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陸宣公奏議(2)

당육선공주의(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육선공주의(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夫地力之生物 有大數 人力之成物 有大限하니 取之有度하고 用之有節하면 則常足하며 取之無度하고 用之無節하면 則常不足이라
生物之豐敗 由天하고 用物之多少 由人일새
是以聖王立程하여 量入爲出注+① 王制 “以三十年之通, 制國用, 量入以爲出.”이라 雖遇災難이라도 下無困窮이러니
理化旣衰 則乃反是하여 量出爲入하고 不恤所無하니
故魯哀公 問年饑하여 用不足하니 如之何오하여늘 有若 對以盍徹하고
桀用天下而不足하며 湯用七十里而有餘하니 是乃用之盈虛 在節與不節耳
不節則雖盈必竭하고 能節則雖虛必盈이니
衛文公 承滅國之餘하여 建新徙之業호되 革車 不過三十乗이니 豈不甚殆哉아마는 而能衣大布하고 冠大帛하여 約己率下하고 通商務農하여 卒以富强으로 見稱載籍注+② 左閔二年 “衛文公大布之衣, 大之冠, 務材訓農, 通商惠工, 敬教勸學, 授方任能, 元年革車三十乘, 季年乃三百乘.하고


12-2-9 그것을 취하는 데 한도가 있고 그것을 사용하는 데 절도가 있으면 늘 충분하고, 그것을 취하는 데 한도가 없고 그것을 사용하는 데 절도가 없다면 늘 부족합니다.
농작물의 산출이 많으냐 적으냐 하는 것은 하늘에서 연유하고, 일상 용품의 많으냐 적으냐 하는 것은 사람에게서 연유합니다.
그러므로 성왕聖王은 원칙을 세워서 수입을 헤아려서 지출을 계획하기[양입위출量入爲出] 때문에注+① 是以聖王……量入爲出:≪禮記≫ 〈王制〉에 “30년간의 수입을 통산한 뒤에 나라의 예산을 정하고 수입을 헤아려서 지출을 정한다.”라고 하였다. 비록 재난을 맞닥뜨려도 하민下民들이 곤궁함이 없었습니다.
다스림과 교화가 쇠퇴해지면 이와는 반대로 되어서 지출을 헤아려서 수입을 계획하고[量出爲入] 백성들이 낼 수 없는 것을 돌아보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애공哀公이 ”흉년이 들어서 재정이 부족하니 어떻게 해야 하는가?”라고 묻자, 유약有若이 대답하길, “어찌 철법徹法(10분의 1 )을 쓰지 않으십니까?”라고 답하였습니다.
임금은 천하의 재물을 써도 부족하였고, 임금은 사방 70리의 재물을 쓰고도 남음이 있었습니다. 이것은 바로 국용國用의 넉넉함과 부족함이 절용節用하느냐의 여부에 달려 있을 따름입니다.
절약하지 않으면 비록 재물이 가득하더라도 반드시 고갈되고, 능히 절약하면 비록 재물이 텅 비더라도 반드시 가득하게 될 것입니다.
혁거革車가 30에 지나지 않았으니 어찌 매우 위태롭지 않았겠습니까마는 헐렁한 베옷[대포大布]을 입고 거친 삼베[대백大帛]로 된 을 쓰고서, 스스로 검소하여 아랫사람의 모범이 되고 통상通商을 하고 농업에 힘써서 결국 나라를 부강富强하게 한 것으로 전적典籍에서 칭송을 받고 있습니다.注+② 衛文公……見稱載籍:≪春秋左氏傳≫ 閔公 2년에 “衛 文公은 거친 베옷에 거친 명주로 만든 冠을 쓰고서 힘써 인재를 기르고 농사를 가르치며, 물자를 유통시키고 공인을 대우하며, 교육을 중시하고 학문을 권면하며, 관리의 도리를 가르쳐 능력 있는 자를 임용하니, 원년에는 30승이던 병거가 말년에는 300승으로 되었다.
漢文帝漢文帝


역주
역주1 地力이……있는데 : 원문은 ‘地力之生物 有大數 人力之成物 有大限’으로 되어 있다. ≪資治通鑑≫ 권234에는 ‘地力之生物 有大限’으로 되어 있어 ‘大數’와 ‘大限’을 같은 의미로 보았다. 이를 참작하여 번역하였다.
역주2 衛 文公은……세웠지만 : 춘추시대 衛나라가 狄의 침입으로 나라를 잃고 임금인 懿公이 죽자 위나라 遺民들은 曹邑으로 옮겨 戴公을 임금으로 세웠다. 오래지 않아 대공도 죽고 위나라는 齊 桓公의 도움으로 楚丘에 도읍하고 文公을 임금으로 세웠다. 문공은 망국의 한을 잊지 않기 위해 大布로 만든 옷을 입고 大帛으로 만든 관을 쓰고 국가 재건에 정성을 다한 결과 즉위할 때 30乘이던 革車가 말년에는 300승으로 늘어나는 富國强兵을 이루었다고 한다.(≪春秋左氏傳≫ 閔公 2년)
역주3 (布)[帛] : 저본에는 ‘布’로 되어 있으나, ≪春秋左氏傳≫에 의거하여 ‘帛’으로 바로잡았다.

당육선공주의(2) 책은 2023.01.1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