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陸宣公奏議(1)

당육선공주의(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육선공주의(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夫揆物以意하고 宣意以言하나니 言或是非 莫若考於有跡이요 跡或成敗 莫若驗於已行이니
自昔王業盛衰 君道得失 史冊盡在하여 粲然可徵이니
與衆同欲하면 靡不興하고 違衆自用하면 靡不廢하며
從善納諫하면 靡不固하고 遠賢恥過하면 靡不危하니라
故詩書 稱堯德則曰 稽于衆하여 捨己從人이라하고
數舜之功則曰 明四目하며 達四聰이라하니 言務同欲也
序禹之所由興則曰 益贊于禹한대 禹拜昌言이라하고 述湯之所以王則曰 用人惟己하시고 改過不吝이라하니 言能納諫也
歌文王作周則曰 濟濟多士 文王以寧이라하고 美武王剋殷則曰 亂臣十人 同心同德이라하니 言皆從善也
堯舜禹湯文武此六君者 天下之盛王也로되 莫不從諫하여 以輔德하고 詢衆하여 以成功하니
是則德益盛者 慮益微하고 功愈高者 意愈下일새라


2-3-5 뜻으로 사물을 헤아리고 말로 뜻을 선포합니다. 말에는 시비가 있으므로 행동에서 살피는 것만 못하고, 행동에는 성패가 있으므로 지난 일에서 증험하는 것만 못합니다.
예로부터 왕업王業의 성쇠와 군도君道의 득실은 사서史書에 전부 실려 있어서, 환하게 징험할 수가 있습니다.
민중과 민중의 바람을 어기고 자기 생각만을 고집하면 폐하지 않음이 없었습니다.
선을 따르고 간언을 받아들이면 견고하지 않음이 없었고, 현자를 멀리하고 과실을 부끄럽게 여기면 위태롭지 않음이 없었습니다.
그러므로 ≪시경詩經≫과 ≪서경書經≫은 임금과 임금의 덕을 칭송하여 라고 하였습니다.
稽衆求言圖(여러 사람에게 상고하여 바른말을 구하다.)稽衆求言圖(여러 사람에게 상고하여 바른말을 구하다.)
순임금의 공을 헤아리기를 라고 하였습니다. 이는 민중의 바람과 같이 하는 데 힘쓴 것을 말한 것입니다.
임금이 흥기한 연유를 서술하기를 라고 하였습니다. 임금이 천하에 왕 노릇을 한 이유를 서술하기를 “사람을 쓰는 것을 자기 일처럼 하시고 라고 하였습니다. 이는
문왕文王나라를 일으킨 것을 노래하기를 라고 하였습니다. 무왕武王나라를 이긴 것을 찬미하기를 라고 하였습니다. 이는 모두 선인을 따랐음을 말한 것입니다.
문왕文王무왕武王 여섯 군주들은 천하의 성대한 군왕입니다만, 어느 누구도 간언을 따라서 덕을 보완하지 않은 이가 없고, 대중에게 물어서 공을 이루지 않은 이가 없습니다.
이것은 덕이 더욱 성대한 자일수록 사려가 더욱 정미하고, 공이 더욱 높은 자일수록 뜻이 더욱 스스로를 낮추기 때문입니다.


역주
역주1 바람을……없었고 : ≪春秋左氏傳≫ 昭公 4년 조에 楚子가 子産에게 묻기를 “그렇다면 내가 希求하는 바가 이루어지지 않음이 없겠는가?[然則吾所求者 無不可乎]”라고 하자, 자산이 “남에게 나를 滿足하게 해주기를 요구하면 뜻이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고, 남과 欲望을 함께하면 뜻한 일이 다 이루어질 것입니다.[求逞於人 不可逞 與人同欲 盡濟]”라고 했다.
역주2 여러……따랐다 : ≪書經≫ 〈虞書 大禹謨〉에 보인다.
역주3 사방의……하였다 : ≪書經≫ 〈虞書 舜典〉에 보인다.
역주4 益이……절하였다 : ≪書經≫ 〈虞書 大禹謨〉에 보인다.
역주5 허물을……않는다 : ≪書經≫ 〈商書 仲虺之誥〉에 보인다.
역주6 능히……것입니다 : 陸贄는 德宗 建中 4년(783)에 올린 〈奉天請數對群臣兼許令論事狀〉에서도 같은 뜻을 말했다.
역주7 많은……편안하시리라 : ≪詩經≫ 〈大雅 文王〉에 보인다.
역주8 정치를……같다 : ≪書經≫ 〈周書 泰誓 中〉에 보인다.

당육선공주의(1) 책은 2023.01.1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