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陸宣公奏議(1)

당육선공주의(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육선공주의(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高宗始年 亦親聽納이라 故當時翕然歸美하여 以爲有貞觀之風注+① 高宗永徽元年, 上召朝集使謂曰 “朕初卽位, 事有不便於百姓者, 悉宜陳. 不盡者, 更封奏.” 自是月引刺史十人入閤, 問以百姓疾苦及其政治. 長孫無忌與褚遂良同心輔政, 上亦尊禮二人, 恭己以聽之, 故永徽之政, 百姓阜安, 有貞觀之遺風.이라하고 兼賴遺澤在人하며 先範垂裕하니
幸無改作하여 俗以阜康하니 數十年間 天下無事러니
承平之業 滋久 倦勤之意 頗彰하사 燕居益深하시고 接下彌簡하시니
前哲之 浸遠하고 中宮之威柄 潛移하여 卒有嗣聖臨朝하고 天授革命注+② 則天紀云 “高宗自顯慶後, 多苦風疾, 后遂參豫國政, 上不能制. 高宗崩, 皇太子卽位, 是爲中宗. 光宅元年正月癸未, 改元聖, 三月戊午, 廢中宗爲廬陵王, 幽之. 己未, 立豫王旦爲皇帝, 皇太后仍臨朝稱制. 天授元年九月壬午, 改國號曰周, 加尊號曰聖神皇帝, 降皇帝爲皇(似)[嗣], 賜姓武氏, 立武氏七廟于神都.”하니
豈不以經邦之道 闕疇咨於大猷하고 宴樂之懷 溺偏信於近狎하여 馴致禍變하여 幾將傾邦하니
雖亂匪自他 然其失一也
弊俗一靡하니 餘風遂流하여 訖神龍景雲之間토록 皆嬖倖亂朝注+③ 中宗神龍二年, 改元景龍. 時韋皇后․安樂公主․昭容等用事, 皆私賣官, 行墨勅斜封.하고 聰明不達이러니


2-3-10 고종高宗의 처음에 역시 친히 청납聽納하셨으므로, 당시 사람들이 모두 찬미하여 정관貞觀 연간의 풍모가 있다고 여겼습니다.注+① 貞觀之風:高宗 永徽 원년(650)에 上이 를 불러서 말하기를 “짐이 갓 즉위하였으니, 일 가운데 백성에게 불편한 것이 있으면 빠짐없이 모두 진술하라. 다 진술하지 못한 것이 있으면 다시 封書로 上奏하라.”라고 하였다. 이로부터 다달이 刺史 10인을 불러다 하게 하여 백성의 疾苦와 그 지역의 정치에 대해 물었다. 長孫無忌는 褚遂良과 한마음이 되어 정치를 보좌했으므로, 상도 역시 두 사람을 존중하고 예우하여 스스로를 낮추어 공손한 태도로 그들의 말을 들었다. 그러므로 永徽의 정치에 백성들이 부유해지고 편안하여 貞觀의 遺風이 있었다. 게다가 선대에 남긴 은택이 백성에게 있고 선대에 남긴 법에 힘입었습니다.
다행히 이를 고치지 않아서 백성들이 풍요롭고 안락하였습니다. 이에 수십 년 사이에 천하에 아무 일이 없었습니다.
武后武后
그러나 태평한 기업이 점점 오래되어 근정勤政에 게을리하는 뜻이 자못 드러나서 침전에 거처하는 일이 더욱 많아지고 신하를 인견하는 일이 더욱 적어졌습니다.
선대 현군賢君의 밝은 빛이 차츰 멀어지고, 의 권력이 은밀히 옮겨와서 마침내 〈무후武后가〉 황위를 이어 하고 하늘을 받들어 을 바꾸니,注+② 卒有嗣聖臨朝 天授革命:≪新唐書≫ 〈則天紀〉에 “高宗은 연간 이후로 풍질을 심하게 앓는 일이 많았다. 武后가 마침내 국정에 참여하였는데, 상이 제어할 수가 없었다. 고종이 붕어하자 황태자가 즉위했는데, 이가 바로 中宗이다. 光宅 원년(684) 정월 癸未日에 嗣聖으로 改元하고, 3월 戊午日에 중종을 폐위하여 廬陵王이라 하고 유폐하였다. 己未日에 豫王 李旦을 皇帝로 세웠으나 皇太后가 여전히 하였다. 天授 원년(690) 9월 壬午日에 국호를 周로 바꾸고, 尊號를 더하여 聖神皇帝라고 하고는, 황제를 강등하여 皇嗣로 삼고, 武氏의 성을 하사하고, 武氏七廟를 神都(洛陽)에 건립했다.” 하였다.
국가를 경영하는 방도가 신하들에게 방책을 묻는 일을 결여하게 되고 연회를 즐기려는 마음이 친압하는 무리를 믿는 데서 점점 깊어져서 화란禍亂에 임박하여 거의 장차 나라를 전복시킨 것이 어찌 아니겠습니까.
비록 〈현재의〉 난리가 이로부터 일어난 것이 아니지만 그 잘못은 똑같습니다.
퇴폐한 풍속이 한 번 일어나자 남은 풍속이 마침내 유전되어 의 연간에 이르도록 모두 폐행嬖倖이 조정을 어지럽혀서注+③ 嬖倖亂朝:中宗 神龍 2년(706), 景龍으로 改元하였다. 이때 등이 권세를 부려, 모두 사사로이 官爵을 팔고 을 행하였다. 임금의 총명聰明이 사방에 도달하지 못하였습니다.


역주
역주1 中宮 : 則天武后(624~705)를 가리킨다. 본명이 武曌이다. 본래 高宗의 황후였으나 690년에 국호를 周로 고치고 스스로 황제가 되어 15년 동안 통치하였다. 재위는 690년에서 705년까지이다.
역주2 臨朝 : 太后가 國政을 攝政하는 것을 말한다. 唐 中宗의 어머니 則天武后가 아들의 황위를 탈취한 것을 말한 것이다.
역주3 神龍 : 唐나라 中宗의 연호이다. 중종은 모후 則天武后에게 유폐되었다가 21년 만인 神龍 원년(705)에 狄仁傑과 張柬之 등에 의해 복위되었다.
역주4 景雲 : 唐나라 睿宗 때의 연호이다.
역주5 耿光 : ≪書經≫ 〈周書 立政〉에 보면 周公이 成王에게 “文王의 밝은 빛을 보시고 武王의 큰 공렬을 드날리소서.[以觀文王之耿光 以揚武王之大烈]”라고 하였다.
역주6 朝集使 : 매년 각 고을의 재정을 보고하기 위해 조정에 파견되는 관리로, 漢나라 때의 上計吏에서 유래하였다.(≪舊唐書≫ 〈太宗紀 下〉)
역주7 入閣 : 唐나라 때 皇帝가 朔望日에 使殿에서 신하들을 접견하는 것을 이른다. 이는 본서 167쪽 郞曄의 註 ①에 보인다.
역주8 顯慶 : 唐나라 제3대 황제인 高宗의 두 번째 연호로, 656년에서 660년까지에 해당한다.
역주9 臨朝稱制 : 여성인 皇后나 皇太后 등이 황제 노릇을 함을 이르는 말이다. ‘臨朝’는 여성에게는 금지된 장소인 外朝에 나아가 국정을 들었다는 의미이고, ‘稱制’는 황제의 명령인 ‘制’나 ‘誥’에 준한다는 의미로 황제의 권력을 대신했음을 가리킨다.
역주10 (似)[嗣] : 저본에는 ‘似’로 되어 있으나, ≪新唐書≫ 〈則天紀〉에 의거하여 ‘嗣’로 바로잡았다. 아래도 같다.
역주11 韋皇后 : 中宗의 두 번째 皇后로, 邵王 李重潤․永泰公主․永壽公主․長寧公主․安樂公主의 생모이며, 京兆府 萬年縣(지금의 陝西省 西安市) 출신이다. 神龍 원년(705) 武三思 등과 정권을 농락하였으며 안락공주로 하여금 관직을 팔게 하였다. 사찰과 도관을 짓는데 막대한 돈을 쏟아부었으며, 景龍 4년(710) 중종이 급사하자 溫王 李重茂를 황제로 내세우고 대리청정하였다. 臨淄王 李隆基(훗날의 玄宗)의 정변에 궁중에서 살해되고 庶人으로 강등되었다.
역주12 安樂公主 : 中宗의 딸로 아명은 裹兒다. ‘唐나라 제일의 미인’으로 일컬어졌는데, 武三思의 아들 武崇訓과 혼인하였다가 다시 武承嗣의 아들 武延秀와 재혼하였다. 賣官賣職을 일삼으며 사치스러운 생활을 하였는데, 뇌물을 받으면 墨筆로 쓴 詔勅을 비스듬히 봉함해 관직을 제수하였으므로, 당시 사람들이 이를 斜封官이라고 했다. 무삼사․上官婉兒 등과 공모하여 皇太子 李重俊을 폐위시키고 자신이 皇太女가 되려고 하였으며, 燕欽隆이 중종에게 위황후와 안락공주의 淫行과 惡行을 고하자 추궁을 두려워한 나머지 중종을 독살하였다. 또한 중종의 넷째 아들 温王 李重茂를 황제로 옹립하였다가 황위를 양위받아 직접 황제가 되려고 하였다. 하지만 臨淄王 李隆基(훗날의 玄宗)와 측천무후의 딸 太平公主 등이 일으킨 정변에 죽었으며 悖逆庶人으로 강등되었다.
역주13 上官昭容 : 上官은 複姓이며, 아명은 婉兒다. 陝州 陝縣(지금의 河南省 三門峽市) 사람으로, 祖父 上官儀가 죄를 얻어 피살된 후에 모친 鄭氏를 따라 궁정의 하녀가 되었다. 14세에 총명하고 글을 읽을 줄 알아서 무측천에게 중용됨으로써 ‘두건을 쓴 재상’이란 뜻으로 ‘巾幗宰相’이라 불렸다. 中宗 때 昭容(후궁 중 하나)으로 봉해져 권세를 떨쳤으며, 皇妃의 신분으로 內廷과 外朝의 政令을 작성했으며 書館을 넓히고 學士를 증설하여 문단을 주도했다. 臨淄王 李隆基가 일으킨 정변에 피살되었다.(≪新唐書≫ 〈后妃上〉)
역주14 墨勅斜封 : 朱色의 印信을 찍지 않고 그냥 붓으로 써서 비스듬히 봉한 辭令書로 外廷의 請을 거치지 않고 임금이 곧바로 관원을 임명하는 명을 내리는 것을 말한다.(≪新唐書≫ 〈選擧志 下〉)
역주15 (牛)[上官] : 저본에는 ‘牛’로 되어 있으나, ≪新唐書≫ 〈后妃 上〉에 의거하여 ‘上官’으로 바로잡았다.

당육선공주의(1) 책은 2023.01.1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