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陸宣公奏議(1)

당육선공주의(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육선공주의(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聞將貴專謀 兵以奇勝일새 軍機遙制 則失變하고 戎帥稟命이면 則不威하노니
是以古之賢君 選將而任하여 分之於閫 誓莫干也 授之以鉞 俾專斷也 夫然故軍敗則死衆하고 戰勝則策勳이라
不用刑호되 而師律貞하고호되 而武功立이니 其於委任之體 豈不博大哉 其於責成之利 豈不精覈哉
自昔帝王之所以夷大艱成大業者 由此道也


6-2-2 은 듣건대, 군기軍機를 멀리서 통제하면 응변의 시기를 놓치고 장수가 군주에게 명을 받으면 위엄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옛날의 어진 군주가 장수를 선발하여 임무를 맡겨 간섭하지 않는다고 맹세하는 것이요, 부월斧銊을 주는 것은 전적으로 판단하게 한 것입니다. 무릇 그렇기 때문에 군사가 패하면 전투에서 이기면 공을 하는 것입니다.
형벌을 사용하지 않았는데 군사의 규율이 바르고, 마음을 수고롭게 하지 않았는데도 무공武功이 이루어지니, 그 임무를 맡기는 사체에 있어서는 어찌 광대하지 않겠으며, 그 공을 이루는 유익함에 있어서는 어찌 정밀하지 않겠습니까.
옛날에 제왕이 큰 간난을 평정하여 위대한 업적을 이룬 것이 이 도리에서 말미암은 것입니다.


역주
역주1 장수는……합니다 : ‘전권을 받아 계책을 세움[專謀]’은 임금에게 품부하지 않고 독단하여 판단함을 이르니, ≪春秋左氏傳≫ 閔公 2년에 “군대는 명령 체계를 세우는 데 달렸을 뿐인데, 모든 일을 임금께 여쭈어 행하면 위엄이 없게 된다.[師在制命而已 稟命則不威]”고 하였다. ‘奇兵으로 승리함[奇勝]’은 ≪孫子兵法≫ 〈兵勢篇〉에 나오는 말로, “무릇 전쟁은 正兵으로 교전하고 奇兵으로 승리를 취한다.[凡戰者 以正合 以奇勝]”고 하였다.
역주2 閫內와……것은 : 옛날 출정하는 장수를 전송할 때 임금이 수레바퀴를 손수 밀어주면서 “閫內는 과인이 처리할 테니 閫外는 장군이 알아서 하라.”라고 하였다.(≪史記≫ 권102 〈張釋之馮唐列傳〉) 이는 임금으로부터 정벌의 명을 받고 전권을 행사는 일을 말한다. 閫은 도성의 문으로, 곤내는 도성 안의 정사를, 곤외는 지방의 군사를 말한 것이다.
역주3 군중을……죽고 : ≪禮記≫ 〈曲禮 下〉에 “國君은 社稷을 위해서 죽고 大夫는 무리를 위하여 죽고 士는 명령에 죽는다.[國君死社稷 大夫死衆 士死制]”라고 하였다.
역주4 策勳 : ≪春秋左氏傳≫ 桓公 2년 조에 “출전할 때에 종묘에 고하고, 개선해서 종묘에 고하고는 술을 마신 다음, 술잔을 놓고 공을 책훈하는 것이 예이다.[凡公行 告于宗廟 反行 飮至 舍爵 策勳焉 禮也]”라고 하였다.
역주5 勞慮 : ≪後漢書≫ 〈李固傳〉에 “지금 帝를 세움에 천하가 名器를 중하게 여기니, 태후께서 마음을 쏟으시고 장군이 勞慮하여, 그 온당한 사람을 자상하게 선택하여 聖明을 보존하고자 힘쓰시는 것을 잘 알겠습니다.[今當立帝 天下重器 誠知太后垂心 將軍勞慮 詳擇其人 務存聖明]”라고 하였다.

당육선공주의(1) 책은 2023.01.1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