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陸宣公奏議(2)

당육선공주의(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육선공주의(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户部侍郞裴延齡者 其性邪하며 其行險하며 其口利하며 其志凶하여 其矯妄不疑하며 其敗亂無恥하여
以聚斂爲長策하며 以詭妄爲嘉謀하며 以掊克斂怨爲匪躬하며 以靖譖服讒爲盡節하여
總典籍之所惡하여 以爲智術하고 冒聖哲之所戒하여 以爲行能하니 可謂堯代之共工이요 魯邦之少卯니이다
伏惟陛下 協放勛文思之徳而鑑其方鳩僝功하시고
體仲尼天縱之明而辨其順非堅僞則天討斯得하고 聖化允孚하사 小往大來 孰不欣幸이리오마는


11-1-4 호부시랑户部侍郞 배연령裴延齡은 성품이 사악하고 행실이 음험하며, 입으로는 감언이설甘言利說을 하고 뜻은 흉악하여, 남을 속이고 망령된 짓을 하는 데 주저하지 않고 나라를 망하게 하고 어지럽히는 데에 부끄러움이 없습니다.
때문에 마구 거두어들이는 것을 뛰어난 책략으로 여기고 남을 속이고 망령된 짓 하는 것을 좋은 계책으로 여기며, 가렴주구해서 원망을 모으는 것을 이라 여기고 참소를 편히 여기고 이간질을 자행함을 충절을 다하는 것이라 여깁니다.
그리하여 서적에 실린 온갖 악행들을 다하면서도 지혜와 권술이라 생각하고, 성현聖賢이 당부한 바를 무릅쓰고 행하는 것을 품행과 능력이라 생각하니, 라고 이를 만합니다.
삼가 바라건대 폐하께서는 덕에 합하여 을 분명히 살피시고,
중니仲尼의 선천적인 영명함을 본받아 그릇된 것을 순순히 따르며 를 분별해내십시오. 그렇게 한다면 하늘의 토벌이 이루어지고 성인의 교화가 신뢰를 얻어 누군들 기뻐하며 다행으로 여기지 않겠습니까.


역주
역주1 자신을……것 : 원문의 ‘匪窮’을 풀이한 말이다. ≪周易≫ 蹇卦 六二爻辭에 “왕의 신하가 충성을 다 바치려고 하는 것은 자신의 몸을 위해서가 아니다.[王臣蹇蹇 匪躬之故]”라는 말이 보이는데, 육지는 이를 배연령의 탐욕을 비판하는 데 사용했다.
역주2 堯임금……少正卯 : 共工은 고대 전설 속의 인물로, 그가 顓頊과 싸우다가 성이 나서 부주산을 머리로 치받자 하늘 기둥이 부러지면서 하늘은 서북쪽으로 기울고 땅은 동남쪽으로 꺼졌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少正卯는 孔子가 魯나라의 大司寇가 되어 승상의 일을 대행한 지 7일째 되는 날에 정사를 문란하게 한 자로, 공자가 천하의 대악을 다 가지고 있는 자라고 하였다. 여기서는 악인의 대명사로 쓰였다.
역주3 放勛의……깊은 : 원문의 ‘放勛文思’를 풀이한 말이다. 放勛은 放勳으로도 쓰며 요임금을 가리킨다. ≪書經≫ 〈虞書 堯典〉에 “옛날 요임금을 상고하건대 放勳이시니, 공경하고 밝고 문채 나고 생각함이 편안하고 편안하시며, 진실로 공손하고 능히 겸양하시어, 광채가 사방에 입혀지시며 상하에 이르셨다.[曰若稽古帝堯 曰放勳 欽明文思安安 允恭克讓 光被四表 格于上下]”라는 말이 보인다.
역주4 겉만……공적 : 원문의 ‘方鳩僝功’을 풀이한 말이다. ≪書經≫ 〈虞書 堯典〉에 “驩兜가 말하기를 ‘아, 共工이 바야흐로 사람을 모아 공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라 하니, 요임금이 말하기를 ‘아, 그렇지 않다. 기용되기 전에는 말을 그럴듯하게 하나 등용하면 위배하고 겉으로만 공손하다.’라 하였다.[驩兜曰 都 共工方鳩僝功 帝曰 吁 靜言庸違 象恭滔天]”라는 말을 인용하였으니, 共工을 가리켜 배연령에 비유한 것이다.
역주5 편벽된……자 : 원문의 ‘順非堅僞’를 풀이한 말이다. ≪孔子家語≫ 〈始誅〉에 소정묘를 죽인 이유에 대해 열거하면서 “사람 중에 몹시 나쁜 악인의 유형이 다섯 가지가 있는데, 도둑질하는 자 따위는 여기에 속하지 않는다. 그 첫째는 거역할 뜻을 마음에 품고서 음험함을 감추고 있는 자[心逆而險], 둘째는 편벽된 짓을 행하면서 고집불통인 자[行辟而堅], 셋째는 거짓말을 하면서 잘 둘러대는 자[言僞而辯], 넷째는 괴이한 것을 잘 기억하면서 박식함을 자랑하는 자[記醜而博], 다섯째는 그릇된 것을 순순히 받아들이면서 번지르르하게 꾸미는 자[順非而澤]이다. 사람이 이 다섯 가지 중 한 가지만 있어도 군자의 주살을 피하기 어려운데 소정묘는 이것을 다 갖추고 있다.”라고 하였다.
역주6 소인이……것이니 : 원문의 ‘小往大來’를 풀이한 말이다. ≪周易≫ 泰卦 〈彖傳〉에 “작은 것이 가면 큰 것이 온다.[小往大來]”라고 한 말을 인용한 것이니, “군자의 도가 자라나고 소인의 도는 사라진다.[君子道長 小人道消也]”라고 한 말과 상통한다.

당육선공주의(2) 책은 2023.01.1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