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陸宣公奏議(1)

당육선공주의(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육선공주의(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孔子 曰 人而不仁 疾之已甚 亂也라하시니 又曰 小不忍則亂大謀라하시고
君陳 曰 無忿疾于頑이라하며 又曰 必有忍이라야 其乃有濟라하니
伏願陛下 必以英主大略 聖人格言으로 爲元龜하소서
固不可納豎儒小忠하여 以虧撓興復之業也니이다 臣不勝憂國至計하여 謹啓事以聞하노이다 謹奏


군진君陳〉에서는 라고 하였으며, 또 말하기를 라고 하였습니다.
삼가 바라건대 폐하께서는 반드시 영주英主의 큰 지략과 성인의 격언을 원귀元龜(귀감)로 삼으소서.
정말로 변변치 못한 유자의 작은 충정을 받아들이셔서 흥복興復의 사업을 망가뜨려서는 안 될 것입니다. 신이 나라를 근심하는 지극한 생각을 이기지 못하여 삼가 계사啓事로써 아룁니다. 삼가 아룁니다.
평설評說육지陸贄는, 주자朱泚의 난이 거의 평정되어가므로 봉상鳳翔을 안정시키려면 반드시 이초림李楚琳안무安撫해야 한다고 건의하였다. 이때 육지는 덕종德宗에게 황제로서 신민臣民의 작은 공적이라도 포상하는 정책을 세울 것을 권하였다. 곧 “옛날부터 기이한 공적을 세우고 혹 위태롭고 재액에 빠진 사람들을 구원하는 사람들은 반드시 혈구絜矩의 인사이거나 온량溫良한 무리만이 아닙니다. 말을 몰고 길들이는 것은 오로지 말을 부리는 것에 달려 있습니다.”라고 말한 것이 이 글의 골자라고 할 수 있다. 나라 채구하蔡九霞도 이렇게 논평하였다. “이초림은 당일 비록 국가에 쓰임이 될 만하지는 않았으나, 잠깐 재갈을 채우듯 단속을 하여야 다시 국가의 한 큰 해악을 더하는 사태에 이르지 않았을 것이다. 시세와 이해를 따지지 않고 반란의 무리는 다시 고식姑息하게 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는 것은 의론이 비록 정대하기는 하지만, 나라를 그르치는 것이 작지 않다. 종래 건의하는 자들은 단지 좋은 제목만을 취할 따름이었지, 이해를 계산하지 않아서 왕왕 모두가 그러했으니, 누가 공만큼 큰 식견을 지닌 자가 있었던가.” 다만 조선 후기 성해응成海應은 ≪연경재전집硏經齋全集≫의 〈독육선공주의讀陸宣公奏議〉에서 이 주의奏議에 대해, 반란군의 적장을 처리하는 방식에 편파성이 있다고 불만을 표시하였다. “이초림을 다독일 것을 청한 주장奏狀은 정말로 난리를 해결하는 한 가지 기책이다. 그런데 이초림은 그 장수를 죽이고 역적과 통하여, 봉천奉天의 난에 힘이 되었고, 그 공적을 말하자면 불과 양양梁洋(양주梁州)의 길을 통하게 한 것에 불과하다. 육선공陸宣公덕종德宗에게 이초림을 다독일 것을 권하고, 덕종이 장안에 돌아오고 나서는 봉상절도사鳳翔節度使를 바꾸는 것을 저지하였으니, 그 관대한 덕으로 말하면 정말로 아름답다고 하겠지만 이초림의 죄는 징계할 길이 없었다. 이성李晟봉상鳳翔으로 나가 주둔하게 되자, 이초림을 꽉 붙잡아 가서 참수하겠다고 청하였으나 덕종이 허락하지 않았으니, 이것은 육선공의 뜻을 따른 것이었다. 육선공은 신뢰를 돈독히 하고 성의誠意를 펴고자 하였던 것이지만, 전희감田希鑑의 살육(주자朱泚팽원성彭原城에서 패사敗死하자 이성李晟은 그의 무리였던 전희감을 유인하여 주살하였다.)은 어찌하여 중지시키기 않았단 말인가. 관군의 장수를 죽인 것도 같고 역적과 통한 것도 같으며, 당나라 조정에 복귀하지 않은 것도 같거늘, 유독 전희감만 주살된 것은 역시 편파적이지 않은가. 나는 그렇기 때문에 ‘이성李晟이 계책이 적적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라고 생각한다.”


역주
역주1 仁하지……일으킨다 : ≪論語≫ 〈泰伯〉에 보인다.
역주2 작은……어지럽힌다 : ≪論語≫ 〈衛靈公〉에 보인다.
역주3 완악함에……말라 : ≪書經≫ 〈周書 君陳〉에 보인다.
역주4 반드시……있다 : ≪書經≫ 〈周書 君陳〉에 보인다.

당육선공주의(1) 책은 2023.01.1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