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近思錄集解(2)

근사록집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근사록집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3-1 伊川先生曰
顔淵 問克己復禮之目한대 夫子曰 非禮勿視하며 非禮勿聽하며 非禮勿言하며 非禮勿動이라하시니 四者 身之用也
由乎中而應乎外하나니 制於外 所以養其中也
朱子曰
由乎中而應乎外 謂視聽言動이니 乃此心之形見處 制乎外所以養其中 謂就視聽言動上克治也
上二句 言其理 下二句 是工夫니라
3-2 顔淵 事斯語注+論語顔淵篇曰 回雖不敏이나 請事斯語矣라하니라하니 所以進於聖人이니 後之學聖人者 宜服膺而勿失也니라
因箴以自警하노라
或問 明知其不當視而自接乎目하고 明知其不當聽而自接乎耳 則將如何잇고 朱子曰
하니 非禮之色 雖過乎目이나 在我 不可有視之之心이며 非禮之聲 雖過乎耳 在我 不可有聽之之心이니라
3-3 視箴注+沙溪曰 心之無形하야 難以操之 惟視之發於非禮處 從而操之 是謂有要也니라
心兮本虛하니 應物無迹이라
操之有要하니 視爲之則이라
蔽交於前하면 其中則遷하나니 制之於外하야 以安其內니라
克己復禮하면 久而誠矣리라
人心虛靈하야 應感出入 無迹可執하니 操存之要 莫先謹視
猶節也
苟物欲之蔽 交乎吾前하야 惑於所見이면 中必移矣리니
惟能制之於外하야 目不妄視하면 則神識泰定하야 內斯以安이니 久而誠이면 則實理流行하야 動容周旋 中禮矣리라
3-4 聽箴曰
人有秉彛 本乎天性이언마는 注+按 樂記曰 知誘於外하야 人化物也라하니 伊川說 蓋本此니라 ○ 胡氏曰 不言聽而言知者 聽者 知之初 知者 聽之後 因知而此心爲之動故 以知言하니 其實 一也니라하야 遂亡其正하나니라
卓彼先覺 知止有定이라
閑邪存誠하야 非禮勿聽하나니라
人秉五常之性하야 本無不善이로되 惟知識 誘於外而忘返하고 物欲 化其內而莫覺이라
由是 所稟之正 日以喪矣니라
誘者 化之初 化者 誘之極也
知止者 知其所當止也 有定者 得其所當止也注+按 有定 謂心有所定이니 恐不可遽謂得所止也니라
閑邪於外 所以存誠於中也니라
[張伯行 註] 此 發明非禮勿聽之要旨也
聽與聞異하니 聲突然而入耳 何能不聞이리오
但我不可有欲聽之之心이라
故程子之箴 以爲人生之初秉執五常之德하니 是皆原之於天하야 所性皆善者也
情感意紛하야 知誘其外하야 漸而忘返하야 如響斯應하고 聲入心動하야 物化其內하면 久而神移하야 有聽斯受
於是 天理之正 日就梏亡하나니 常人皆然이요 賢者不免이라
惟卓然精明之先覺 知心所當止而有定하야 不爲知誘하고 不爲物化하야 外閑其邪하야 內誠斯存이라
聽德惟聰하고 非理勿聽하니 則秉彝全乎天而克復盡乎人矣
繼視而有所事者 以是爲次焉이니라
3-5 言箴曰
人心之動 因言以宣하나니 發禁躁妄이라야 內斯靜專하나니라
矧是樞機 興戎出好注+易繫辭曰 言行 君子之樞機 樞機之發 榮辱之主라하니라 ○ 書大禹謨曰 唯口 出好興戎하나니 朕言不再라하니라注+書曰 惟口出好興戎 蔡傳曰 好 善也 兵也 言發於口 則有二者之分이라하나니 吉凶榮辱 惟其所召니라
傷易則誕이요 傷煩則支하며 己肆物忤하고 出悖來違하나니 非法不道注+孝經曰 非先王之法言이어든 不敢道라하니라하야 欽哉訓辭하라
輕肆也 虛繆也 言語之發 禁其輕肆하면 則內靜定矣 禁其虛繆 則內專一矣
扉臼也 弩牙也
戶之闔闢 射之中否 皆由之하나니 發言 乃吾身之樞機
故一言之惡 或至於興師하고 一言之善 或可以合好하며 得則有吉有榮하고 失則有凶有辱하며 躁而傷於易則誕肆而不審하고 妄而傷於煩則支離而遠實이니라
縱情也 肆己者 必忤物이니 躁之致也 乖理也 悖而出者 必悖而反이니 妄之致也注+按 雲峯胡氏曰 易 是輕言이요 是多言이요 是放言이요 悖則純乎不善矣라하고 朱子 以爲是四項病이어늘 而諸家只解 歸躁妄二字하니 非矣라하시니 胡說 正中葉氏之病이요 況以靜專二字 分屬躁妄하니 尤爲破碎니라니라
3-6 動箴注+白雲許氏曰 視聽言 各指一事 動則擧一身而言이라 故動箴 兼心說이라 謂內而心之動 外而身之動 皆出於正하야 表裏如一이면 則天理流行이어니와 若强制於外하야 而動於中者 或未盡善이면 則病根不除하야 未爲得也 此卽愼獨工夫니라
哲人 知幾하야 誠之於思하고 志士 厲(勵)行하야 守之於爲하나니 順理則裕 從欲惟危
造次克念하야 戰兢自持注+按 上句 言誠之於思 下句 言守之於爲 如此看 如何하라
習與性成하면 聖賢同歸注+沙溪曰 按覺軒蔡氏曰 聖 性之也 謂哲人이요 習之也 謂志士 及其成功則一也 故曰同歸라하고 陳氏曰 習之久而與氣質之性俱化 則賢亦聖矣라하니 二說 皆非 蓋我之習熟하야 與性俱成이면 則我與聖賢同歸矣 及其成功則一之意也니라 又按 習與性成之性 葉註 以爲本然하고 新安陳氏 則引書玆乃不義, 習與性成하야 以爲氣質하니 以何爲正 栗谷曰 陳說長이니라하리라 〈文集〉
朱子曰
思是動之微 爲是動之著 思是動於內 爲是動於外니라
○ 明哲之人 知其幾微 故於所思而誠之하야 一念之動 不敢妄也 立志之士 勉勵其行이라 故於所爲而守之하야 一事之動 不敢忽也니라
順理而動則安裕하고 從欲而動則危殆 守於爲也 造次俄頃而克念不忘하고 戰兢恐懼而自持不失 誠於思也
謂修於己 謂得於天이니 習與性合注+按 以合字 解成字하니 恐未穩이라이면 則全其本然之善而與聖賢一矣리라


3-1 이천선생伊川先生이 말씀하였다.
안연顔淵극기복례克己復禮조목條目을 묻자, 부자夫子(孔子)는 ‘가 아니면 보지 말고 가 아니면 듣지 말고 가 아니면 말하지 말고 가 아니면 하지 마는 것이다.’ 하셨으니, 〈보고 듣고 말하고 하는〉 네 가지는 몸의 쓰임이다.
중심中心으로 말미암아 밖에 응하니, 밖에서 재제裁制함은 중심中心을 기르는 것이다.”
주자朱子가 말씀하였다.
중심中心으로 말미암아 밖에 응한다는 것은 보고 듣고 말하고 동함을 이르니 바로 이 마음이 나타나는 곳이요, 밖에 재제裁制하여 중심中心을 기른다는 것은 보고 듣고 말하고 동함의 위에 나아가 이겨 다스림을 이른다.
위의 두 는 자연의 이치를 말하였고, 아래의 두 는 공부이다.”
3-2 안연顔淵이 이 말씀에 종사하였으니,注+논어論語》〈안연편顔淵篇〉에 “제가 비록 불민不敏하나 청컨대 이 말씀에 종사하겠습니다.” 하였다. 이 때문에 성인聖人에 나아갔던 것이니, 후세後世성인聖人을 배우는 자들은 마땅히 가슴속에 새겨 두고 잃지 말아야 한다.
인하여 을 지어 스스로 경계하노라.
혹자가 “마땅히 보아서는 안 됨을 분명히 알면서도 저절로 눈에 접하고, 마땅히 들어서는 안 됨을 분명히 알면서도 저절로 귀에 접하게 되면 장차 어떻게 해야 합니까?” 하고 묻자, 주자朱子는 다음과 같이 말씀하였다.
과 다르고 과 다르니, 가 아닌 이 비록 눈앞을 지나가더라도 나에게 있어 그것을 보려는 마음을 두어서는 안 되며, 가 아닌 소리가 비록 귓가를 지나가더라도 나에게 있어 그것을 들으려는 마음을 두어서는 안 되는 것이다.”
3-3 시잠視箴注+사계沙溪가 말씀하였다. “마음이 형체가 없어서 잡기가 어렵다. 오직 보는 것이 가 아닌 곳에 나타날 적에 따라서 잡아야 하니, 이것을 일러 요점이 있다고 한 것이다.”에 말하였다.
‘마음이여! 본래 하니, 사물에 응함에 자취가 없다.
마음을 잡음에 요점이 있으니, 보는 것이 그 법칙法則(절도)이 된다.
사물이 눈앞에서 가리워 사귀면 마음이 옮겨가니, 밖에서 제재하여 안을 편안하게 해야 한다.
사욕私慾을 이겨 로 돌아가면, 오래되면 성실誠實해져 저절로 될 것이다.’
사람의 마음이 비고 신령스러워서 감응感應하여 출입出入함에 잡을 만한 자취가 없으니, 이를 잡아서 보존하는 요점은 보는 것을 삼가는 것보다 먼저 할 것이 없다.
절도節度와 같다.
만일 물욕物慾의 가리움이 내 앞에 사귀어 보는 바에 혹하면 중심中心이 반드시 옮겨갈 것이다.
오직 밖에서 재제裁制하여 눈이 함부로 보지 않으면 정신精神지식知識이 태연하고 안정되어 안(마음)이 편안할 것이니, 오래하여 성실誠實해지면 진실한 이치가 유행하여 동용動容하고 주선周旋함이 저절로 에 맞을 것이다.
3-4 청잠聽箴에 말하였다.
‘사람이 병이秉彛양심良心을 가지고 있는 것은 천성天性에 근본하였지만 앎(욕심의 지각知覺)이 물건에 유인되어 동화해서注+살펴보건대 〈악기樂記〉에 “앎이 밖에서 유인하여 사람이 물건과 화한다.” 하였으니, 이천伊川의 말씀은 여기에 근본한 것이다.
호씨胡氏가 말하였다. “들음〔聽〕을 말하지 않고 앎〔知〕을 말한 것은, 들음은 앎의 처음이고 앎은 들음의 뒤이다. 앎을 인하여 이 마음이 움직이기 때문에 앎으로 말하였으니, 그 실제는 똑같은 것이다.”
마침내 올바름을 잃게 된다.
드높은 저 선각자先覺者들은 그칠 곳을 알아 안정함이 있다.
를 막아 을 보존해서 가 아니면 듣지 않는다.’
사람이 오상五常을 간직하고 있어 본래 불선不善함이 없으나 오직 지식知識이 밖에서 유혹하여 돌아올 줄 모르고 물욕物慾이 마음을 (동화)하여 깨닫지 못한다.
이 때문에 품부稟賦받은 바의 올바름이 날로 상실喪失되는 것이다.
의 시초이고 이다.
지지知止는 마땅히 그쳐야 할 바를 아는 것이고 유정有定은 마땅히 그쳐야 할 바를 얻는 것이다.注+살펴보건대 유정有定은 마음이 안정됨이 있음을 이르니, 대번에 그칠 바를 얻었다고 말할 수 없을 듯하다.
밖에서 를 막음은 마음속에 을 보존하는 것이다.
[張伯行 註] 이는 가 아니면 듣지 않는 요지要旨를 발명한 것이다.
은 다르니, 소리가 갑자기 귀에 들어오는 것을 어떻게 듣지〔聞〕 않을 수 있겠는가.
다만 내가 그것을 듣고자〔聽〕 하는 마음을 두어서는 안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정자程子에 이르기를 “사람이 태어난 초기에 오상五常을 간직하고 있으니, 이는 모두 하늘에 근원하여 성품으로 삼아서 다 한 것이다.
그런데 이 느끼고 뜻(생각)이 분분紛紛하여 지식이 그 밖을 유인誘引하면 점점 돌아오기를 잊어서 마치 메아리가 응하듯이 하고, 소리가 들어오면 마음이 동하여 물건이 그 안을 하면 오래됨에 정신이 옮겨가서 들음이 있으면 바로 받아들이게 된다.
이에 천리天理의 바름이 날로 없어지는 데로 나아가니, 상인常人은 모두 그렇고 어진 자도 면치 못한다.
오직 탁연卓然정명精明선각자先覺者들은 마음이 멈추어야 할 곳을 알아서 함이 있어 지각(욕심)에게 유혹당하지 않고 물건에게 함을 당하지 않아서 밖으로 간사함을 막아 안의 성실함이 이에 보존된다.
그리하여 을 들으면 귀가 밝고 이치가 아닌 것은 듣지 않으니, 이렇게 하면 병이秉彝가 하늘에 온전하고 극기복례克己復禮가 사람에게 다한다.
보는 것을 이어서 일삼아야 할 것은 이것이 그 다음이 된다.”고 한 것이다.
3-5 언잠言箴에 말하였다.
인심人心의 동함은 말로 인하여 나타나니, 발설發說할 때에 조급함과 경망함을 금하여야 안에 있는 마음이 고요하고 전일해진다.
하물며 이 말은 중요한 추기樞機여서 전쟁을 일으키기도 하고 우호友好를 내기도 하니,注+주역周易》〈계사전繫辭傳〉에 “말과 행실은 군자君子추기樞機이니, 추기樞機의 발함이 영예와 치욕의 주체이다.” 하였다.
○ 《서경書經》〈大禹謨〉에 “입은 우호友好를 내고 전쟁을 일으키나니, 은 두 번 다시 말하지 않겠다.” 하였다.
注+서경書經》에 “입은 우호를 내기도 하고 전쟁을 일으키기도 한다.” 하였는데, 채침蔡沈의 《집전集傳》에 “이요 (戰爭)이니, 말이 입에서 나오면 이 두 가지의 구분이 있다.” 하였다.길흉吉凶영욕榮辱이 오직 말이 부르는 것이다.
말을 너무 쉽게 함에 잘못되면 허탄해지고 너무 번잡하게 함에 잘못되면 지루해지며, 자신이 말을 함부로 하면 남도 거슬리고 나가는 말이 도리道理에 어그러지면 오는 말도 이치에 위배되니, 예법禮法이 아니면 말하지 말아서注+효경孝經》에 “선왕先王법언法言(禮法에 맞는 말)이 아니면 감히 말하지 않는다.” 하였다.훈계訓戒 말씀을 공경히 받들지어다.’
는 가볍고 함부로 하는 것이요, 은 허황하고 그릇된 것이니, 언어言語를 할 적에 가볍고 함부로 하는 것을 금하면 마음이 고요하고 안정되며, 허황하고 그릇됨을 금하면 마음이 전일專一해진다.
는 문의 지도리이고 는 쇠뇌의 기아이다.
문이 닫히고 열리는 것과 활쏘기의 맞고 맞지 않는 것이 모두 여기에서 말미암으니, 말을 함은 바로 내몸의 추기樞機인 것이다.
그러므로 한 마디 나쁜 말이 혹 군대(전쟁)를 일으킴에 이르고 한 마디 좋은 말이 혹 우호友好를 만들어내기도 하며, 잘하면 함이 있고 영화로움이 있고, 잘못하면 함이 있고 욕됨이 있으며, 조급하여 함부로 함에 잘못되면 허탄하고 방사하여 살피지 못하며, 함부로 하여 번거로움에 잘못되면 지리하여 실제와 거리가 멀어진다.
는 마음대로 하는 것이니 자기 마음대로 하는 자는 반드시 남을 거스르게 되니 이는 조급함이 초래한 것이요, 는 이치에 어그러짐이니 어그러져 나간 말은 반드시 어그러져 돌아오니 이는 경망함이 부른 것이다.注+살펴보건대 운봉호씨雲峯胡氏(胡炳文)가 말하기를 “는 말을 가볍게 하는 것이고 은 말을 많이 하는 것이고 는 말을 함부로 하는 것이고 는 완전히 하지 않은 것이다.” 하였으며, 주자朱子는 “이것은 네 가지 병통인데 제가諸家들은 다만 해석할 때에 두 글자에 돌리니, 옳지 않다.” 하였으니, 호씨胡氏의 말은 바로 섭씨葉氏의 병통을 맞춘 것이요, 더구나 두 글자를 가지고 에 나누어 소속시켰으니, 더욱 파쇄破碎함이 된다.
3-6 동잠動箴注+백운허씨白雲許氏(許謙)가 말하였다. “, , 은 각각 한 일을 가리켰고 은 온몸을 들어 말하였다. 그러므로 동잠動箴에는 마음을 겸하여 말한 것이다. 안으로는 마음의 함과 밖으로는 몸의 함이 모두 바름에서 나와 표리表裏가 한결같으면 천리天理유행流行할 수 있으나 만일 억지로 밖을 제재하여 안에서 하는 것이 혹 다 하지 못하면 병근病根이 제거되지 않아 얻음이 되지 못하니, 〈마음에 동함을 잘하는〉 이것이 바로 신독공부愼獨工夫이다.”에 말하였다.
철인哲人기미幾微를 알아 생각함에 성실히 하고 지사志士행실行實을 힘써 하는 일에 지키니, 이치를 순히 하면 여유가 있고 욕심을 따르면 위태롭다.
조차造次라도 능히 생각해서 전전긍긍戰戰兢兢하여 스스로 잡아 지켜라.注+살펴보건대 윗구는 생각을 성실히 함을 말하였고 아랫구는 행위를 지킴을 말하였으니, 이와 같이 보는 것이 어떨지 모르겠다.
습관習慣과 함께 이루어지면 성현聖賢과 함께 돌아갈 것이다.注+사계沙溪가 말씀하였다. “살펴보건대 각헌채씨覺軒蔡氏(蔡模)는 ‘성인聖人대로 하니 〈은〉 철인哲人을 이르고, 현인賢人은 익히니 〈은〉 지사志士를 이르니, 성공에 이르면 똑같다. 그러므로 성현聖賢과 함께 돌아간다고 말한 것이다.’ 하였고, 진씨陳氏는 ‘익히기를 오래하여 기질지성氣質之性과 함께 변화하면 현인賢人 또한 성인聖人이 된다.’ 하였는데, 이 두 말은 모두 잘못되었다. 나의 익힘이 익숙해져서 과 함께 이루어지면 내가 성현聖賢과 함께 돌아가는 것이니, 그 성공에 이르면 똑같다는 뜻이다.” 또 살펴보건대 “습여성성習與性成섭씨葉氏에는 본연本然이라 하였고, 신안진씨新安陳氏(陳櫟)는 《서경書經》의 ‘이 의롭지 못함은 익힘이 과 이루어졌다.’는 말을 인용하여 기질氣質이라 하였으니, 무엇을 바른 것으로 삼아야 합니까?” 하고 묻자, 율곡栗谷은 “진씨陳氏의 말이 낫다.” 하였다.’” 〈《이천선생문집伊川先生文集》에 보인다.〉
주자朱子가 말씀하였다.
는 동함의 은미함이요 는 동함의 드러남이니, 는 안에서 동하고 는 밖에서 동한다.”
명철明哲한 사람은 기미幾微를 알므로 생각하는 바에 성실히 하여 한 생각이 동함을 감히 함부로 하지 않으며, 뜻을 세운 선비는 행실을 힘쓰므로 하는 일에 지켜서 한 일의 동함을 감히 함부로 하지 않는다.
이치를 순히 하여 동하면 편안하고 여유가 있으며 욕심을 따라 동하면 위태로우니, 이것은 하는 일에 지키는 것이요, 조차造次아경俄頃(잠깐 동안)이라도 잘 생각하여 잊지 않으며 전전긍긍戰戰兢兢하고 두려워하여 스스로 지키고 잃지 않음은 생각함에 성실히 한 것이다.
은 자기 몸에 닦음을 이르고 은 하늘에서 얻음을 이르니, 습관習慣천성天性과 합하면注+살펴보건대 합자合字를 가지고 성자成字를 해석하였으니, 온당치 못할 듯하다.본연本然을 온전히 하여 성현聖賢과 똑같아질 것이다.


역주
역주1 視與見異 聽與聞異 : 視와 聽은 마음을 두어 보고 듣는 것이며, 見과 聞은 무심히 보이고 들리는 것이다.
역주2 知誘物化 : 張伯行은 ‘知가 유혹하고 外物이 化한다.’로 해석하였는 바, 知는 知覺으로 外物의 좋음을 알아 탐하는 마음을 이른다.

근사록집해(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