
12-1-9 本懲賦斂繁重하여 所以變舊從新하니
12-1-10 定稅之數가 皆計緡錢하나
12-1-11 諸州稅物을 送至上都어든
12-1-12 稅法之重이 若是어늘
12-1-13 大曆中에 非法賦斂하여
12-1-14 建中定稅之始에 諸道가
12-1-15 自至德으로 訖于大曆二十年餘
12-1-16 昔魯哀公이 問於有若曰
12-1-17 望令所司로 與宰臣參量하여
12-1-18 供御之物이 各有典司하고
12-1-19 所定稅物估價를 合依當處(月中)[月平]이니
12-1-20 然後에 據每年見供賦稅之處하여
여닫기
2. 其二請兩稅以布帛爲額不計錢數
12-2-1 夫國家之制賦稅也에 必先導以厚生之業하고
12-2-2 今之兩稅가 獨異舊章하여
12-2-3 往者에 初定兩稅之時에
12-2-4 今欲不甚改法而粗救災害者인댄 在乎約循典制而以時變損益之니
12-2-5 然蚩蚩之俗이 罕究事情하고
12-2-6 議者가 若曰
12-2-7 議者가 若曰
12-2-8 議者가 若曰
12-2-9 夫地力之生物이 有大數며
12-2-10 漢文帝가 接秦項의
12-2-11 秦始皇이 據崤函之固하고
12-2-12 今人窮日甚하고 國用歲加하니
여닫기
3. 其三論長吏以增戶加稅闢田爲課績
12-3-1 夫欲施教化하여 立度程인댄
12-3-2 頃因兵興하여 典制弛廢하여
12-3-3 及夫廉使가 奏課하고
12-3-4 夫課吏之法에 所貴戶口增加者는
12-3-5 所貴田野墾闢者는 豈不以訓導有術하여
12-3-6 所貴稅錢長數者는 豈不以旣庶而富하여
12-3-7 所貴徵辦先期者는 豈不以物力優贍하여
12-3-8 且夫戸口增加하며 田野墾闢하며
12-3-9 當今之要가 在於厚人而薄財하며
여닫기
4. 其四論稅期限迫促
12-4-1 建官立國은 所以養人也요
12-4-2 法制或虧하면 本末倒置하여
12-4-3 頃緣定稅之初에 期約이
여닫기
5. 其五請以稅茶錢置義倉以備水旱
12-5-1 臣聞仁君이 在上하면
12-5-2 凡厥哲后가 皆謹循之하나니
12-5-3 語曰 百姓이
12-5-4 後代에 失典籍備慮之旨하고
12-5-5 頃以寇戎爲梗하고 師旅亟興하여
12-5-6 近者에 有司가
12-5-7 如此則蓄財息債者가 不能耗吾人하고
여닫기
6. 其六論兼并之家私斂重於公稅
12-6-1 國之紀綱이 在於制度하니
12-6-2 其制가 委則法度不守하며
12-6-3 今玆之弊는 則又甚焉하니
12-6-4 昔之爲理者가 所以明制度而謹經界가
12-6-5 右臣이 前月十一日에
12-6-6 臣이 聞於書하니
12-6-7 臣이 又聞於書하니
왼쪽메뉴 닫기
왼쪽메뉴 열기
전체
서명/저자명
기사제목
원문/대역문
번역문
역주
기타
人者
는
邦之本也
요
財者
는
人之心也
요
兵者
는
財之蠹也
니
其心
이
傷則其本
이
傷
하고
其本
이
傷則枝幹
이
顚瘁
하고
而根柢
가
蹶拔矣
라
惟陛下
는
重愼之
하고
愍惜之
하소서
1-1-13 사람은 나라의 근본이고 재물은 사람의 마음이며 군사는 재물을 좀먹는 벌레입니다.
그 마음이 손상되면 그 근본도 손상되고 그 근본이 손상되면 가지와 줄기는 기울고 시들며 뿌리는 뽑히게 마련입니다. 부디 폐하께서는 신중하게 대하고 애석하게 여기소서.
당육선공주의(1) 책은 2023.01.1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개인정보보호방침
저작권안내
업무제휴문의
이용약관
이메일무단수집거부
공지사항
Open API
(우)03150 서울시 종로구 삼봉로81, 1332호(두산위브파빌리온)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이전페이지
목록
다음페이지
맨위로
맨아래로
이메일
번역 및 의견
평가
★★★★★
★★★★
★★★
★★
★
명문장 추천하기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