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陸宣公奏議(1)

당육선공주의(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육선공주의(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玄宗 躬定大難注+① 本紀云 “玄宗乃睿宗第三子, 始封楚王, 後爲臨淄郡王. 庶人韋氏已弑中宗, 矯詔稱制, 宗乃與薛崇簡․劉幽求․鍾紹京等定策討亂. 率總監․羽林兵, 會兩儀殿․梓宮宿衛兵皆起應之, 遂誅韋氏.”하시고 手振宏綱하사 開懷納忠하시고 剋己從諫하시며
尊用舊老하시고 採拔群才하시니 大臣 不敢壅下情하고 私昵 不敢干公議하여
朝淸道泰 垂三十年하니 謂化已行하며 謂安可保라하여 耳目之娛 漸廣하고 憂勤之志 稍衰하사
侈心一萌 邪道 竝進하여 貪權竊柄者則曰 德如堯舜矣 焉用勞神리오하며 承意趣媚者則曰 時已太平矣 胡不爲樂이리오하여
有深謀遠慮者 謂之迂誕驚衆이라하고 有讜言切諫者 謂之誹謗邀名이리오하여
至尊 收視於穆淸하시고 上宰 養威於廊廟하며 議曹 以頌美爲奉職하고
法吏 以識旨爲當官하며 司府 以厚斂爲公忠하고 權門 以多賂爲하니
外寵 持竊國之勢注+② 本傳, 當時外寵竊國, 如安祿山兼制三道之類是也. 攷之八年 “周公欲背莊王而立王子克. 辛伯告王, 遂與王殺周公黑肩. 王子克奔燕. 初, 子儀有寵於(威)[桓]王, (威)[桓]王屬諸周公. 辛伯諫曰 ‘竝后, 匹嫡, 兩政, 國, 亂之本也.’ 周公弗從. 故及.” 子儀卽子克.하고 內寵 擅迴天之謠注+③ 當時內寵回天, 如高力士用事, 事多專決, 權傾中外之類是也. 後漢宦者傳 “(威)[桓]帝與單超․徐璜․具瑗․左悺․唐衡定策誅梁冀, 同日受封, 世謂之五侯. 超死, 四侯轉橫. 天下爲之語曰 ‘左回天, 具獨坐. 徐臥虎, 唐兩墮.’”하여
禍機熾然하여 燄燄滋甚하여 擧天下 如居積薪之上하니 人人懼焚而朝廷相蒙하여 曾莫之省하고 日務遊宴하여 方謂有無疆之休라하더니
大盜一興 至今爲梗하니 豈不以忽於戒備하고 逸於居安하여 憚忠骾之怫心하고 甘諛詐之從欲하여 漸漬不聞其失하여 以至於大失者乎


2-3-11 현종玄宗께서는 몸소 큰 환난을 평정하시고,注+① 玄宗躬定大難:≪新唐書≫ 〈玄宗本紀〉에 이르기를 “玄宗은 睿宗의 셋째 아들로, 처음에 楚王에 봉해졌다가 뒤에 臨淄郡王이 되었다. 庶人 韋氏가 이미 中宗을 시해하고는 거짓으로 조칙을 꾸며 稱制하였다. 현종은 마침내 薛崇簡․劉幽求․鍾紹京 등과 함께 모책을 정하여 난적을 토벌하기로 하였다. 현종은 總監․羽林兵을 인솔하였는데, 마침 兩儀殿․梓宮의 宿衛兵들이 모두 일어나 호응하니, 마침내 위씨를 주살하였다.”라고 하였다. 손수 크나큰 기강을 확립하셨습니다. 마음을 열고 충언을 받아들이시고 자기의 욕심을 이기고 간언을 따르셨습니다.
옛 노성인들을 존중하여 등용하고 뭇 재능 있는 이들을 선발하였습니다. 이에 대신들은 아랫사람들의 실정이 올라오는 것을 감히 막지 못하였고, 사사로이 친근한 이들은 공론公論에 감히 간여하지 못했습니다.
조정이 맑아지고 정치가 태평해진 것이 30년에 달하자, 교화가 이미 행해졌다고 여기고 편안함을 보장할 만하다 여겨서 이목耳目의 즐거움이 점점 넓어지고 우근憂勤의 뜻이 점점 쇠퇴하였습니다.
사치스런 마음이 한 번 싹이 트자 사악한 도가 함께 나왔습니다. 권세를 탐하고 훔치는 자가 이르기를 “덕이 요순堯舜과 같으시거늘, 어찌 신기神氣를 수고롭게 할 필요가 있습니까.”라고 말하고, 군주의 뜻을 헤아려 아부하는 자가 이르기를 “시절이 이미 태평한데, 어찌 즐기지 않습니까.”라고 하였습니다.
唐 玄宗唐 玄宗
그리하여 심모원려深謀遠慮한 자들에 대해서는 우활하고 허탄하여 군중을 놀라게 한다고 이르고, 직언直言을 하고 절실하게 간언하는 자들에 대해서는 비방을 행하여 명성을 바란다고 이릅니다.
지존께서는 깊은 궁궐에서 시청視聽을 거두시고, 상재上宰낭묘廊廟(조정)에서 위엄을 기르고, 는 아름다움을 칭송하는 것을 봉직으로 여기며,
법리法吏는 임금의 뜻을 헤아리는 것을 직무를 감당하는 것이라 여기며, 사부司府는 많이 징수하는 일을 충성을 다하는 것이라 여기며, 권문權門은 뇌물을 많이 받는 것을 높은 명망이라 여겼습니다.
외총外寵은 나라를 훔칠 위세를 지녔고,注+② 外寵持竊國之勢:〈本傳〉에 보면 당시에 外寵이 나라를 훔칠 기세라는 것은 安祿山이 三道를 兼制한 따위가 이것이다. ≪春秋左氏傳≫ 桓公 18년에 “周公이 周 莊王을 배반하고 王子 克을 세우려고 했다. 辛伯이 장왕에게 고하여 마침내 왕과 함께 周公黑肩을 죽이니, 왕자 극은 燕나라로 도망하였다. 처음에 子儀가 桓王에게 총애를 입을 때 환왕은 주공에게 그를 맡겼다. 신백이 諫하여 ‘妾이 王后와 나란히 하고 庶子가 嫡子와 대등하고 큰 읍이 國都의 규모와 같은 것은 혼란의 근본입니다.’라고 하였다. 주공이 이 말을 듣지 않아서 이런 일에 이르게 되었다.” 하였다. 子儀는 곧 子克이다. 내총內寵 불리었습니다.注+③ 內寵擅迴天之謠:당시 內寵이 천심을 돌린 일은 高力士가 用事하여 국사를 대부분 專決하여 권세가 온 나라를 기울인 부류가 이것이다. ≪後漢書≫ 〈宦者傳〉에 보면 “桓帝가 單超(선초)․徐璜․具瑗․左悺․唐衡 등과 함께 모책을 정하여 梁冀를 주살하여, 그 다섯 명은 같은 날 봉작을 받아서 세상에서 그들을 五侯라고 하였다. 선초가 죽은 후 四侯가 돌아가면서 전횡하였으므로, 천하에서 그 일을 두고 말하기를 라고 하였다.” 하였다.
그리하여 화기禍機가 치성하여, 활활 타오르자 온 천하 사람이 쌓아둔 하니, 사람들마다 불에 타지나 않을까 두려워하였습니다. 그러나 조정에서는 서로 덮어두고서 결코 이것을 살피지 않고 날마다 연회에 힘쓰면서 바야흐로 ‘끝없는 아름다움이 있다.’고 하였습니다.
그러다가 대도大盜(안녹산安祿山)가 한 번 일어나자 지금까지도 폐해를 끼치고 있습니다. 그러니 경계와 대비에 소홀히 하고 편안한 때에 안일하여, 골경지신骨鯁之臣이 군주의 마음을 거스르는 것을 꺼리고 아첨하는 자들이 군주의 욕망에 따라 영합하는 것을 달게 여겨, 차츰차츰 젖어들어 그 실책을 말하는 것을 듣지 않아서 큰 잘못에 이른 것이 어찌 아니겠습니까.


역주
역주1 議曹 : 언로를 담당하는 관청을 가리킨다.
역주2 천심을 돌린다고 : 원문의 ‘迴天’은 乾坤을 틀어 돌린다는 말로, 권세나 역량이 강대함을 형용한다. ≪北齊書≫ 〈帝紀總論〉에 “佞人과 閹宦들이 機軸의 권세를 담당하는 자리에 있고, 宮婢와 宮妾이 迴天의 힘을 멋대로 하여, 관직을 팔고 작위를 팔아서, 정치를 어지럽게 만들고 형벌을 멋대로 사용하게 만들었다.[佞閹處當軸之權 婢妾擅迴天之力 賣官鬻爵 亂政淫刑]”라고 하였다. 迴天倒日, 迴天挽日, 迴天運斗, 迴天轉地 등이 모두 같은 뜻이다.
역주3 장작더미……듯 : 危機가 隱伏해 있는 것을 비유한다. ≪漢書≫ 〈賈誼傳〉에 “무릇 불을 끌어다 장작더미 아래에 두고 그 위에서 잠을 잔다면, 불이 타오르기 전에는 그걸 두고 편안하다고 하겠지만, 방금의 형세는 이것과 무엇이 다릅니까.[夫抱火厝之積薪之下而寢其上 火未及燃 因謂之安 方今之勢 何以異此]”라고 하였다.
역주4 問望 : 名望, 聲望이라는 뜻으로, 問은 聞과 통한다. 唐나라 王維의 〈與工部李侍郞書〉에 “그러므로 오래전부터 드러난 問望은 孟嘗君과 平原君의 짝을 이룰 정도인데, 해가 저물고 시절이 위태로운 때에 이르러서 더욱 신하로서의 절개가 드러납니다.[故夙著問望 爲孟嘗平原之儔 及乎歲晩時危 益見臣節]”라는 표현이 있다.
역주5 (元)[玄] : 저본에는 ‘元’으로 되어 있다. 宋나라는 시조의 이름인 玄朗을 피휘하여 元으로 썼는데, 여기서는 ‘玄’으로 바로잡았다.
역주6 (威)[桓] : 저본에는 ‘威’로 되어 있다. 宋나라 欽宗의 이름이 ‘桓’이라서 이를 피휘하여 ‘威’로 고친 것이다. 이에 ‘桓’으로 바로잡았다. 여기서 威公은 魯나라 桓公을 가리키고 威王은 周나라 桓王을 가리킨다.
역주7 [十] : 저본에는 ‘十’이 없으나, ≪春秋左氏傳≫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8 (竊)[耦] : 저본에는 ‘竊’로 되어 있으나, ≪春秋左氏傳≫에 의거하여 ‘耦’로 바로잡았다.
역주9 좌관이……兩墮이다 : 朝鮮本 ≪思政殿訓義 資治通鑑綱目≫ 제11권 하 漢 桓帝 延熹 3년(160)의 訓義에 “回天은 세력이 군주의 마음을 돌릴 수 있음을 말한 것이고, 獨坐는 교만하고 귀함이 짝할 자가 없음을 말한 것이고, 臥虎는 감히 범접할 사람이 없음을 말한 것이고, 兩墮는 양쪽을 잡고서 〈어물어물함을〉 말한 것이다. 〈兩墮는〉 一本에는 兩이 雨로 되어 있다. 비가 내리는 바에 적셔주지 않음이 없으니, 그가 퍼뜨리는 해독이 천하에 두루 미침을 말한 것이다. 一說에 雨墮는 그 성질의 급함이 비가 떨어짐에 일정한 곳이 없는 것과 같음을 이른다.” 하였다.

당육선공주의(1) 책은 2023.01.1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