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陸宣公奏議(2)

당육선공주의(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육선공주의(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以長制短則用力寡而見功多하고 以易敵難則財不匱而事速就어늘
捨此不務하고 而反爲所乘하니 斯謂倒持戈矛하고 以鐏授寇者也注+① 梅福傳 “秦倒持太阿, 授楚其柄.” 曲禮云 “進伐者, 前其鐏.” 鐏, 在困切, 柄下之銅.
今則皆務之矣 然猶守封未固하고 寇戎未懲者
其病在於謀無定用하고 衆無適從하여 所任 不必才 才者 不必任이며 所聞 不必實이요 實者 不必聞이며 所信 不必誠이요 誠者 不必信이며 所行 不必當이요 當者 不必行일새
故令措置乖方하고 課責虧度하여 財匱於兵衆하고 力分於將多하며 怨生於不均하고 機失於遙制하니
請爲陛下하여 粗陳六者之失하노니 惟明主 慎聽而熟察之하소서


9-1-11 뛰어난 것으로 부족한 것을 제어하면 힘을 쓰는 것은 적으면서 드러나는 공은 많고, 쉬운 것으로 어려운 것을 대적하면 재물은 다 떨어지지 않으면서 일은 속히 성취될 것입니다.
그런데 이것을 버려두고서 힘쓰지 않아 도리어 적에게 이용을 당하니, 이는 창을 거꾸로 쥐고 창고달을 적에게 준다고 하는 것입니다.注+① 倒持戈矛 以鐏授寇:≪漢書≫ 〈梅福傳〉에 “秦나라가 太阿劍을 거꾸로 쥐고 그 자루를 楚나라에 주었다.”고 하였다. ≪禮記≫ 〈曲禮〉에 “창을 남에게 줄 때에는 창고달을 앞으로 한다.”고 하였다. ‘鐏’은 在와 困의 反切이니, 자루 아래쪽의 구리로 된 장식이다.
지금은 모두 변경을 지키는 일에 힘쓰고 있지만 여전히 변경을 지키는 것이 견고하지 못하고 융적戎狄이 징계되지 않고 있습니다.
이는 그 병통이, 계책 중에 확실하게 쓸 것이 없고 사람들 중에 의지할 자가 없어서, 임용한 자가 반드시 인재가 아니고 인재가 반드시 임용되는 것은 아니며, 듣는 것이 반드시 실정이 아니고 실정이 반드시 들리는 것은 아니며, 믿는 자가 반드시 충실한 자가 아니고 충실한 자가 반드시 믿음을 받는 것은 아니며, 시행하는 것이 반드시 합당한 것은 아니고 합당한 것이 반드시 시행되는 것은 아닌 데에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조치하는 것이 방도에서 어긋나고 살피고 독책하는 것이 법도를 잃어서, 병사들이 많은 데서 재물이 고갈되고 장수들이 많은 데서 힘이 분산되며, 균평하지 못한 데서 원망이 생겨나고 멀리 조정에서 통제하는 데서 기회를 잃게 되는 것입니다.
청컨대 신이 폐하를 위하여 대략 여섯 가지의 실책을 진술하고자 하니, 부디 명철하신 군주께서는 신중히 듣고 깊이 살펴주십시오.



당육선공주의(2) 책은 2023.01.1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