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革而無甚益이라도 猶可悔也어든 況反害乎아
			                         
                        		
                        		
                        		
	                     		
			                       	
			                       	
	                     		
	                     		
		                        
                        	
                        	
                        	
                        	
                        		
                        			
                        			
			                        
			                        	古人所以重改作也
注+革卦彖辭曰 革은 水火相息하며 (中略) 革而信之라 文明以說하야 大亨以正하니 革而當할새 其悔乃亡云云이라니라 
                        		
                        		
                        		
	                     		
			                       	
			                       	
	                     		
	                     		
		                        
                        	
                        	
                        	
                        	
                        		
                        			
                        			
			                        
                        		
                        		
                        		
	                     		
			                       	
			                       	
	                     		
	                     		
		                        
                        	
                        	
                        	
                        	
                        		
                        			
                        			
			                        
			                        	事之變更則於大體에 不能無傷이니 苟非有大益無後患이면 君子不輕於改作이니라
			                         
                        		
                        		
                        		
	                     		
			                       	
			                       	
	                     		
	                     		
		                        
                        	
                        	
                        	
                        	
                   			
                        	
                        	
                        	
                        	
	                       	
	                       	
	                       	
	                       	
							                       	
	                        
	                        
	                        	
	                        
	                        	
	                        
	                        	
	                        
	                        	
	                        
	                        	
	                        
	                        	
	                        
	                        	
	                        
	                        	
	                        
	                        
	                        
                        	
		                        
		                        
		                        
		                        
                        		
                        	
		                        
		                        
		                        
		                        	
		                        	
		                        
		                        
                        		
                        		
                        			
			                        
			                        	19. 〈이천선생伊川先生이 말씀하였다.〉
“개혁改革하여 큰 유익함이 없더라도 오히려  뉘우칠 만한데, 하물며 도리어 해로움에 있어서랴.
			                              
                        			
                        		
                        		
	                     		
			                       	
			                       	
	                     		
		                        
                        	
		                        
		                        
		                        
		                        
                        		
                        	
		                        
		                        
		                        
		                        	
		                        	
		                        
		                        
                        		
                        		
                        			
			                        
			                        	 옛사람이 이 때문에 
개작改作(改革)함을 어렵게 여긴 것이다.”
注+혁괘革卦 단사彖辭에 “혁革은 물과 불이 서로 멸식滅息하며 (中略) 개혁改革하여 믿게 하는 것이다. 문명文明하고 기뻐하여 크게 형통亨通하고 바르니, 개혁改革하여 합당하므로 뉘우침이 이에 없어지는 것이다.” 하였다.      
                        			
                        		
                        		
	                     		
			                       	
			                       	
	                     		
		                        
                        	
		                        
		                        
		                        
		                        
                        		
                        	
		                        
		                        
		                        
		                        	
		                        	
		                        
		                        
                        		
                        		
                        			
			                             
                        			
                        		
                        		
	                     		
			                       	
			                       	
	                     		
		                        
                        	
		                        
		                        
		                        
		                        
                        		
                        	
		                        
		                        
		                        
		                        	
		                        	
		                        
		                        
                        		
                        		
                        			
			                        
			                        	일을 변경하면 대체大體에 손상이 없지 못하니, 만일 크게 유익하고 후환後患이 없는 경우가 아니면 군자君子는 개작改作을 가볍게 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