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陸宣公奏議(1)

당육선공주의(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육선공주의(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尙恐議者曰 時異事殊라할새 臣請復爲陛下하여 粗擧近效之尤章章者하여 以辨焉하리이다
太宗文皇帝 以天縱之才 有神器之重하사 武定禍亂하고 文致太平하여 威行如雷霆하고 明照侔日月하여
英略施於百勝하고 聖功被於九歌하시니 固非庶品之所度量하며 常情之所이로되
然猶兢兢畏愼하사 懼失人心하사 每戒臣下獻規하여 恒以危亡爲慮하시고 夙興聽理하사 日旰忘勞하시니
公卿迭趨하여 庭奏庶務어든 評議得失하사 與衆共之하시니 下無滯情하고 上無私斷호되
退朝之暇 宴接侍臣하사 諮訪謀猷하시며 詢求過闕하사 或論往古成敗하시고 或問人間事情하사
每言及暗主亂朝 則省懼自戒하시고 言及賢君理代 則企竦思齊하시며
言及稼穡艱難 則上下相匡하여 務遵勤儉하고 言及閭閻疾苦 則君臣同慮하여 議息征徭하여 懋德懲違하여 觸類滋長호되


2-3-8 그럼에도 의논하는 자는 “시절이 다르고 일도 다르다.”라고 말할지 모릅니다. 신은 청컨대 다시 폐하를 위하여 근래의 효과가 아주 분명하게 드러난 것을 얼추 열거하여 변론하고자 합니다.
태종문황제太宗文皇帝(이세민李世民)는 천부적 재주로 천자의 지위에 있으시면서 로써 화란禍亂을 평정하고 으로써 태평太平을 가져와, 위엄은 번개와 벼락과도 같았고, 명찰함은 해와 달과 짝하셨습니다.
성스러운 공덕은 에 노래 불렸습니다. 정말로 일반 사람이 헤아려 짐작할 수 있는 바가 아니고, 상정常情이 깊이 살필 수 있는 바가 아닙니다.
그런데도 태종께서는 매우 두려워하고 신중하시어 인심人心을 잃어버리지나 않을까 염려하였습니다. 이에 매번 신하들에게 잘못을 바로잡는 말을 올릴 것을 명하여 항상 위망危亡을 염려하셨으며, 아침에 일찍 일어나서 정사를 행하시고 날이 늦도록 수고로움을 잊으셨습니다.
그리하여 공경公卿이 교대로 종종걸음으로 나와서 조정에서 서무를 상주하면 득실을 의논하여 여러 신하들과 함께 다스렸습니다. 이에 아래에는 실정이 막힌 것이 없었고 위에는 사사로운 논단이 없었습니다.
그런데도 조정에서 물러나 쉬시는 여가에 시종신을 연회에서 만나서 모책을 자문하고 과오를 물으셨습니다. 혹은 옛날의 성패를 논하기도 하고 혹은 민간의 사정을 묻기도 하셨습니다.
신하들이 매번 사리에 어두운 군주와 어지러운 조정에 대해 언급할 때면 반성하고 두려워하여 스스로를 경계하셨습니다. 현명한 군주와 잘 다스려진 시대에 대해 언급할 때면 현군賢君과 같아지길 간절히 바라셨습니다.
농사의 어려운 상황에 대해 언급하면, 위와 아래가 서로 바로잡고 절약을 힘써 준수하셨습니다. 여염의 괴로운 상황에 대해 언급하면, 군주와 신하가 함께 염려하고 조세와 요역을 그칠 것을 의논하셨습니다. 을 크게 하고 과오를 바로잡아서


역주
역주1 영묘한……베풀어졌고 : ≪陸贄集≫(中華書局, 2006) 張佩芳의 註에 “≪唐鑑≫에 ‘太宗이 布衣로 일어나 志氣가 영명하고 과단하여 百戰百勝하여 천하를 취하였다.”라고 하였다.
역주2 九歌 : 본래 禹임금 때의 樂歌를 말하는데, 후대에는 樂章을 가리킨다. ≪書經≫ 〈虞書 大禹謨〉에 우임금이 “아, 황제여 생각하소서. 덕은 정사를 선하게 하고, 정사는 백성을 기르는 데 있습니다. 수ㆍ화ㆍ금ㆍ목ㆍ토와 곡식이 잘 닦이며, 正德과 利用과 厚生이 화하여 아홉 가지 공이 펴지게 하소서. 아홉 가지 펴진 것을 노래로 읊거든, 경계하고 깨우쳐서 아름답게 여기고 독책하여 두렵게 하며 권면하되 九歌로 하시어 무너지지 않게 하소서.[於帝念哉 德惟善政 政在養民 水火金木土穀惟修 正德利用厚生惟和 九功惟敍 九敍惟歌 戒之用休 董之用威 勸之以九歌 俾勿壞]”라고 하였다.
역주3 유추하여……적용해나갔습니다 : ≪周易≫ 〈繫辭傳 上〉에 이르기를 “이를 확대하여 유추하여 적용하면 천하의 가능한 일을 모두 마칠 수 있다.[引而伸之 觸類而長之 天下之能事畢矣]”라고 하였다.
역주4 鑽仰 : 깊이 상대를 살핀다는 의미로, 상대방의 도덕을 극찬할 때 쓰는 말이다. ≪論語≫ 〈子罕〉에 보면, 顔淵이 스승인 孔子의 덕에 대해서 “우러러볼수록 더욱 높고 뚫을수록 더욱 견고하다.[仰之彌高 鑽之彌堅]”라고 하였다.

당육선공주의(1) 책은 2023.01.1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