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近思錄集解(2)

근사록집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근사록집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46. 不以文害辭라하니 文字之文이니 擧一字則是文이요 成句 是辭
爲解一字不行하야 却遷就他說이니 如有周不顯 自是作文 當如此注+孟子萬章篇云 說詩者 不以文害辭하고 不以辭害志 以意逆意라야 是爲得之라한대 朱註曰 說詩之法 不可以一字而害一句之義라하니라注+遷就他說 性理群書註 改就他說이라니라
詳見孟子
詩大雅文王篇曰 有周不顯가하니 言周家豈不顯乎아하니 蓋言其顯也
苟直謂之不顯이면 則是以文害辭니라


46. 〈명도선생明道先生이 말씀하였다.〉
“‘(글자)으로써 (구절)를 해치지 말라.’ 하였으니, 문자文字이니, 한 를 들면 이요 성구成句이다.
는 한 로 풀이해서는 될 수가 없어서 이것을 바꾸어 설명해야 하니, ‘유주불현有周不顯’ 같은 것은 본래 문장文章을 지음이 마땅히 이와 같아야 하는 것이다.”注+맹자孟子》〈만장편萬章篇〉에 “를 해설하는 자는 글자로써 말을 해치지 말고 말로써 본지本志를 해치지 말고 독자讀者의 뜻으로 작자作者의 뜻을 맞추어야 알 수 있다.” 하였는데, 주자朱子에 “를 해설하는 방법은 한 글자로 한 의 뜻을 해쳐서는 안 된다.” 하였다.注+천취타설遷就他說’이 성리군서性理群書에는 ‘개취타설改就他說’로 되어 있다.
불이문해사不以文害辭는〉《孟子》에 자세히 보인다.
시경詩經》 〈대아大雅 문왕편文王篇〉에 ‘유주불현有周不顯’이라 하였으니, ‘나라가 어찌 드러나지 않겠는가.’ 라고 말한 것으로 드러남을 말한 것이다.
만일 곧바로 드러나지 않는다고 말하면 이는 으로 를 해치는 것이다.



근사록집해(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