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近思錄集解(1)

근사록집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근사록집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92-1 未知立心 惡思多之致疑 旣知所立 惡講治之不精이니라
立心未定而多思致惑이면 則所向或移하고 立心旣定而講治粗疎 則所業莫進이니라
92-2 講治之思 莫非術內 雖勤而何厭이리오마는 所以急於可欲者 求立吾心於不疑之地 然後 若決江河하야 以利吾往注+按 孟子可欲之謂善이라한대 朱子曰 天下之理其善者 必可欲이요 其惡者 必可惡 其爲人也 可欲而不可惡 則可謂善人矣니라 又曰 可欲 是資稟好하야 別人以爲可欲이니 是說這人可愛也 其爲人 處心造事行己接物 一皆可欲而不可惡 則可謂之善人矣리라 ○ 慶源輔氏曰 先儒多以可欲으로 爲己之欲이로되 獨集註不然하니 可欲 是別人 以爲可欲이니라 ○ 按 橫渠所謂可欲 與朱子意不同하니라이니라
承上文而言호되 致思講治
乃窮理之事 皆在吾學術之內
初何厭乎勤이리오하시니 言講治之貴精이라
然所以急於明可欲之善者 蓋欲先定吾志하야 無所疑惑注+按 朱子曰 急於可欲之善이면 則便是無善惡之雜이니 便是立吾心於不疑之地라하시니 此專以行言이어늘 葉說 似以知言하니 恐未穩이라이니 然後 能若決江河하야 進而不可遏이니 言立心之必定이니라
[張伯行 註] 可欲字看이니 承上文思多講治而言이라
講治之功 致思之多 莫非吾學術分內之事 雖勤勤於此라도 亦所不廢 何必厭之而有所惡리오
顧君子爲學 自有所欲之功耳
所以急於可欲者 求志向堅定明白하야 立吾心於不疑之地하야 自無多思之可惡然後 沈潛講治하고 優游厭飫하야 沛然有得이라
若江河之決하야 條達流行하야 任吾所往호되 無不冰釋理順하야 而講治亦無惡其不精矣리라
如是乃君子之所貴耳 非謂講治致思之可不事也니라
92-3 遜此志하야 務時敏이면 厥修乃來
故雖仲尼之才之美로도 然且敏以求之注+論語註 速也 謂汲汲也하시니 今持不逮之資하야 而欲徐徐以聽其自適 非所聞也注+書經說命篇曰 惟學 遜志 務時敏이라야 厥修乃來라하니라 ○ 論語述而篇曰 好古敏以求之者也라하니라 ○ 書經說命篇曰 匪說攸聞이라한대 註云 甚言無此理也라하니라로다
順也
遜此志則立心已定이요 務時敏則講學爲急注+按 書註曰 如有所不及이어든 勤以勵己라하니라 朱子曰 遜其志 又須時敏이니 若似做不做하야 或作或輟이면 亦不濟事라하시니 然則時敏 以敏於行言이요 不但以講學言也 若以遜志務時敏으로 爲立心以後之事 則可어니와 若分遜志與務時敏하야 以應立心與講學이면 則恐未免牽合之失이니라이니 如是則所修乃日見其進也
說見尙書하니라


92-1 〈횡거선생橫渠先生이 말씀하였다.〉
“마음을 세울 줄을 모를 적에는 생각을 많이 하여 의혹을 이룸을 싫어하고, 이미 마음을 세울 바를 안 뒤에는 강치講治하지 못함을 싫어해야 한다.
마음을 세움이 정해지지 못하고서 생각을 많이 하여 의혹을 이루면 추향趨向하는 바가 혹 바뀌게 되고, 마음을 세움이 이미 정해졌는데 강치講治가 거칠고 소홀하면 공부하는 바가 진전되지 못한다.
강치講治의 생각은 모두 학술學術 안에 있는 것이니, 비록 수고로우나 어찌 싫어하겠는가마는 가욕可欲(좋아할 만한 좋은 방법)을 밝힘을 급하게 여기는 까닭은 나의 마음을 의혹하지 않는 곳에 세우고자 해서이니, 이렇게 한 뒤에야 강하江河를 터놓은 듯하여 나의 감을 순탄하게 할 수 있다.注+살펴보건대 《맹자孟子》에 ‘가욕可欲(좋아할 만함)을 ’이라 하였는데, 그 주자朱子가 말씀하였다. “천하天下의 이치가 한 것은 반드시 좋아할 만하고 악한 것은 반드시 미워할 만하니, 그 사람됨이 좋아할 만하고 미워할 만하지 않으면 선인善人이라 이를 수 있다.” 또 말씀하였다. “가욕可欲자품資稟이 좋아서 딴 사람이 가욕可欲이라 하는 것이니, 이 사람이 좋아할 만하다고 말하는 것이다. 그 사람됨이 마음을 두고 일을 하며 자기 몸을 행하고 남을 대하는 것이 한결같이 모두 사랑할 만하고 미워할 만하지 않으면 선인善人이라 이를 수 있다.”
경원보씨慶源輔氏가 말하였다. “선유先儒들은 가욕可欲을 자기가 하고자 하는 것이라고 많이 말하였는데, 유독 주자朱子의 《집주集註》는 그렇지 않으니, 가욕可欲은 딴 사람이 가욕可欲이라고 여기는 것이다.”
○ 살펴보건대 횡거橫渠가 말씀한 가욕可欲주자朱子의 뜻과는 다르다.
윗글을 이어 말씀하기를 “치사致思강치講治는??
바로 궁리窮理의 일이니, 모두 나의 학술學術 안에 들어있다.
애당초 어찌 수고로움을 싫어하겠는가.” 하였으니, 이는 강치講治함을 귀하게 여김을 말씀한 것이다.
그러나 가욕可欲을 밝힘을 급하게 여기는 까닭은 먼저 내 마음을 하여 의혹하는 바가 없게 하고자 해서이니,注+살펴보건대 주자朱子가 말씀하기를 “가욕可欲을 급하게 여기면(우선하면) 곧 선악善惡의 뒤섞임이 없으니, 이것이 바로 내 마음을 의심하지 않는 곳에 세우는 것이다.” 하였는 바, 이는 오로지 으로 말씀한 것인데, 섭씨葉氏로 말한 듯하니, 온당하지 못할 듯하다. 이렇게 한 뒤에야 강하江河를 터놓은 듯하여 전진하여 막을 수 없는 것이니, 이는 마음을 세움을 반드시 해야 함을 말씀한 것이다.
[張伯行 註]가욕可欲악자惡字와 상대하여 보아야 하니, 상문上文사다思多(생각을 많이 함)와 강치講治를 이어서 말한 것이다.
강치講治의 공부와 치사致思의 많음이 모두 내 학술學術의 분수 안의 일이니, 비록 여기에 부지런히 힘쓰더라도 또한 폐하지 않아야 할 바이니, 어찌 싫어하여 미워하는 바가 있겠는가.
다만 군자君子학문學問할 적에 자연 하고자 하는 공부가 있다.
가욕可欲을 급히 여기는 이유는 지향志向이 굳게 정해지고 분명하여 의심하지 않는 자리에 나의 마음을 세워서 자연 미워할 만한 많은 생각이 없게 한 뒤에야 침잠沈潛하고 강치講治하며 우유優游하고 염어厭飫하여 패연沛然히 얻음이 있을 것이다.
강하江河를 터놓은 것과 같아서 조리條理창달暢達하고 유행流行하여 내가 가는 대로 맡겨두어도 모두 얼음이 풀리듯 이치가 순하여 강치講治 또한 그 정밀하지 못함을 싫어함이 없을 것이다.
이와 같이 하는 것이 바로 군자君子가 귀하게 여기는 것이니, 강치講治치사致思를 일삼지 않아도 된다고 말한 것은 아니다.
이 뜻을 겸손히 하여 힘써 때로 민첩하게 하면 그 닦아짐이 마침내 올 것이다.
그러므로 비록 중니仲尼의 훌륭한 재주로도 민첩하게 구하셨으니,注+논어論語》의 에 “은 신속함이니, 급급히 함을 이른다.” 하였다. 이제 미치지 못하는 자질資質을 가지고 서서히 유유자적悠悠自適하도록 내버려 두고자 하는 것은 내가 들어본 바가 아니다.”注+서경書經》〈열명편說命篇〉에 이르기를 “배움은 뜻을 겸손히 하여야 하니, 힘써 때로 민첩하게 하면 그 닦아짐이 마침내 온다.” 하였다.
○ 《논어論語》〈述而篇〉에 “옛것을 좋아하여 민첩히 구하는 자이다.” 하였다.
○ 《서경書經》〈說命篇〉에 “제(說)가 들은 바가 아닙니다.” 하였는데, 에 “이러할 이치가 없음을 지극히 말한 것이다.” 하였다.
은 공순(겸손)함이다.
이 뜻을 겸손히 하면 입심立心이 이미 정해지고, 힘써 때로 민첩하게 하면 강학講學을 급하게 여기니,注+살펴보건대 《서경書經》의 에 “만일 미치지 못하는 바가 있으면 부지런히 힘써서 자신을 면려勉勵하는 것이다.” 하였다. 주자朱子는 말씀하기를 “그 뜻을 겸손히 하고 또 모름지기 때로 민첩하게 해야 하니, 만일 공부를 하는 둥 마는 둥 하여 혹 하기도 하고 혹 그치기도 한다면 또한 일을 이루지 못한다.” 하였다. 그렇다면 시민時敏을 힘쓰는 것을 말씀한 것이고 다만 강학講學하는 것만 가지고 말씀한 것이 아니다. 만약 손지遜志무시민務時敏입심立心 이후의 일로 삼는다면 괜찮지만, 만약 손지遜志무시민務時敏을 나누어서 입심立心강학講學에 맞춘다면 일부러 꿰어맞추는 잘못을 면하지 못할 듯하다. 이와 같이 하면 닦는 바가 날로 진전됨을 볼 것이다.
내용이 《상서尙書》에 보인다.


역주
역주1 : 오

근사록집해(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